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Retaining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6초

Green Wall 시스템의 설계 및 해석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Design and Analysis of the Green Wall System)

  • 박시삼;김종민;김홍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681-688
    • /
    • 2005
  • The Green Wall is the highest eco-system among a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s. Recently, the demand of high segmental retaining wall (SRW) is increased in domestic. The soil nailing system is applied in order to maintain the high SRW stability for steeper slope. However, the proper design approach that can consider the earth pressure reduction effects in soil nailing system has not been proposed.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design and analysis technique of the segmental retaining wall reinforced by soil nailing. Also, in this study, various parametric studies using numerical method as shear strength reduction (SSR) technique were carried out. In the parametric study, the length ratio and the bond ratio of the soil nailing were changed to identify the earth pressure reduction effect of the retaining wall reinforced by soil nailing.

  • PDF

혼합 가중치를 적용한 보강토 옹벽의 상태평가항목 가중치 평가 (Weighting Value Evaluation of Condition Assessment Item i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by Applying Hybrid Weighting Technique)

  • 이형도;원정훈;성주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83-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 옹벽 점검 자료를 바탕으로 보강토 옹벽의 상태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새롭게 제안하고 결함점수 및 결함지수를 제안하였다. 161개소의 보강토 옹벽의 점검결과를 근거로 다중회귀분석과 엔트로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태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으며, 또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기법을 활용하여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각 기법에서 도출된 가중치를 활용하여 혼한 가중치를 제안하였으며, 제안 가중치를 토대로 결함점수 및 결함지수를 제안하여 기존 161개소 현장에 적용하여 현재의 가중치와 제안 가중치에 의한 현장별 위험도 순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AHP 기법, 엔트로피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태평가항목의 가중치 순위가 변동이 컸으며, 현재 상태평가항목의 가중치와 달리 가중치 순위의 중복은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특정 상태평가항목이 전체 가중치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제안한 혼합 가중치를 기존 보강토 옹벽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상태평가항목의 가중치 중복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대상 보강토 옹벽 161 개소 중 16 개소의 위험도 순위 상승과 31 개소의 위험도 하락이 발생하였다.

연약점성토지반의 얕은 굴착시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공 (Earth Retaining Structure Using a Row of piles during Shallow Excavation in Soft Clay)

  • 홍원표;윤종민;송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91-20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굴착부지가 넓고 지하수위가 높은 점성토지반에 얕은 굴착시 종래에 널리 적용되었던 강널말뚝 흙막이공 대신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공을 제안하였다.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지하굴착기간 동안 경사계 및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말뚝과 지반의 수평변위와 지하수위 변화를 조사하였다. 현장계측결과 말뚝과 지반의 변형거동은 굴착면 기울기, 말뚝두부구속조건, 말뚝설치간격, 굴착지반의 안정수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공의 시공성과 안정성뿐만 아니라 근접시공의 문제점이 없는 연약지반에서는 강널말뚝 흙막이공보다 경제적인 공법임을 확인하였다.

  • PDF

보강토옹벽에 대한 모형실험 (Model Test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 진병익;유연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2권1호
    • /
    • pp.45-54
    • /
    • 1986
  • 보강토잡벽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경험적인 자료를 제홍하기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이 실시되었다. 본 모형실험에서는 각 축조 단계에서의 보강재의 인장력 변화를 보강재상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하여 계측되었다. 또한 다이알게이지에 의하여 보강토파벽의 수평이동이 측정되었고, 도건의 붕괴형태가 조사되었다. 모형실험에서 측정된 값들은 보강토옹벽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논의하였다. 본 모형실험의 중요한 결과는 보강재의 인장력이 벽면가까이에서 최대가 되어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며, 벽체에 연결된 보강재가 전류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 PDF

지하굴착에 따른 붕괴유형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Failure Type on the Ground Excavation)

  • 이중재;정경식;이창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660-670
    • /
    • 2009
  • Neighboring construction becomes mainstream of Ground excavation in downtown area. This causes the displacement, deformation, stress condition, etc of the ground surroundings. Therefore Neighboring construction have an effect on Neighboring structure. All these years a lot of Neighboring construction carried out, and the accumulation of technology also get accomplished. But earth retaining structure collapse happens yet. Types of earth retaining structure collapse are 12. 1. Failure of anchor or strut system, 2. Insufficiency of penetration, 3. H-pile Failure on excessive bending moment, 4. Slope sliding failure, 5. Excessive settlement of the back, 6. Deflection of H-pile, 7. Joint failure of coupled H-pile, 8. Rock failure when H-pile penetration is rock mass, 9. Plane arrangement of support systems are mechanically weak, 10. Boiling, 11. Heaving, 12. Over excavation. But field collapses are difficult f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because collapse process are complex with various types. When we consider the 12 collapse field, insufficient recognition of ground condition is 4 case. Thorough construction management prevents from fault construction. For limitations of soil survey, It is difficult to estimate ground condition exactly. Therefore, it should estimate the safety of earth retaining system, plan for necessary reinforcement, according to measurement and observation continuously.

