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albedo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보현산 천문대 소행성 관측 연구 (KEEP-North : Kirkwood Excitation and Exile Patrol of the Northern Sky)

  • Kim, Myung-Jin;Choi, Young-Jun;Moon, Hong-Kyu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61.3-62
    • /
    • 2016
  • An asteroid family is a group of asteroidal objects in the proper orbital element space (a, e, and i),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disruption of a large parent body through a catastrophic collision. Family members usually have similar surface properties such as spectral taxonomy types, colors, and visible geometric albedo with a same dynamical age. Therefore an asteroid family could be called as a natural Solar System laboratory and is also regarded as a powerful tool to investigate space weathering and non-gravitational phenomena such as the Yarkovsky/YORP effects. We carry out time series photometric observations for a number of asteroid families to obtain thei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sizes, shapes, rotational periods, spin axes, colors, and H-G parameters based on nearly round-the-clock observations, using several 0.5-2 meter class telescop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ing BOAO 1.8 m, LOAO 1.0 m, SOAO 0.6 m facilities in KASI, McDonald Observatory 2.1 m instrument, NARIT 2.4 m and TUG 1.0 m telescopes. This study is expected to find, for the first time, some important clues on the collisional history in our Solar System and the mechanisms where the family members are being transported from the resonance regions in the Main-belt to the near Earth space.

  • PDF

GMS/S-VISSR 자료로부터 Bispectral Thresholds 기법을 이용한 운량 분석에 관하여 (Cloud Cover Analysis from the GMS/S-VISSR Imagery Using Bispectral Thresholds Technique)

  • 서명석;박경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9
    • /
    • 1993
  • A simple bispectral threshold technique which reflects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area has been developed to classify the cloud type and estimate the cloud cover from GMS/S-VISSR(Stretched Visible and Infrared Spin Scan Radiometer) imagery. In this research, we divided the analysis area into land and sea to consider their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and used the same time observation data to exclude the solar zenith angle effects included in the raw data. Statistical clear sky radiance(CSRs) was constructed using maximum brightness temperature and minimum albedo from the S-VISSR imagery data during consecutive two weeks. The CSR used in the cloud anaysis was updated on the daily basis by using CSRs, the standard deviation of CSRs and present raw data to reflect the daily variation of temperature. Thresholds were applied to classify the cloud type and estimate the cloud cover from GMS/S-VISST imagery. We used a different thresholds according to the earth surface type and the thresholds were enough to resolve the spatial variation of brightness temperature and the noise in raw data. To classify the ambiguous pixels, we used the time series of 2-D histogram and local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sults showed a little improvements. Visual comparisons among the present research results, KMA's manual analysis and observed sea level charts showed a good agreement in quality.

정지궤도 천리안위성 해양관측센서 GOCI의 Tasseled Cap 변환계수 산출연구 (A Study of Tasseled Cap Transformation Coefficient for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 신지선;박욱;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5-292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고유의 Tasseled Cap Transformation(TCT) 계수를 제시하고 있다. TCT는 다중밴드 센서 자료로부터 지표의 특성을 분석하는 전통적인 영상변환 방법 중 하나로 새로운 다중밴드 광학센서가 관측을 시작하는 경우 센서의 특성 차이로 인하여 각각의 육상관측 위성센서에 적합한 TCT 계수들이 장기 분석을 통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GOCI 센서는 해양관측이 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영상의 상당 부분은 육지를 관측하고 있으며 밴드 구성은 육지관측에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Visible-Near InfraRed(VNIR)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GOCI 센서의 높은 시간 해상도는 지표의 일별 변화의 관측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GOCI 센서에 대한 고유한 TCT가 제공된다면 GOCI 센서의 관측범위 내에서 준 실시간으로 지표변화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TCT는 일반적으로 "Brightness", "Greenness", "Wetness"의 세 가지 정보를 포함하지만, ShortWave InfraRed(SWIR) 파장대역이 없는 GOCI 센서의 경우에는 "Wetness"의 정보를 얻을 수 없다. GOCI 센서의 높은 시간 해상도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Wetness"의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Wetness"의 정보를 얻기 위해 GOCI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공간을 MODIS TCT 공간에 선형 회귀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산출된 GOCI TCT 계수는 정지궤도의 특성에 의해 관측 시간대별로 다른 변환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GOCI TCT 자료와 MODIS TCT 자료 사이의 상관관계가 비교되었다. 그 결과, "Brightness"와 "Greenness"는 4시 자료, "Wetness"는 2시 자료의 변환계수가 선택되었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변환계수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OCI TCT 자료는 MODIS TCT 영상 및 여러 육상 파라미터들과 비교되었다. GOCI TCT 영상은 MODIS TCT 영상보다 지표 피복의 분류가 더 세밀하게 표현되었으며, GOCI TCT 공간의 지표 피복 분포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줬다. 또한 GOCI TCT의 "Brightness", "Greenness", "Wetness" 자료는 Albedo($R^2$ = 0.75),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R^2$ = 0.97), Normalized Difference Moisture Index(NDMI) ($R^2$ = 0.77)와 각각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적절한 TCT 계수의 산출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GEMS 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산불 연기 탐지 (Detection of Wildfire Smoke Plumes Using GEMS Images and Machine Learning)

