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Volume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33초

A Review on the Emission Sources of Ammonia and the Factors Affecting Its Loss

  • Das, Piw;Sa, Jae-Hwan;Kim, D.S.;Kim, K.H.;Jeon, E.C.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3권E2호
    • /
    • pp.47-56
    • /
    • 2007
  • Among all the nitrogen species present in the atmosphere, ammonia forms a considerable portion along with the nitrogen oxides. The major sources of atmospheric ammonia are animal feedlot operations including emission from excreta of domestic animals and agricultural activities, followed by emission from synthetic fertilizers, biomass burning and to some lesser extent, fossil fuel combustion. Ammonia emission factor, expressed as the weight of ammonia per unit weight, volume, or duration of the activity emitting it, is generally used in developing emission estimates for emission inventories. The factors determining ammonia loss from soil or from manures are the temperature, pH, humidity, precipitation and the velocity of wind above it.

A New Type of MR Sensor-Based Vehicle Detector with High Performance and Reliability

  • Kang, Moon-H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1689-1693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 vehicle detector with a magnetoresistive (MR) sensor. The detector consists of a MR sensor and mechanical and electronic apparatuses. Composed of six magnetically variable resistors, the MR sensor senses disturbance of the earth's magnetic field caused by a moving vehicle over itself and then produces an output indicative of the moving vehicle.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with three stages. At the first stage, the outputs of the sensor have been analyz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detector's circuit and the detecting method. At the second stage, the detector has been tested on a local highway in Korea. Through the field tests, the outputs of the detector in response to various kinds of moving vehicles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final stag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detector, traffic volumes on the highway have been measured with the detector and compared with the exact traffic volumes in a highly congested traffic.

  • PDF

도플러 넓어짐 스펙트럼을 이용한 희토류 증감지 결함 특성 (The Defect Characterization of Rare-earth Intensifying Screen Material by Doppler Broadening Positron Annihilation Spectrometer)

  • 이종용;김창규;송기영;김재홍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70-374
    • /
    • 2005
  • Doppler broadening spectrometer for positron annihilation experiment(DBPAS) has been used to characterize nano size defect structures in materials. DBPAS measures the concentration, spatial distribution, and size of open volume defects in the rare-earth intensifying screen materials. The screens were exposed by X-ray varying the exposed doses from 3, 6, 9, and 12 Gy with 6 W and 15 MV respectively and also irradiated by 37 MeV proton beams ranging from 0 to $10^{12}ptls$. The S parameter values increased as the exposed time and the energies increased, which indicated the defects were generated more. The S parameters of the samples with X-rays varied from 0.5098 to 0.5108, on the other hand, as proton beams varied from 0.4804 to 0.4821.

Detection of Microphytobenthos Using Spectral Unmixing Method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Korea

  • Lee, Y.K.;Won, J.S.;Ryu, J.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53-855
    • /
    • 2003
  • Microphytobenthos that supply nutrients to the intertidal ecosystem play an important part as a primary producer. If we estimat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microphytobenthos, we can possibly calculate a volume of primary product in the tidal flat and its effect to the intertidal ecosystem. To estimate the portion of microphytobenthos, we used a linear spectral unmixing (LSU) method. LSU is a tool for inference the proportions of the pure components (or end-members) in a mixed pixel. The selection of end-members is critical to LSU. The end-members can be selected either from spectral libraries built from field surveys or from a remotely sensed image. We compared the two approaches of end-member selection, and the preliminary results showed end-members from from spectral library are as effective as those from image itself.

  • PDF

Google Earth Engine과 Sentinel-2 위성자료를 이용한 러시아 노릴스크 지역의 기름 유출 모니터링 (Oil Spill Monitoring in Norilsk, Russia Using Google Earth Engine and Sentinel-2 Data)

