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Maturing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9초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성성숙과 산란 (On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HILGENDORF))

  • 백혜자;김형배;이택열;이병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77-483
    • /
    • 1985
  • 부산 해운대 동백섬 연안에서 1983년 2월부터 1984년 1월까지 채집한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성숙과 산란에 관여하는 형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별체장조성 조사 결과, 점망둑은 만 1년만에 성숙하여 산란을 마치고 사망하는 1년생 어류로 판단되었다. 2. 간숙도지수는 암${\cdot}$수 모두 생식소 활성화가 일어나는 2월에 peak를 이루고 산란기인 $4{sim}7$월 사이에는 낮은 값을 보이는데, 이는 간에서 생성된 물질이 생식세포성숙과 직접 관련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3. 비만도변화는 암${\cdot}$수 모두 산란기에 저조한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생식활동에 의한 체력에너지 손실로 여겨진다. 4. 성숙란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월부터 산란이 끝난 8월까지의 개체를 대상으로 그들이 포란하고 있는 난경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한 산란기 동안 1회 산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5. 성숙개체의 포란수를 조사한 결과, 절대포란수는 체장, 체중증가에 비례하나 상대포란수는 체장증가에는 비례하는 반면 체중증가에 따라서는 오히려 감소현상을 나타냈다.

  • PDF

사료용 맥류의 맥종별 건물수량에 대한 식물체 부위별 기여도 (Contribution Rate of Plant Parts to Dry Matter Yields in Winter Forage Crops)

  • 권영업;박형호;백성범;박광근;김정곤;이재은;서종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2-298
    • /
    • 2010
  • 총체 담근먹이용 조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맥종들의 출수 후 생육시기별 전체건물수량에 대한 식물체 각 부위별 기여도를 분석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조사료용 맥류 품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 후 생육시기별 건물생산에 대한 부위별 건물중의 기여도 변화 유형은 맥종에 따라 부위별 기여기간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보리는 귀리와 밀은 호밀 및 트리 티케일과 각각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보리와 귀리는 출수 후 20일 이후부터 전체 건물수량에 대한 부위별 기여도가 줄기에서 이삭으로 변화되는 반면 밀, 호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이후부터 이삭의 기여도가 줄기의 기여도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전 맥종에서 줄기 건물중과 이삭 건물중이 출수 후 전 기간에 걸쳐 전체 건물수량에 있어서 주도적인 기여를 한 반면 잎 건물중의 기여도는 출수 후 10일 이후에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줄기 건물중에 대한 기여도는 초장보다 수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생산성이 우수한 담근먹이용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각 맥종 공히 새육후기에 전체건물수량에 대한 이삭 건물중의 기여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하면 이삭의 등숙이 빠르고 이삭무게가 무거운 수중형 품종이 수량성 및 이용성제고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면교잡에 의한 강낭콩 F1 세대의 조합능력 검정 (Combining Ability Test of F1 Generation by Diallel Cross in Kidney Bean)

  • 김용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1-214
    • /
    • 2005
  • 강낭콩 육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형질상호간의 특성이 다른 7개 품종과 이들을 이면교잡하여 얻은 $F_{1}$ 종자를 재료로 각 형질에 대한 조합능력을 추정한 결과, 주당립수를 제외한 전 형질에서 일반조합능력의 값이 특정조합능력의 값보다 크게 나타났다. 일반조합능력의 효과를 보면 Felibon이 주당립수와 개화일수에서, Local variety $\#1$이 100립중과 경장 등에서 효과가 높았고, Local variety $\#2$는 주당립중과 100립중에서, Processor는 주당립중과 생육일수에서, Kaboom은 개화일수와 생육일수에서, $BO_{22}$는 주당립중과 100립중에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특정조합능력 의 효과에서는 $Felibon{\times}Renka$, Local variety $\#1{\times}Processor$, Local variety $\#2{\times}Processor$ 등의 조합들이 개화일수와 생육일수에서 높은 부의 효과를 보여 조숙품종 육성조합으로 유망하였다. $Felibon{\times}Local$ variety $\#1$, $Felibon{\times}Renka$ and Local variety $\#2{\times}BO_{22}$등의 조합들은 수량형질에서 높은 정의 효과를 보여 다수성 품종 육성조합으로 유망하였다.