  • 정예민;김서연;김승연;유정아;이동원;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3호
    • /
    • pp.967-977
    • /
    • 2022
  • 산불의 발생과 강도는 기후 변화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다. 산불 연기에 의한 배출가스 대기질과 온실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산불 연기의 효과적인 탐지를 위해서는 위성 산출물과 기계학습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산불 연기 탐지에 대한 연구는 구름 식별의 어려움 및 모호한 경계 기준 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위성 센서인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의 Level 1, Level 2 자료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산불 연기 탐지를 목적으로 한다. 2022년 3월 강원도 산불을 사례로 선정하여 산불 연기 레이블 영상을 생성하고, 랜덤 포레스트 모델에 GEMS Level 1 및 Level 2 자료를 투입하여 연기 픽셀 분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훈련된 모델에서 입력변수의 중요도는 Aerosol Optical Depth (AOD), 380 nm 및 340 nm의 복사휘도 차, Ultra-Violet Aerosol Index (UVAI), Visible Aerosol Index (VisAI), Single Scattering Albedo (SSA), 포름알데히드, 이산화질소, 380 nm 복사휘도, 340 nm 복사휘도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2,704개 픽셀에 대한 산불 연기 확률(0≤p≤1) 추정에서 Mean Bias Error (MBE)는 -0.002, Mean Absolute Error (MAE)는 0.026, 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0.087, Correlation Coefficient (CC)는 0.981의 정확도를 보였다.

구름과 에어로솔의 혼재시 에어로솔의 광학특성이 상향 단파 복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sol Optical Properties on Upward Shortwave Flux in the Presence of Aerosol and Cloud layers)

  • 이권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1-311
    • /
    • 2017
  • 에어로솔의 광학특성과 연직고도는 태양 복사의 반사와 흡수과정을 통하여 지구복사수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사전달모델과 위성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구름의 존재 시 에어로솔 층에 의한 복사특성을 분석하였다. 복사전달 모의 결과는 구름이 하부에 존재하는 경우에 에어로솔 층의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기 온난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에어로솔의 광 흡수성이 커질수록, 지표 반사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연구대상지역 ($20-50^{\circ}N$, $110-140^{\circ}E$)에서 주요 에어로솔 이벤트 사례에 대하여, UV Absorbing Aerosol Index (AAI) derived from 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 (TOMS), cloud parameters derived from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with Upward Shortwave Flux (USF) Clouds and the Earth's Radiant Energy System (CERES) 위성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광 흡수성 에어로솔에 의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사례에 대한 평균적인 복사효과는 약 6 - 26 %에 해당하는 상향 단파 복사량의 감쇄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에어로솔에 의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정량화 하기 위한 중요성을 설명해 준다.

DEEP-South: Round-the-clock Census of Small bodies in the Southern Sky

  • Moon, Hong-Kyu;Kim, Myung-Jin;Yim, Hong-Suh;Choi, Young-Jun;Bae, Young-Ho;Roh, Dong-Goo;Ishiguro, Masateru;Mainzer, Amy;Bauer, James;Byun, Yong-Ik;Larson, Steve;Alcock, Charles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56.3-57
    • /
    • 2015
  • As of early 2015, more than 12,000 Near-Earth Objects (NEOs) have been catalogued by the Minor Planet Center, however their observational properties such as broadband colors and rotational periods are known only for a small fraction of the population. Thanks to time series observations with the KMTNet, orbits, optical sizes (and albedo), spin states and three dimensional shapes of asteroids and comets including NEOs will b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and archived for the first time. Based on SDSS and BVRI colors, their approximate surface mineralogy will also be characterized. This so-called DEEP-South (Deep Ecliptic Patrol of the Southern Sky) project will provide a prompt solution to the demand from the scientific community to bridge the gaps in global sky coverage with a coordinated use of the network of ground-based telescopes in the southern hemisphere. We will soon finish implementing dedicated software subsystem consisted of automated observation scheduler and data pipeline for the sake of increased discovery rate, rapid follow-up, timely phase coverage, and efficient data analysis. We will give a brief introduction to test runs conducted at CTIO with the first KMTNet telescope in February and March 2015 and experimental data processing. Preliminary scientific results will also be presented.

