• Title/Summary/Keyword: Eastern culture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5초

북한산 불교 석조미술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Stone Arts of Mt. Bukhan)

  • 이서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90-119
    • /
    • 2019
  • 본 논문은 북한산 불교 석조미술이 북한산이라는 문화 영역에서 갖는 의의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북한산은 불교가 전래된 이후부터 불교문화가 성행했으며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사찰이 건립된 불교문화의 중심지였다. 조선 후기 북한산 승영사찰(僧營寺刹)의 건립은 기본적으로 신앙 기도처로서 사찰의 기능을 가졌지만 북한산성 축성이 중요 배경으로 작용한 만큼 북한산의 지정학적 위치, 교통로, 관방체계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는 점이 매우 주목되는 북한산 불교문화의 특징이다. 북한산 불교 석조미술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석조부도, 석탑, 마애불, 석불, 탑비(석비), 석등, 당간지주, 마애사리탑 등으로 구분되는데 비교적 다양한 유형이 남아 있다. 시대별 특징은 신라 불교미술이 경기지역까지 확산되었음을 보여주며 고려 전기와 조선 후기에 석조미술이 가장 많이 조성되었다는 것이다. 고려시대부터 북한산 일원 사찰은 왕실 원찰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조선 후기에는 북한산성 축성이 불교 석조미술 증가에 가장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분포 현황을 보면 통일신라 석조미술은 남쪽에서부터 등장하며 고려 전기까지는 북한산 서쪽에 주로 조성되었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는 북한산 동쪽지역에 다수 조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초기에 한강을 이용해 서해안 방향으로 진출하고자 했던 신라의 군사적 목적과 조선 후기 북한산성 축성에 따른 도성 방어 목적으로 변화하면서 북한산의 중심 사찰도 변화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북한산 불교 석조미술은 불교 도입 이래 다양한 유형이 꾸준히 조성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새로운 도상과 유형이 등장하고 사례가 많지 않은 특징적인 양식이 등장한다는 점,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 분사리 부도의 건립, 조선 후기 불교신앙 흐름의 반영이라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와 가치가 매우 높다.

조선시대 부권(婦權)의 존재 양상 연구 (The Modes of Existence for the Housewife's Authority in Joseon Dynasty)

  • 이은봉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65-89
    • /
    • 2018
  • '주부의 명절증후군'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낸 제사 문화와 시집살이 문화는 어쩌면 오랜 전통이 아닌 최근의 문화일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조선시대 부권(婦權)의 상실이 조선 후기 성행한 '양반-되기' 문화 때문이라는 것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중기까지 여성 특히 가정 내 부인은 친정에서 가지고 온 재산과 친정과의 유대를 통해 나름의 권위를 가지고 주체적 삶을 살았다. 하지만 이러한 부권(婦權)은 임병양란 이후 영세해진 가문을 지키기 위해 딸을 상속에서 배제하면서 사라졌다. 그렇지만 전 인구의 양반화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양란을 기점으로 종법제에 입각한 성리학적 가부장제가 전 인구로 확산될 수는 없었다. 성리학적 가부장제가 전 인구의 보편적 윤리가 된 것은 양란 이후 지속적 사회 변화 속에서 양반의 수가 급증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천자부터 평민까지 모든 사람이 종법제를 지켜야 한다는 정주학의 예론은 모든 집안에 '사당'을 두어 조상의 제사를 모시라고 하는 "주자가례"를 통해 실현되었다. 경제력을 상실한 양반이 자신을 양반으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오직 준엄한 의례밖에 없었으며, 양인에서 양반이 된 사람들 또한 양인과의 구별을 위해 '형식적 예'만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19세기 조선의 '양반-되기' 문화는 성리학적 가부장제에 의한 예법을 공고히 했다. 이 결과 여성은 오로지 시집을 위해 종사하는 존재가 되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남편과 아들의 가문을 지키는 일이라 생각해 스스로를 옥죄기도 했다.

