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ern Jinhae Ba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진해만 빈산소수괴의 경년변동 특성 (Annual Variation in Oxygen-deficient Water Mass in Jinhae Bay, Korea)

  • 이인철;오유진;김헌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4-139
    • /
    • 2008
  • To improve the oxygen-deficient water mass (ODW),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the water quality and characteristic of ODW occurrence were analyzed using yearly water quality data from 1989 to 2006 in Jinhae Bay, Korea. In addition, we estimated $ODW_{area},\;ODW_{vol.}$ and $ODW_R$ for Jinhae Bay. The overall water quality improved during the 2000s, based the annual variation in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etc. A cluster analysis classified Jinhae Bay into the southwestern, central, northern, and eastern regions. ODW occurred throughout the southwestern region in 1993 and 2002-2004, and the estimated $ODW_{vol.}$ was about $1.92km^3$. ODW did not occur in the eastern region because circulating seawater was exchanged in that part of Jinhae Bay. As ODW was generated every year in the southwestern region, this is the most polluted area in Jinhae Bay. The ODWR decreased in the northern region, showing that the water quality there has improved since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began operating in 1994.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Assessment of Benthic Environ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Analysis in Jinhae Bay, Korea)

  • 임경훈;신현출;윤성명;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1호
    • /
    • pp.9-23
    • /
    • 2007
  • 본 연구는 1998년 5월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진해만 저서환경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진해만 내에 모두 67개 정점을 선정하여 퇴적물 입도 조성과 저서동물상을 조사하였다. 주요 표층 퇴적상은 silty clay, clay로 지역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전체 저서동물의 평균 서식밀도는 984개체/$m^2$이었고, 총 255종이 채집되었다.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 총 90종이 채집되었고, 평균 773개체/$m^2$의 서식밀도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진해만의 서쪽 해역은 저서동물상이 빈약한 반면, 만 입구와 가덕도 사이의 수로역은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다모류, Lumbrineris longifolia(16.9%), Tharyx sp.(6.7%), Chone teres(4.7%), Glycinde sp.(4.2%), 이매패류 Theora fragilis(4.0%), 갑각류 Corophium sp.(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동쪽 입구 수로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였다. 종 조성과 출현개체수에 근거한 집괴분석의 결과 진해만은 모두 3개의 정점군, 즉 마산만 입구역과 진해만의 서쪽 해역(정점군 A), 만의 중앙해역(정점군 B), 가덕도와 거제도 사이의 외해역(정점군 C)으로 구분되었다. 3개 정점군 중 진해만의 서쪽해역을 포함하는 정점군 A의 저서동물 출현종수 및 평균서식밀도가 가장 낮았고, 만 중앙해역인 정점군 B가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섭식유형군별 출현비율에 의한 BPI값과 유기물 집적에 대한 내성/민감도에 근거하여 구분한 생태그룹별 출현비율에 의한 BC값은 서로 유사한 경향이었다. 두 지수 모두 내만역에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고, 비교적 유속이 빠른 동쪽 입구 수로역과 외해역에서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진해만의 저서동물 서식밀도는 과거에 비해 큰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진해만에서 출현한 상위 우점종의 종조성은 과거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오염지시종이나 기회종의 출현비율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BC값에 근거하여 진해만을 오염 구배에 따라 구분해 본 결과, 유속이 빠르거나 외해의 영향을 받는 일부 해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이 모두 중간정도의 오염 지역(meanly polluted site)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일부 내만역의 오염도는 심각한 수준(heavily polluted site) 이었다.

진해만 동부해역에 출현하는 자치어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es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 김현지;정재묵;박종혁;허성회;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1호
    • /
    • pp.81-88
    • /
    • 2018
  • A study fo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s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was conducted using monthly larval collection by a RN80 net from October, 2010 to September, 2011. Of all the 45 speci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Clupea pallasii, Hexagrammos otakii, Pholis fangi and Engraulis japonicus. Clupea pallasii, Hexagrammos otakii, Pholis fangi in winter and examined Engraulis japonicus, Acanthogobius sp., Parablennius yatabei,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in summer appeared seasonally. Popoulation characteristic by stations was not clear seasonally and spatially, and appearance aspects of dominant species were similar by stations. Compared our results with other studies in the South Sea, dominant species and their appearance period were similar to their spawning period. Finally, the appearance period of the larvae in the South Sea was closely resulted to spawning period rather than the regional characteristic.