  • PDF

겨울철 동아시아 지역 기온의 계절 예측에 눈깊이 초기화가 미치는 영향 (Impact of Snow Depth Initialization on Seasonal Prediction of Surface Air Temperature over East Asia for Winter Season)

  • 우성호;정지훈;김백민;김성중
    • 대기
    • /
    • 제22권1호
    • /
    • pp.117-128
    • /
    • 2012
  • Does snow depth initialization have a quantitative impact on sub-seasonal to seasonal prediction skill? To answer this question, a snow depth initialization technique for seasonal forecast system has been implemented and the impact of the initialization on the seasonal forecast of surface air temperature during the wintertime is examined. Since the snow depth observation can not be directly used in the model simulation due to the large systematic bias and much smaller model variability, an anomaly rescaling method to the snow depth initialization is applied. Snow depth in the model is initialized by adding a rescaled snow depth observation anomaly to the model snow depth climatology. A suite of seasonal forecast is performed for each year in recent 12 years (1999-2010) with and without the snow depth initializa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at the seasonal forecast of surface air temperature over East Asian region sensitively depends on the initial snow depth anomaly over the region. However, the sensitivity shows large differences for different timing of the initialization and forecast lead time. Especially, the snow depth anomaly initialized in the late winter (Mar. 1) is the most effective in modulating the surface air temperature anomaly after one month. The real predictability gained by the snow depth initialization is also examined from the comparison with observation. The gain of the real predictability is generally small except for the forecasting experiment in the early winter (Nov. 1), which shows some skillful forecas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are discussed.

선포토미터 데이터를 이용한 편광소멸도 산출과 라이다 편광소멸도와의 비교 (Retrieval of Depolarization ratio using Sunphotometer data and Comparison with LIDAR Depolarization ratio)

  • 김관철;최성철;노영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7-1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일본 오사카에서 AERONET 선포토미터로 관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440, 675, 870, 1020 nm 파장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결과는 같은 지역에서 측정된 라이다 자료로부터 얻어진 532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와 비교하였다. 두 값은 440 nm를 제외하고는 잘 일치되는 결과를 보였고, 상관계수($R^2$)는 440, 675, 870, 1020 nm에서 각각 0.28, 0.81, 0.88 0.89의 값을 보였다.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인 1020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를 기준으로 값의 변화에 따른 입자의 혼합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순수 황사의 경우 높은 편광소멸도를 보이고 오염입자가 혼합될수록 값이 낮아짐을 보였다. 이는 단산란 알베도와 입자 크기 분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Development of Land fog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Opt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Fog using COMS Data

  • Suh, Myoung-Seok;Lee, Seung-Ju;Kim, So-Hyeong;Han, Ji-Hye;Seo, Eun-K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9-375
    • /
    • 2017
  • We developed fog detection algorithm (KNU_FDA) based on the opt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fog using satellite (COMS) and ground observation data. The optical properties are dual channel difference (DCD: BT3.7 - BT11) and albedo, and the textural properties are normalized local standard deviation of IR1 and visible channels.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ir temperature and BT11 is applied to discriminate the fog from other clouds. Fog det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olar zenith angle of pixel because of the different availability of satellite data: day, night and dawn/dusk. Post-processing is also perform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POD), in particular, at the edge of main fog area. The fog probability is calculated by the weighted sum of threshold tests. The initial threshold and weighting values are optimized using sensitivity tests for the varying threshold values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The validation results with ground visibility data for the validation case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KNU_FDA show relatively consistent detection skills but it clearly depends on the fog types and time of day. The average POD and FAR (False Alarm Ratio)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cases are ranged from 0.76 to 0.90 and from 0.41 to 0.63, respectively. In general, the performance is relatively good for the fog without high cloud and strong fog but that is significantly decreased for the weak fog. In order to improve the detection skills and stability, optimization of threshold and weighting values are needed through the various training cases.

대기 복사 모형에 의한 세종기지에서의 복사학적 특징: 복사 대류 평형 모형을 이용한 기후 변화 연구 (Radiative Properties of K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with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Climate Change using Radiative Convective Equilibrium Model)

  • 이규태;이방용;지준범;윤영준;이원학
    • 지구물리
    • /
    • 제9권1호
    • /
    • pp.27-36
    • /
    • 2006
  • 연직 공기 기둥에 대한 복사 및 대류 과정이 포함된 일차원 복사-대류 평형 모형을 구축하였고, 이 모형을 이용하여 남극 세종기지에서 복사-대류 평형 온도를 계산 하고 분석하였다. 이 모형의 반응도에서 지표면 알베도와 태양 천정각의 코사인 및 이산화탄소 증가는 지표면에서의 복사-대류 평형 온도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구름 광학두께가 비교적 큰 하층운은 지표면 온도를 감소시키나, 구름 광학두께가 작은 상층운은 온실효과 때문에 지표면 온도를 증가시켰다. 남극 세종기지의 44년 (1958∼2001)의 기간에 대하여 계산된 지표면에서의 복사-대류 평형 온도의 연변화는 0.012oC/년이었다. 마찬가지로 13년 동안(1989∼2001)의 자료에 대한 복사-평형 온도 변화는 0.01oC/월이었으며, 동일한 기간의 관측 자료 분석 결과로는 0.005oC/월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