벼 조생 고품질 중간모본 '중모1001' (An Early-Maturing and High Grain Quality, Intermediate Breeding Rice Variety 'Jungmo1001')

  • 원용재;전용희;정국현;신영섭;김연규;최임수;한희석;오명규;이상복;이정일;조영찬;최용환;노재환;안억근;윤영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06-610
    • /
    • 2011
  • '중모1001'은 중북부중간지 및 중산간지 고품질 벼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4년 하계에 초형이 좋은 SR14694-57-4-2-1-3-2-2 계통을 부본으로 하고 단간이며 쌀알이 깨끗한 철원52호를 모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7년 육성된 조생 내도복 고품질 중간모본으로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출수기는 평균 8월 5일로 '오대벼' 보다 4일 늦은 조생종이다. 2. 간장은 73 cm이며, 주당수수는 13개, 수당립수는 90개이고, 천립중은 21.2 g으로 '오대벼'보다 가볍다. 3. 쌀 외관은 심복백이 거의 없이 맑고 깨끗하며, 아밀로스함량은 18.1%로 '오대벼'보다 낮고 밥맛이 매우 양호하다. 4. 불시출수가 잘 되지 않으며 위조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다. 5. 수발아에 중정도이고, 내냉성은 '오대벼'와 비슷한 수준이다. 6. 잎도열병은 중도저항성이고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는 약한 편이다. 7.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쌀 수량이 5.31 MT/ha로 '오대벼'보다 7% 증수되는 수량성을 보였다. 8. 재배적지는 북부평야지, 중산간지, 남부고랭지 및 동북부해안지이다.

벼 조생 단간 내도열병 고품질 신품종 "평원" (An Early-Maturing, Blast Resistant and High Quality Rice Cultivar "Pyeongwon")