  • PDF

보강토옹벽의 배부름현상 분석 및 보강 방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Reinforcement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rough Field Experiment)

  • 이원홍;문병조;이승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03-112
    • /
    • 2019
  • 본 연구는 공용 중 보강토옹벽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현장실험으로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강토옹벽의 배수시설을 미설치하여 강우에 의해 배부름현상이 유도되도록 하였으며, 시공 후 15일간 변위속도가 크게 발생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도된 배부름현상의 변위는 미연방도로국(FHWA)의 시공 중 수평변위 기준을 적용하여 판단하였다. 배부름 현상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토옹벽에 소일네일을 설치하고, 네일의 두부를 수평으로 서로 연결하여 보강토 옹벽의 블록들을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강재들의 보호를 위해 숏크리트로 보강면을 마감하고 계측장치를 설치하였다. 배부름현상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위의 진행을 검측한 결과 보강 후 수평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옹벽겸용 흙막이벽으로 PHC말뚝의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PHC Pile to Earth Retaining and Retention Wall)

  • 한중근;홍기권;어윤원;김상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37-44
    • /
    • 2006
  • 지반굴착에 의한 일반적인 흙막이공과 친환경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조경 및 보강옹벽 등의 시공을 동시에 적용하게 되면 시공기간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비용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흙막이벽과 옹벽구조물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옹벽겸용 흙막이벽 공법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공법은 굴착깊이에 대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법을 응용한 설계패턴을 제시하였고, 시공사례를 통하여 응용설계법에 대한 시공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배면의 여유공간이 부족한 현장의 경우 일반적인 흙막이벽이 갖는 말뚝의 변위 및 굴착한계깊이가 다소 해결될 수 있는 공법으로서의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점토지반내의 IER 지주식 흙막이의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clined Earth Retaining Structure in Clay)

  • 정동욱;임종철;유재원;서민수;구영모;김성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63-75
    • /
    • 2013
  • 기존의 흙막이 공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새로이 고안한 공법이 지주식 흙막이공법이다. 지주식 흙막이 공법은 전면지주와 배면지주를 사항으로 설치하여 일체화시킨 가시설 공법으로, 배면지주의 설치로 인해 전면지주에 작용하는 토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가시설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킨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지반의 실내모형실험을 통해 배면지주의 설치 여부와 지주 하부의 고정 조건 등을 달리하여 지주식 흙막이 공법의 역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내모형실험결과 배면지주의 설치로 인해 IER 벽체의 수평변위가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배면지주의 간격 및 고정 조건에 따른 효과가 분석되었다.

제주 지역의 지반 특성을 고려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에 관한 연구 I -스트럿 공법 시공 사례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to Earth Retaining Wall Considering Ground Characteristics in Jeju I - Case of Strut Construction -)

  • 김도형;이동욱;최희복;고권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55-6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지반 특성(클링커층)을 고려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을 고찰하기 위해 2개의 현장 사례를 이용하여 수평변위에 대한 계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발생에 기인하는 측방토압 예측은 Rankine 토압, Terzaghi & Peck 수정측방토압, Tschebotarioff 측방토압을 이용하여 탄소성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현장에서 예측된 최대 수평변위는 계측값에 비하여 약 5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예측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 발생 지반은 클링커층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현장의 경우에는 예측값이 계측값에 비하여 4배에서 최대 7배까지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 수평변위가 발생한 지반과 수평변위 발생 경향은 예측 방법에 따라 매우 다른 경향을 보였다. 이는 암반층과 클링커층이 교호되어 분포되는 제주 지역의 다층지반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에, 지역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측방토압에 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모사열차 반복하중 재하에 따른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변위 및 토압 분포 (Displacement and Earth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Reinforced Soil Segmental Retaining Walls under the Simulated Cyclic Train Loading)

  • 이진욱;고태훈;이성혁;심재훈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
    • /
    • pp.620-625
    • /
    • 2002
  • In this study, the simulated cyclic train loading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in/at the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 results in this test were compared with unreinforced and reinforced case,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we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earth pressure and displacement, the confining effect of wall displacement by the effect of geogri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