춘.추파성 소맥품종들의 생육 및 수량성분석 (Analyses of Growth and Developmental Patterns and Subsequent Grain Yield of Selected Winter and Spring Wheat Cultivars Triticum aestivum L. em Thell)

  • 최병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3-100
    • /
    • 1985
  • 벼-밀, 밀-콩 또는 밀-참깨 작부체계에 알맞은 밀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전략수립에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육성배경, 유전 및 생태적 특성이 상이한 추.춘파성 소맥 10품종을 1개월 간격으로 5회 파종하였다. Zadoks등(1974)의 Growth Stage Code를 이용하여 이 품종들의 생장단계별 기간 및 수량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시험은 미국 오레곤주 주립대학교에서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추파성품종 조광과 춘파성 품종 중국81호는 간신장기에서 출수기까지의 기간이 짧았으나 등숙기간이 길었다. 추파성품종 Yamhill과 Hyslop은 간신장기에서 출수기까지의 기간이 긴 반면 등숙기간이 짧고 종실수량이 높았다. 2. 추파성품종이 춘파성품종에 비하여 환경변이에 대한 반응이 컸고 품종$\times$환경 상호작용이 있어 파종기에 대한 추.춘파성 품종들의 반응도 크게 달랐다. 3. 간신장기에서 시작하여 성숙기까지 춘.추파성 품종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간신장기는 파종기 및 품종간에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4. 따라서 추.춘파성 품종간 교배에 의하여 조숙다수성 품종 육성이 가능하고 이모작재배에 알맞은 우량개체 및 계통 선발을 위하여 분리집단을 2~3회 파종하고 개체 선발을 간신장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선발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성지역의 작부시기에 알맞는 개체 및 계통을 선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벼 수발아시 종실내 효소활성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 고종철;김보경;이규성;최원영;최혜란;조은애;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378-383
    • /
    • 2005
  • 수발아는 벼 재배에서 주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수발아시 배유 저장 양분의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의 수발아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유 저장양분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를 포함하는 효소의 활성은 수발아 중인 종자와 완전 성숙 건조한 종자에서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을 조${\cdot}$중만생 품종으로부터 수발아성이 서로 다른 각각 4개의 품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만생종에서 출수후 40일된 종실의 수발아율은 남평벼, 퐁안벼, 호안벼, 동진벼 순으로 높았으며 동진벼의 수발아율은 약 $62\%$였다. 조생종에서 수발아율은 운봉벼, 오대벼, 대관벼, 대성벼 순으로 높았으며 대성벼의 수발아율은 약 $59\%$였다. 2.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율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출 수 후 40일된 종파의 $\alpha$-amylase 활성은 중만생종에서는 동진벼자 가장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대성벼가 가장 높았다. 또한,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beta$-amylase활성은 $\alpha$-amylase활성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조${\cdot}$중만생 품종 모두에서 $\beta$-amylase 활성과 수발아성 사이에는 일정한 관련성이 없었다. 3. 수발아 종자와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glucose 함량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4. peroxidase 활성은 조${\cdot}$중만생종 모두에서 수발아율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Catalase 활성은 수발아성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새로운 유지작물 기름골의 재배기술과 사료가치 (Studies on the Cultivation Technique and Evaluation of Forage Resources for a New Oil Crop Chufa(Cyperus esculentus L.))

  • 성병렬;김종근;김원호;박희운;방진기;송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3-170
    • /
    • 2004
  • 새로 도입된 기름골의 적정 질소 시비량, 재식거리 및 파종기를 규명함과 동시에 수확 후 농업부산물인 경엽의 사료가치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기름골의 질소시비에 대한 반응이 둔감하여 질소 시용량이 많을수록 생괴경의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10kg/10a 정도이며, 적정 재식거리는 휴폭 50cm, 주간거리 15∼20cm로 하여, 1본 2립씩 파종하는 것이 생괴경 수량성이 높곤 파종기는 파종전 5일간 침종한 후 5월 10일경에 파종할 경우 초장이 길고, 주당 괴경수도 많았다. 또한, 기름골 수집종의 사료 가치 평가에서 초장은 평균 126cm, $\m^2$당 경수는 671개, 도복은 중 정도이었으며, 괴경 수확 후 잎의 10a당 생초수량은 2,135kg, 건물수량은 590kg 정도이었으며, 사료가치는, 경엽의 조단백질 함량은 볏짚보다 약 2배 정도 높고 조지방도 다소 높으며 가축의 기호성은 볏짚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사일리지 품질특성 중 ADF 값은 볏짚보다 낮으며, NDF 및 가소화 양분 총량은 거의 같았고, 소화율은 11% 정도 높으므로서, 기름골 부산물인 경엽은 조사료로서의 이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인정된다.