  • 유해영;전용희;정국현;신영섭;황흥구;김홍열;김명기;정오영;원용재;김연규;양창인;이점호;이정일;이정희;최윤희;양세준;안억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7-181
    • /
    • 2009
  • 평원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북한 지역에 적응성이 높은 다수성 양질 신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5년 잠재적 수량성이 있는 북한 벼 품종 삼지연4호와 조숙 단간 내도복 특성의 진부19호를 교배하여 2007년 육성한 조생 단간 내도열병 고품질 품종으로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출수기는 8월5일로 오대벼보다 1일 늦은 조생종이다. 2. 간장은 67 cm이며, 주당수수는 13개, 수당립수는 82개이고, 현미천립중은 오대벼보다 약간 가볍다. 3. 쌀 외관은 심복백이 거의 없이 맑고 깨끗하며, 아밀로스 함량은 17.1%로 오대벼보다 낮아 밥맛이 양호하다. 4. 불시출수가 잘 안되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오대벼와 비슷한 수준이다. 5. 잎도열병은 강한 저항성이나 흰잎마름병 및 기타 병해충에는 약한 편이다. 6. 수량성은 3년간의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쌀 수량이 5.28 MT/ha로 오대벼보다 5% 증수되는 품종이다.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I) - 15신위와 양위상제를 중심으로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Outlook on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II) - Focusing on 15 Godship and Yang-wui Sangje (Sangje in two Godship) -)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23권
    • /
    • pp.241-292
    • /
    • 2014
  • This article as an attempt to analyze Jin-beop-joo(眞法呪, incantation of true law) and the view of Yang-wui Sangje(兩位上帝, Sangje in two Godship) corresponds to the second preliminary work prior to the research on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The poin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Jin-beop-joo and 15 Godship(神位) based hereupon are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comprising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Since the other Jeungsan line religious orders except Daesoonjinrihoe does not use 15 Godship in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Jeungsan, this fact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Daesoonjinrihoe. Second, 15 Godship is the important installation to assemble Sangje and the other gods in the same place. In Buddhism temples and China-Taoism temples, the gods each are placed in a separate palace. Whereas Sangje and the gods are concentrated in the same place, Yound-Dae(靈臺) which is the shrine of Daesoonjinrihoe. This fact shows Sangje takes the reins to the gods visually. 15 Godship facilitates that system. Third, the number 15 of 15 Godship symbolizes the natural laws of the cosmos. Thus the shrine of Daesoonjinrihoe implies the law of universe emblematically. Forth, 15 Godship shows that the Highest God in Daesoonjinrihoe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unctional gods ruling over nature like mountain, sea, season, the Great Dipper, and Taoistic or Buddhistic gods like Ok-hwang Sangje(玉皇上帝, The Great Jade Emperor), Seoga-Yeorae(釋迦如來, Tathāgata Buddha), Kwan-seong-Jegoon(關聖帝君, Holy god Guan Yu), along with various envoys and ancestral gods. Besid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15 Godship consists of the Eastern deities, it verifies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is built in the Eastern religions. Fifth, whereas the other Jeungsan line religious orders have a tendency of understanding Jeungsan as Ok-hwang Sangje, Daesoonjinrihoe worships Jeungsan as Gu-cheon Sangje(九天上帝), not as Ok-hwang Sangje. This accords with the following fact; Jeungsan is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Gu-cheon, whereas in Jinbeonju, which was handed down from Jeungsan, the highest ruling entitiy in Gu-cheon is expressed as a different being from Ok-hwang Sangje. Sixth, Daesoonjinrihoe understands Sangje as the form of two Godship, Yang-wui Sangje, which are Gu-cheon Sangje and Ok-hwang Sangje. Judging from the form of salutation, the status of these two Sangjes are the same. Yet, the object of belief is Gu-cheon Sangje as the highest God, while Ok-hwang Sangje is stipulated as the one who has wielded a true law succeeding to the Gu-cheon Sangje's will. The religious term of Yang-wui Sangje don't imply meaning Gu-cheon Sangje and Ok-hwang Sangje are the same rank. Yang-wui Sangje is the term expresses Sangje in two Godship and involves the orthodox heritage of Daesoonjinrihoe.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Outlook on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I), this article is written, while giving a thought to construct the religiography on the highest God in Daesoonjinrihoe. I hope this article accompanied with the previous one, can be contributed to the fertilization of the soil in the field of Daesoon religious studies.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진동만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어장적지평가 (Suitable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in Jindong Bay)

  • 조윤식;홍석진;이원찬;김형철;김정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97-6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남해안의 진동만 10개 정점에 대하여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양식순기에 맞추어 계절별(7월, 10월, 1월, 4월)로 실시하였으며, 어장 서식지 적합지수를 위한 어장평가인자로 수온, 클로로필 a, 부유입자물질, 해수유동, 염분, 용존산소 포화도를 이용하였다.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성장과 어장환경 상관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각 인자들에 대한 그래프가 작성되었으며, 서식지 적합지수 산정결과 진동만의 서쪽해역(HSI 0.32~0.41)이 동쪽해역(HSI 0.19~0.27)보다 높은 적합지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단위생산량과 유의한 상관성($R^2$=0.834, P<0.01)이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어장적지평가를 통하여 지속적인 생산성을 위한 어장관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ospects of International Cities in China