  • 김민주;현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1-323
    • /
    • 2023
  • 기름 유출 사고는 발생 시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하므로 신속하게 유출유의 면적과 위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광학 위성자료를 활용한 기름 유출 탐지의 경우 다양한 위성탑재 센서를 통해 유출유에 대한 정보 수집 후 이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기름 유출 범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파장별 기름의 반사도를 분석한 후 특정 파장대의 밴드를 이용한 oil spill index가 개발 및 적용되었다. 기름 유출 모니터링을 위해 유출 전후 여러 시기의 위성자료를 분석할 경우 다량의 데이터로 인해 많은 시간과 컴퓨팅 자원이 소비된다. 웹 브라우저를 통해 대량의 위성자료 분석이 가능한 Google Earth Engine을 활용할 경우 효율적으로 기름 유출 탐지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entinel-2 MultiSpectral Instrument 위성자료와 클라우드 기반의 위성자료 분석 플랫폼인 Google Earth Engine을 이용하여 기존에 제안된 네 종류의 oil spill index의 다양한 피복 환경에서의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표 피복별 index 값의 비교를 통해 기름 유출 영역이 타 피복과 잘 구분되는지에 대한 분리도를 평가하고 기름 유출 면적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Google Earth Engine이 기름 유출 광역 모니터링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복잡한 지표 피복이 분포하는 다른 지역에 기름 유출 사고 발생 시 우수한 성능으로 평가된 oil spill index B ((B3+B4)/B2)와 C (R: B3/B2, G: (B3+B4)/B2, B: (B6+B7)/B5)의 적용은 효과적인 기름 유출 모니터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에 의한 SCR 촉매 비활성 거동 (The deactivation behavior of SCR catalyst by alkali and alkali earth metal)

  • 한승윤;신민철;이희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38-242
    • /
    • 2016
  • 알칼리(토)금속이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 비활성화에 미치는영향을 미세구조, 촉매 비표면적, 기공 부피 변화, 탈질 성능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신촉매를 $350^{\circ}C$에서 6시간 동안 $H_3PO_4$, $K_2CO_3$, $Na_2CO_3$, $Ca(CH_3COO)_2{\cdot}H_2O$, $C_4H_6MgO_4{\cdot}4H_2O$ 수용액을 분사 시켜, 모사 피독된 SCR 촉매를 제조하였다. 피독 촉매 표면의 미세구조는 신촉매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이지만, 비표면적과 기공 부피 변화를 신촉매와 비교하였을 때, Na < Mg < K < Ca < P 순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Na에 의해 피독된 촉매는 비표면적은 $10.20m^2/g$, 기공부피는 $0.061cm^2/g$ 정도 감소하였다. $150{\sim}450^{\circ}C$에서 신촉매 및 피독 촉매의 탈질성능을 평가한 결과, 알칼리 금속(K, Na)에 피독된 SCR 촉매가 가장 낮은 탈질효율을 보였으며, 알칼리 토금속(Ca, Mg)에 피독된 SCR 촉매는 알칼리 금속(K, Na)에 피독된 촉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탈질 효율을 보였으며, 인(P)에 의해 피독된 촉매는 SCR 신촉매와 거의 유사한 탈질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CR 촉매 비표면적이나 기공 부피 감소에 따른 물리적인 비활성화가 SCR 촉매 탈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지상관측장비를 이용하여 관측한 봄철 황사의 연직분포와 광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Vertical Profiles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sian Dust Using Ground-based Measurements)

  • 이병일;윤순창;김윤재
    • 대기
    • /
    • 제18권4호
    • /
    • pp.287-297
    • /
    • 2008
  • The vertical profiles and opt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are investigated using ground-based measurements from 1998 to 2002. Vertical profiles of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re evaluated using MPL (Micro Pulse Lidar) data. Optical parameters such as aerosol optical thickness ($\tau$), ${\AA}ngstr\ddot{o}m$ exponent ($\alpha$), single scattering albedo ($\omega$), refractive index, and volume size distribution are analyzed with sun/sky radiometer data for the same period. We can separate aerosol vertical profile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category named as 'Asian dust case', which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is larger than $0.15km^{-1}$ and dust layer exists from surface up to 3-4km. Second category named as 'Elevated aerosol case', which aerosol layer exists between 2 and 6km with 1-2.5km thickness, and extinction coefficient is smaller than $0.15km^{-1}$. Third category named as 'Clear sky case', which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ppears smaller than $0.15km^{-1}$. and shows that diurnal variation of background aerosol in urban area. While optical parameters for first category indicate that $\tau$ and $\alpha$ are $0.63{\pm}0.14$, $0.48{\pm}0.19$, respectively. Also, aerosol volume concentration is increased for range of 1 and $4{\mu}m$, in coarse mode. Optical parameters for second category can be separated into two different types. Optical properties of first type are very close to Asian dust cases. Also, dust reports of source region and backward trajectory analyses assure that these type is much related with Asian dust event. However, optical properties of the other type are similar to those of urban aerosol. For clear sky case, $\tau$ is relatively smaller and $\alpha$ is larger compare with other cases. Each case show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aerosol optical parameters.