줄무늬잎마름병(호엽고병)에 대한 벼품종의 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to the rice stripe virus disease)

  • 이순형;김종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47-54
    • /
    • 1968
  • 벼의 줄무늬잎마름병 방제에 보다 능률적이고 완전한 실효를 얻기 위해 우선 본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방법을비교검토하고 장려 품종 중에서 저항성품종을 선발하여 장래 저항성품종 육성의 모체를 제공할 목적으로 410품종에 대하여 저항성검정을 실시하였다. (1) 집단접종과 개체접종법을 비교 검토한 결과 발병률은 집단접종법이 다소 높은 경향이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발병지수에서 Lacrose는 두 방법이 모두 S였고 Zenith$\cdot$St. No.1$\cdot$St. No. 2$는 R, 나머지는 M로 나타나 같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3) 병징형은 이병성품종에서는 모두 감수성형인 A형이 많고 저항성품종에서는 반대로 저항성병징형인 C형이 많아 두 방법이 같은 경향을 보여 주였다. (4) 410품종의 저항성검정에서 저항성이(12품종) St. No.1$\cdot$St. No. 2$\cdot$ 신 2호$\cdot$Gulfrosebonnet$\cdot$Arkroe$\cdot$Sunbonnet$\cdot$Zenith$\cdot$이천칠일찰$\cdot$농림 24호$\cdot$오백조계$\cdot$양주밭찰$\cdot$농림나 1호 등이고 남선97$\cdot\;149\cdot\;159\cdot\;216\cdot\265$호, 이황 $243\cdot\;265$, 간척 $5\cdot\;7\cdot\;8\cdot\;10\cdot\;41\cdot\;43\cdot\;47\cdot\;50$호 수원 $56\cdot$77호$\cdot$농림 22호$\cdot\;Cod-4\cdot\;Lacrose\cdot\;$적나 등은 이병성이며, 중간성이 377품종이었다. (5) 숙기별로 볼 때 큰 차이는 없으나, 만생$\cdot$조생$\cdot$중생종의 순으로 저항성이 컸다. (6) 장려품 중에서는 신 2호 외는 거의 중간성이었다.

  • PDF

Effect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Infested Soil on the Agronomic Characters of Three Different Barley Varieties