  • Zhou, Yi-Xing
    • 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1-153
    • /
    • 1999
  • Since 1980's there have been two trends that obviously developed in the would -- economics globalization and urban internationalization. China, with i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and rapid economic growth, keeps pace with these two trends. The term "International City" has no putative standard or definition. If we make an analogue of urban functional hierarchy in the world with a pyramid, the International Citiesa are the few elites on its top. The highest level international cities can be called "World City" or "Global City". In today's new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they are diversified leading cities with control capacity on a world scale, like New York, London, and Tokyo. The secondary international cities are either diversified cities with influence and regulative functions on multinational scale or specialized cities on politics, economics, culture, or other aspects with worldwide impact. Judged by different criteria, there is no city that is qualified as International City with the exception of Hong Kong, which was returned to the P.R. of China in 1997. Nevertheless, Som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city still exist in China. This country is already the sixth largest economic entity in the world, and the second largest economic entity in the world, and the second largest one if GNP estimated by ppp. Furthermore its import and export value make up for 40% of its GNP, indicating that China is repidly merging into global economy. In this 1, 2 billion-population country, the difference of economic levels between urban and rural, coastal and inland regions is so big that a few metropolises in the coastal region have th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to develop into international cities regardless of rather low GNP per capita of the whole country. This article will focus on analysis from several perspectives, such as the proportion of foreign trade values in GDP, the proportion of imports and exports by foreign funded enterprises in total foreign trade value; distribution of the 500 largest foreign-funded enterprises; distribution of the 500 enterprises with largest import and export values; distrigbution of foreign computer and telecom companies with offices in China; the number of outward flights per week and the international tourists; the value of foreign capital used in cities and so on. From this analysis, it is predicted that Chinese international cities will surely emergy from the eastern coastal regions and they must be the core cities of metropolitan interlocking regions that have been formed o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ose international cities will arise from south to north in turn : Hong Kong-Guangzhu, Shanghai, Beijing-Tianjin, and perhaps the last one is Dalian-Shenyang. The other side of this issue is that there is a long way for the coming international cities in China except Hong Kong. At least China and these core cities must continually devote to (1) improve the regional composition of foreign capital sources. (2) improve the composition of export commodities. (3) improve the investment environment (including hard and soft environment) to attract mor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o settle. (4) deepen the reform of state-owned enterprises and establish Chinese own transnational corporations to enter the world market.ons to enter the world market.

  • PDF

한국과 체코의 애니메이션 교류를 통한 문화교류 활성화 연구 (Activation plans of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he Czech Republic's Animation)

  • 박기복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6호
    • /
    • pp.619-641
    • /
    • 2014
  • 애니메이션은 경제적 가치와 함께 문화콘텐츠로서 상호 관련국가 간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기재이다. 따라서 21세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애니메이션이 대표적 문화산업의 위상을 위해 기존의 교류의 폭을 확장시킬 필요성이 있다. 특히 지역적으로 편향되어 불균등하게 나타나는 문화적 교류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과 문화교류가 활성화되지 않은 체코 애니메이션의 교류 확대 가능성을 타진하고 그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체코는 지정학적으로 유럽의 중심지역에 있고 산업인프라 구축, 투자 상승, 인적 자원 등의 기반이 비셰그라드 권역 국가 중 뛰어난 여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유럽권역과 아시아권의 문화 접변(cultural border-crossing) 현상이 두드러지는 지역이고 동 서 유럽의 문화 종교적 특성을 융합한 국가로써, 중부유럽의 중심역할을 이행하고 있는 문화 강국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체코와 한국의 애니메이션 교류는 경제적, 문화적 가치가 높다. 특히 체코는 문화예술의 독창성이 뛰어난데 그 중 전통 인형극은 체코의 대중적 삶과 문화가 연계되어 있다. 체코는 이러한 인형극을 형식적으로 스톱모션의 퍼핏(puppet) 애니메이션 장르로 계승 발전했으며 또한 내용적으로 풍자의 힘을 적극 수용하여 대중적 기반뿐만 아니라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는 애니메이션계의 강국의 면모를 갖추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호 국가 간의 애니메이션교류를 통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은 교류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990년 정식 외교 관계의 수립 후 그동안의 미미한 문화교류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양국 간의 국제적으로 연대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체코 문화교류 및 활성화 방안으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워크숍 등의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연명(陶淵明)의 생애(生涯)와 작품(作品)을 통(通)해 본 인생(人生)의 의미(意味) 고찰(考察) (A study of "life" throughout the stoic life and literary work of Tao yuan ming(陶淵明))