진해만 동부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 후기자어의 소화관 내용물 조성 (Gut Composition of Post-larval Yatabe Blenny Parablennius yatabei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ern Jinhae Bay)

  • 김현지;정재묵;박종혁;백근욱;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616-620
    • /
    • 2017
  • The feeding habits of post-larval Yatabe blenny Parablennius yatabei (2.0-9.8 mm SL)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158 individuals collected from June to October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ern Jinhae Bay, South Korea. Based on the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post-larval P. yatabei fed 94.4% on copepods and 5.6% on tintinnids. The preference of post-larval P. yatabei for copepods to other prey items results from ontogenetic changes. The dietary percentage of copepods increased as fish size increased and tintinnids became less important. The feeding rate of post-larval P. yatabei was consistent at all times of day.

3차원 수치모의 실험을 통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과 염하구 특성 (Seasonal Circulation and Estuarine Characteristics in the Jinhae and Masan Bay from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 김지하;최병주;최재성;하호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9권2호
    • /
    • pp.77-100
    • /
    • 2024
  • 진해·마산만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해수순환, 조석, 조류, 적조, 수질, 빈산소 환경을 주제로 많이 연구되었으나 주로 단기간 동안 일어나는 해양현상에 대해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만 전체적인 해수순환을 일으키는 물리적 기작을 자세히 살펴본 연구는 부족했다. 오염 물질의 이동과 확산 같은 현상은 주로 계절별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진해·마산만 해역의 해수순환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차원 해양 순환 모델을 이용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을 수치모의하고, 여름철과 겨울철 해수순환을 표층, 중층, 저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조석, 바람, 담수 유입에 대한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여 각 요인들이 해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은 가덕수도 저층에서 대한해협의 해수가 유입되고, 표층에서 진해·마산만의 해수가 유출되는 대류성 염하구 순환이 일어난다. 가덕수도를 통해 교환되는 해수의 순환은 크게 진해만 동부해역과 진해만 서부해역으로 나누어져 일어난다. 각 해역의 수로 방향을 기준으로 해수 수송량을 계산하였을 때, 진해만 동부해역의 남북방향 해수 교환 수송량은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일어나는 동서방향 해수 교환량보다 겨울철에는 2.3배, 여름철에는 1.4배 크다. 진해만 서부해역은 계절별로 작용하는 힘들의 균형이 변화하여 해수순환 특성이 계절에 따라 크게 다르다.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만드는 전단응력과 해수면 기울기의 영향으로 표층 해류가 남쪽으로, 저층 해류는 북쪽으로 흐르는 남북방향 대류성 순환이 강화된다. 반면, 남서풍이 부는 여름철에는 바람 응력에 의해 표층 해수가 동쪽으로 유출되고, 또한 남동쪽 해수면이 높아 북쪽 방향 순압성 압력경도력이 커져 동쪽 방향 유속이 강화된다. 저층에서는 밀도 구배가 커져 경압성 압력경도력이 남쪽으로 크게 작용하여 지형류 균형에 의해 가덕수도의 해수가 서쪽으로 강하게 유입하는 동서방향 대류성 순환이 겨울철보다 26% 강화된다. 진해만 서부의 대류성 순환은 겨울과 여름 모두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진해만 동부해역과 마산만에서는 모든 계절에 표층에서는 해수가 외해로 유출되고, 저층에서는 해수가 만 안쪽으로 유입되는 전형적인 염하구 순환을 보였다. 겨울철에는 바람과 담수유입이, 여름철에는 조류의 영향이 남북방향 염하구 순환 규모에 크게 기여하였다. 진해만 동부해역에는 지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조석 잔차류도 뚜렷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 특성은 이 해역의 오염물질 확산, 여름철 빈산소수괴의 형성 기작 파악, 적조 생물의 유입과 유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계 진해만에서의 자어 분포 및 종조성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during Winter Season in Jinhae Bay, Korea)

  • 이정훈;김정년;남기문;김창원;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8
    • /
    • 2014
  • 진해만에서 동계기간 동안 자어의 분포 및 종조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과 12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으로는 Pholis crassispina, Clupea pallasii, Liparis tanakae, Hexagrammos otakii였다. 이들 4종은 출현한 총 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잠도와 칠천도 동쪽에서 높은 밀도와 종 다양성을 보여, 이 지역이 진해만에서 자어의 주요 산란장인 것을 의미한다.

