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Views of the Great Learning(大學) of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at 17th Century

17세기(世紀) 동(東)아시아 3국(國)의 『대학(大學)』관(觀) 고찰(考察)

  • Received : 2009.08.30
  • Accepted : 2009.09.23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Great Learning is an essential scripture of Confucianism that has had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s, thoughts, society and culture of the East Asia which contains Korea, Japan and China. In case of Japan, the doctrine of Toegye(退溪) is flown into pre-Tokugawa era, and as the doctrine of Zhu Xi(朱熹) exercise influences over the other thoughts, the importance of the Great Learning is embossed relatively in Tokugawa era.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confucianism of Tokugawa era is to lay weight on real world as such, and the Japanese confucianism has grown up academically centers on exhaustive reinterpretation about some Confucian classics. And Backho-Yoon Hyu(白湖 尹?), Seokye-Park Sedang(西溪 朴世堂) who lived in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attempt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Great Learning and they have an objection to the explanatory notes of Zhu Xi. In the same period of China, there are similar academic trends around Whang Jong Hi(黃宗羲), Ko Yeom Mu(顧炎武), Wang Fu Chi(王夫之). In other words, new views of real scholarship which reject emptiness and put much value on reality were current of thoughts that have been common to the oriental three countries in early and middle 17th century. The main object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attitud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especially the Great Learning of the scholars who lived in early and middle Tokugawa era. It will be a decisive clue to understand the ninucture of thoughts system of them. Through these work, we understand how it has had influenced to thinking-ninucture and lives of the Japanese. And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m when we compare that vking-ninucture and lives of the Japanese Confuciang-ninearly and middle Tokugawa era with in the same period of Jeseon and the later Ming(明) and early Ching(淸) dynasty.

"대학"은 한 중 일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의 정치 사상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항을 끼친 유가 사상의 진수를 담고 있는 경전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 도쿠가와(德川) 시대로 접어들기 이전부터 퇴계학이 소개되고 있고, 도쿠가와 시대에는 주자학이 학문적으로 배타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대학"의 중요성도 상대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한다. 도쿠가와 시대 일본 유학의 특징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세계를 중시하는 가운데, 경서에 대한 철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학문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17세기 조선조에서도 백호 윤휴, 서계 박세당 등이 주자의 주석에 반기를 들면서 "대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게 된다. 명말청초로 넘어가는 동시대의 중국에서도 황종희, 고염무, 왕부지를 중심으로 하여 비슷한 학문적 경향을 보이게 된다. 즉 허를 배격하고 실을 중시하는 실질적인 학문관이 17세기 초 중기 동양 3국에 공통하는 사상적 조류였던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도쿠가와 시대 초중기 학자들의 사상체계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큰 단서가 되는 경서에 대한 이해와 태도, 특히 "대학"에 대한 태도가 도쿠가와 시대의 사상사 가운데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나아가 그것이 일본인들이 사유구조와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며, 그들의 "대학"관이 동시대 조선과 중국의 명말청초 시대의 그것과 비교할 때 어떤 특징을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