  • 김청환;김옥금
    • 동양고전연구
    • /
    • 제35호
    • /
    • pp.75-100
    • /
    • 2009
  •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의 내면에 있는 '참 나'의 모습을 귀중한 보배로 여기고 이러한 자아를 찾으려 부단한 노력을 한다. 인생의 어떤 문제에 부딪히게 될 때, 각자의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는 힘과 지혜의 방법을 활용하여 그러한 문제들이 어떻게 풀려나오게 되는지를 관찰도 하면서 용맹 정진하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의 산물로 그 혹독한 과정과 그것을 통하여 얻어낸 자신의 체득(體得)을 수많은 선인들이 그들의 대표적 통로인 시문(詩文)들을 통해 세상에 내 놓은 것을 보면서 우리들 또한 자신들의 해답과 과정을 비교하며 배운다. 그들의 시문 속에는 일상생활 속에서 진정한 '참 나'로 돌아가려고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근본을 믿고, 그 근본을 의지하여 해답을 찾아내려는 노력을 기울여 드디어는 속박된 인생의 굴레에서 벗어나 차츰 자유로워지는 모습을 느끼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의 마음속에 숨어있는 편협 되고, 어리석고, 성내고, 대아적(對我的)인 생각들이 조금씩 사라지면서 진정한'참 나'의 모습인 자유인으로 되어 가는 것을 보면서 누구나 이러한 경지의 인간으로 거듭나기를 갈구 한다. 이것이 우리가 세상에 태어나서 진정으로 이루고자 하는 희구(希求)인 것이다. 여기에 그러한 삶의 모습을 우리에게 제시해준 예를 도연명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도연명과 같이 세상의 명리(名利)를 버리고 자신의 도(道)를 따르겠다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이와 같은 출처진퇴(出處進退)의 슬기를 높이 샀던 것이다. 이것은 오히려 출사(出仕)보다도 더 처절한 고통의 극복과 용기가 있어야 이루어지는 것이다. 명리(名利)를 버리고 물러나 돌아가는 곳은 인간의 굴레가 압박하는 곳이 아니라 만물이 공존공영(共存共榮)하는 즉, 생육화성(生育化成)하는 곳이다. 그곳에 진정으로 인생의 자유가 살아 숨 쉬는 영원한 진리가 있기 때문이다.

17세기(世紀) 동(東)아시아 3국(國)의 『대학(大學)』관(觀) 고찰(考察) (A study about Views of the Great Learning(大學) of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at 17th Century)

  • 이용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265-299
    • /
    • 2009
  • "대학"은 한 중 일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의 정치 사상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항을 끼친 유가 사상의 진수를 담고 있는 경전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 도쿠가와(德川) 시대로 접어들기 이전부터 퇴계학이 소개되고 있고, 도쿠가와 시대에는 주자학이 학문적으로 배타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대학"의 중요성도 상대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한다. 도쿠가와 시대 일본 유학의 특징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세계를 중시하는 가운데, 경서에 대한 철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학문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17세기 조선조에서도 백호 윤휴, 서계 박세당 등이 주자의 주석에 반기를 들면서 "대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게 된다. 명말청초로 넘어가는 동시대의 중국에서도 황종희, 고염무, 왕부지를 중심으로 하여 비슷한 학문적 경향을 보이게 된다. 즉 허를 배격하고 실을 중시하는 실질적인 학문관이 17세기 초 중기 동양 3국에 공통하는 사상적 조류였던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도쿠가와 시대 초중기 학자들의 사상체계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큰 단서가 되는 경서에 대한 이해와 태도, 특히 "대학"에 대한 태도가 도쿠가와 시대의 사상사 가운데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나아가 그것이 일본인들이 사유구조와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며, 그들의 "대학"관이 동시대 조선과 중국의 명말청초 시대의 그것과 비교할 때 어떤 특징을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