Modern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off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 Shin, Hyeon-Ho;Yoon, Yang-Ho;Matsuoka, Kazum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31-39
    • /
    • 2007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s in surface sediment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stations in February of 2004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in February, May, September and November of 2004. Total 30 taxa of dinoflagellate cyst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19 genera, 28 species and 2 unidentified species. Among these dinoflagellate cysts, Brigantedinium spp. of which relative proportion in th e total dinoflagellate cysts was 23.5%, was the most abundant at all stations except St. 1, and was followed by Spiniferites bulloideus (8.6%), Lingulodinium machaerophorum (8.2%) and Diplopsalis lenticula (6.7%). In addition, ellipsoidal cysts of the genus Alexandrium (Alexandrium catenella - tamarense type) and Gymnodinium catenatum, known to be causative organisms for PSP, occurred with high concentrations. Scrippsiella trochoidea was also found; however, its cyst concentration was low. Generally, species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was similar to these reported from Jinhae Bay and Busan Harbor and several dinoflagellate cysts reflected the eutrophic condition. Cyst distribution in th 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flowing from the southwest. The mean water temperature was $12.0^{\circ}C$ in February, $14.7^{\circ}C$ in May, $20.9^{\circ}C$ in September and $17.2^{\circ}C$ in November, which was most favorable for Alexandrium spp. growth. The abundances of dinoflagellate cysts rang e d from 528 to 2,834 cysts/g dry sediment. Higher concentrations were recognized in sediments of west area of the Jisimdo than at other stations. The cyst composition of this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se of Jinhae Bay and Busan Harbor from which currents flow into this area. Higher cyst concentration in the west area of Jisimdo might be due to formation of the gyre.

진해만 동부해역에 분포하는 청어 (Clupea pallasii)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Clupea pallasii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 김현지;정재묵;박종혁;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1호
    • /
    • pp.107-113
    • /
    • 2017
  •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5.0~27.0 mm SL) Clupea pallasii were examined and 1,523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0 to March 2011 in the coastal water of Eastern Jinhae Bay, Korea. Larval C. pallasii were fed mainly on copepods that constituted 55.2% in IRI. Monogeneans were the second largest prey component, another prey items tintinnids, cladocerans and ostracoda. The results of analysis in ontogenetic changes exhibit high during the daytime, two small size classes (${\leq}10mm$, 10~15 mm) mainly fed copepods. while the percentage of coperpods decreased, monogeneans ratio increased in 15~20 mm size class. Feeding rate in diel difference of larval C. pallasii were high during the daytime.

진해만 동부해역에 분포하는 멸치(Engraulis japonicus)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Eastern Jinhae Bay, Korea)

  • 김현지;정재묵;박종혁;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92-97
    • /
    • 2017
  •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Engraulis japonicas (3.2-11.0 mm SL) were examined based on 414 individuals, collected in October 2010, and from June to September 2011,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ern Jinhae Bay, Korea. E. japonicus, fed mainly on copepods 62.6% IRI and tintinnid were the second-largest dietary component. E. japonicu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rotifers, eggs and diatoms. The results of analysis of ontogenetic changes showed that E. japonicus of small size classes (${\leq}4mm$) fed primarily on tintinnids. The dietary percentage of copepods decreased, as fish size increased, and monogeneans became increasingly important as size class increased above 4-6 mm. The highest rate of daily feeding E. japonicusi took place during the day.

생물검정실험을 통한 동계 진해만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동 특성 파악 (Understanding of Phytoplankton Community Dynamics Through Algae Bioassay Experiment During Winter Season of Jinhae bay, Korea)

  • 현봉길;신경순;김동선;김영옥;주혜미;백승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1호
    • /
    • pp.27-38
    • /
    • 2011
  • 동계 진해만 광역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영양염 제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간 비교와 환경인자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제한영양염을 평가하기 위해서 현장수를 이용하여 생물검정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사기간동안 규조류와 은편모조류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90% 이상을 점유하였고,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마산만이 진해만 보다 현저히 높게 관찰되었다. DIN:DIP 비, pH, 투명도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과 MSD 분석을 한 결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제 1그룹은 고성과 통영을 중심으로 한 진해만 서부해역으로 은편모조류가 전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50% 이상으로 우점하였다. 제 2그룹은 마산만 가장 내측해역으로 높은 생물량, 낮은 투명도, 높은 DIN:DIP 비가 관찰된 것이 특이적이였다. 제 3그룹은 진해만 동부수역에 해당되는 마산만 외측과 진해만 중앙해역으로 구분이 되었고, 이들 정점의 특성은 DSi:DIP 비가 높았고, 규조류가 우점출현하였다. 영양염 절대농도와 구성성분비에 의한 제한영양염과 생물검정실험을 통한 영양염 제한은 마산만 대부분의 정점은 P 영양염의 제한이 관찰되었고, 진해만은 N기원의 영양염제한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계 진해만은 규산염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존재하였고, 이는 규조류가 우점하기 좋은 환경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