미소진동 자료를 이용한 EGS 사이트에서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알고리듬 개발 (Development of Efficient Monitoring Algorithm at EGS Site by Using Microseismic Data)

  • 이상민;변중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3호
    • /
    • pp.111-120
    • /
    • 2016
  • 지열발전을 위해 심부에 인공적으로 균열대를 생성시키는 EGS (Enhanced/Engineered Geothermal System) 지열발전 기술에서는 유체의 이동통로가 되는 균열의 연결성 향상이 매우 중요하며,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는 수압파쇄시 발생되는 균열의 정보는 미소진동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하지만 각 단계별 수압파쇄시 발생되는 균열에 의해 변화된 속도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미소진동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되면, 다음 단계의 수압파쇄시 발생된 균열의 위치정보는 실제 위치와는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Kim et al. (2015)에 의해 개발된 미소진동 위치역산 알고리듬을 심부 수 km 하부를 대상으로 하는 EGS 지열발전에 적합하도록 개선시켰으며, 각 단계별 수압파쇄시 발생되는 균열에 의해 변화된 속도구조를 측정된 미소진동 자료를 이용하여 영상화할 수 있는 3차원 속도역산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아이코날 방정식(Eikonal equation)을 사용하여 단순 층서구조뿐만 아니라 복잡한 속도구조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도록 하였고 그림자 영역(shadow zone)에 대해서도 어느 위치에서나 정확한 주시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프레넬 볼륨(Fresnel volume)을 이용한 자코비안(Jacobian) 계산을 통하여 속도역산의 계산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켰다. 또한, EGS 사이트를 모사한 속도모델에서 얻어진 미소진동 자료를 개발된 알고리듬에 적용시킨 결과, 전 단계에 이루어진 수압파쇄에 의해 변화된 속도를 반영하는 향상된 속도모델을 얻을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위치 재결정을 수행한 결과 실제 위치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2009년 봄철 부산지역 황사 기간 중 에어로솔 농도 분포 (The Distribution of Aerosol Concentration during the Asian Dust Period over Busan Area, Korea in Spring 2009)

  • 정운선;박성화;이동인;강덕두;김동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93-710
    • /
    • 2013
  • 동아시아 지역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황사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역에서 발생한 2009년 황사 기간의 종관 일기도와 자동기상관측장비(AWS)를 이용한 기상해석, $PM_{10}$ 샘플러와 레이저입자계수기(LPC)를 이용한 대기입자상 물질농도 분석, 위성영상과 역궤적분석 모델을 이용한 발생원을 조사하였다. 2009년 2월 20일의 경우 (사례 1), $PM_{10}$ 농도가 급격히 증가할 때 $0.3-1.0{\mu}m$의 작은 입자의 에어로솔 체적 농도 분포가 감소한 반면 $1.0-10.0{\mu}m$의 큰 입자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그 후 $PM_{10}$ 농도가 감소할 때 지상의 풍향은 북풍에서 남서풍으로 변하였으며, 전체 에어로솔 농도는 감소하였다. $PM_{10}$$1.0-10.0{\mu}m$의 큰 입자 농도의 상관계수는 0.9 이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내몽골 지역에서 발달된 황사가 중국 고비 사막을 통과하여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2009년 4월 25일의 경우 (사례 2), $PM_{10}$ 농도가 급격히 증가할 때 $0.3-0.5{\mu}m$의 작은 입자의 에어로솔 체적 농도 분포가 감소한 반면 $0.5-10.0{\mu}m$의 큰 입자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그 후 $PM_{10}$ 농도가 감소할 때 $0.3-0.5{\mu}m$의 작은 입자의 농도는 증가한 반면 $0.5-10.0{\mu}m$의 큰 입자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이 때 지상의 풍향은 북동풍에서 남서풍으로 변한 후 다시 북동풍으로 변하였다. $PM_{10}$$1.0-10.0{\mu}m$의 큰 입자의 농도의 상관계수는 약 0.9에 가까운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입자의 역궤적 수송 모델 분석 결과, 만주지역과 중국 동쪽 해안으로부터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GIS기반에서 댐 저수량 산정의 정확도 향상 (Accuracy Improvements of DAM-Reservoir Storage Volume Estimation based on GIS)

  • 정인주;문두열;정범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6-144
    • /
    • 2005
  • GIS의 응용은 다양한 지형자료들을 3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수문학 분야에서 효율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형자료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TIN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3차원 지형모델링에 대해서 토공량, 침수량, 저수량 등을 산정하는데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특히 구축된 TIN의 구성요소인 각각의 삼각형에 대하여 체적을 산정함으로써 수위의 변화에 따른 체적산정시 기존의 체적산정식보다 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개발된 식을 검정한 후 저수지의 저수량을 산정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표고를 이용하여 저수량 산정방법과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저수량 산정시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