  • Hyun, Jong-Nae;Hong, Yeon-Kyu;Lim, Sea-Gyu;Kim, Yang-Gil;Kim, Mi-Jung;Lee, Mi-Ja;Lee, Key-W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27-433
    • /
    • 2008
  •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in barley yield and is difficult to control due to alive parasitic soil-borne fungus, Palmyra gamines that transmits the, virus.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a virus-free soil could be infested by using virus-contaminated farming machineneries and implements. For the further confirmation of this finding, different proportions of BaYMV-infested soil were mixed into virus free soil. Three barley varieties (Hordum vulgarae, cv "Olbori", "Baegdong" and "Sacheon 6") were sown in pots treated with different rate of P. graminis-infested soil ranging from 0% to 100% in October 20, 2001. Results showed that BaYMV infection increased as the rate of infested soil increased. Initial symptoms were observed in a pots treated with 10% infested soil in all the 3 varieties of barley. "Olbori" had about 5% infection in 20% infested soil and about 10% infection in 40% or 50% infested soil and about 20% infection in 60% infested soil. In "Baegdong", the trend of BYMV occurrence was similar with "Olbori" but the time of severe infection was earlier than "Olbori". BaYMV infection in "Sacheon 6" was even earlier than "Baegdong" with much more severe symptoms than "Baegdong". The growth rate of barley was affected by about 19-22% when grown in 20% infested soil. As the rate of BaYMV infested soil increased the heading date was delayed but the maturing date was early in "Olbori" and "Sacheon 6". Also, reduction rate of culm length in 3 varieties increased with increase of infested soil content. However, "Olbori"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Sacheon 6", have been characterized with long spike length, however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infested soi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pike length of "Olbori"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despite of increased of infested soil. The reduction rate of 1000 kernel weight was higher in large kernel size cultivar "Sacheon 6" and "Olbori" than small kernel size "Baegdong" as increase of BaYMV-infested soil content.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marina L. Population at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이상룡;이성미;김정하;최청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70-77
    • /
    • 2003
  •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t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를 1998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거머리말의 계절에 따른 생육관계, 생육밀도, 생물량과 환경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괴내 영양염 농도는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질산염은 하계에 낮았으나, 암모니아는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거머리말 생육지에서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하계보다 동계에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의 길이는 54.2(3월0~100.0cm (10월), 생식지의 길이는 97.8(3월)~213.0 cm(7월)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생식지는 3월 중순부터 9월초까지 출현하였다. 생식지의 개화는 수온이 12$^{\circ}C$부터 시작하여 21$^{\circ}C$까지 지속되었으며, 열매 성숙은 수온이 22~$25^{\circ}C$범위에서 나타났다. 영구 반형구(0.25$m^2$)내의 생육밀도는 38~136(평균 80.3$\pm$6.5), 생물량은 190(10월)~922 g dry wt m$^{-2}$ (6월)로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식물체의 형태적 형질과 이화학적 요인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계절에 따른 수온의 변화는 거머리말 생식지의 생육단계와 영양지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협채용 강낭콩의 채종기술 확립 (Technology of Good Quality Seed Production in Snap-bean (Phaseolus vulgaris L.))

  • 권철상;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2권
    • /
    • pp.1-12
    • /
    • 2004
  • Pod-edible bean or snap bean is a fairly new crop to domestic farmers but the national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western food business and change in dietary patterns. At the same time, much efforts are being made to export it to foreign country, mainly to Japan. The amount of seeds introduced from outside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along with the enlargement of area planted for the crop. Hybridization breeding for the crop has already been started to supply the cheaper and better seeds which will reduce the seed costs and foster the higher income to the farmers. In this experiment, several technologies related with the production of quality seeds are preliminary investigated. Some of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ighly significant interaction was recognized between planting dates and no. of pods per plant and no. of branches but no interaction between planting dates and plant height and no. of nodes on main stem. Days to maturity was proportionally reduced to later planting dates. 2. Rate of viviparous pods and seeds was gradually increased in later planting dates but rate of germination was increased in earlier planting dates with lower germination rate in white seed coat grains than in colored seed ones. 3. Seed yield was higher in the earlier planting dates with a great deal of varietal difference. Early to mid April was considered to he the optimum planting dates for snap bean in Kyungbuk area. High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seed yield and no. of pods per plant, no. of seeds per plant, and 100 seed weight. 4. Days to flowering was three and seven days longer in Cheongsong, high mountainous area than in Kunwi, somewhat prairie lowland. One hundred seed weight was also higher in Cheongsong than in Kunwi. Rate of viviparous grains, pods, and decayed seeds was higher in Cheongsong but, at the same time, the rate of germination and seed yield was also higher in Cheongsong. 5. One hundred seed weight of KLG5007 increased continuously up to 35days after flowering and decreased thereafter but that of KLG50027 increased to 40days after flowering and slowly reduced thereafter. The content of crude oil reached to maximum at 40 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The rate of germination in Gangnangkong 1 was the highest, 89.3%, at 35 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while that in KLG50027 reached to maximum, 70.7%. at 40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Thus, the optimum harvesting time for snap bean was considered to be 35~40days after flowering. 6. The snap bean pods at yellow bean stage easily became viviparous ones under saturated moisture conditions for 24 hours at $25{\sim}30^{\circ}C$.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rvest pods somewhat earlier than yellow-bean stage and let them do post maturing, especially when it is to be ra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