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벼 수발아시 종실내 효소활성의 품종간 차이

  • Ko Jong-Cheol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im Bo-kyeong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Lee Kyu-Seo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oi Weon-Young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Choi Heh-Ran (Division of Biological Resources Sciences, Chonbuk Nat'l Univ.) ;
  • Cho Eun-Ae (Division of Biological Resources Sciences, Chonbuk Nat'l Univ.) ;
  • Yu Song-Joong (Division of Biological Resources Sciences, Chonbuk Nat'l Univ.)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viviparous germination ability and the antioxidative system in rice seeds and seedlings. Enzyme activities was compared among the four varieties with different viviparous germination ability from the early or mid-late maturity group. $\alpha$-Amylase activities correlated with the viviparous germination rate (VGRs) and $\alpha$-amylase activity in seeds of 40 days after heading (DAH) was highest in Dongjinbyeo among mid­late maturing varieties (MLMVs) and in Daeseongbyeo among EMVs. $\alpha$-Amylase activity in dry mature seeds was also higher in varieties with higher VGR. Glucose contents in viviparously germinating seeds and mature dry, seeds were higher in varieties with higher VGRs. Cat-alase activities did not correlate with the VGRs in both maturity groups. However, peroxidase activities in viviparously germinating seeds were higher in varieties with higher VGRs.

수발아는 벼 재배에서 주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수발아시 배유 저장 양분의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의 수발아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유 저장양분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를 포함하는 효소의 활성은 수발아 중인 종자와 완전 성숙 건조한 종자에서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을 조${\cdot}$중만생 품종으로부터 수발아성이 서로 다른 각각 4개의 품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만생종에서 출수후 40일된 종실의 수발아율은 남평벼, 퐁안벼, 호안벼, 동진벼 순으로 높았으며 동진벼의 수발아율은 약 $62\%$였다. 조생종에서 수발아율은 운봉벼, 오대벼, 대관벼, 대성벼 순으로 높았으며 대성벼의 수발아율은 약 $59\%$였다. 2.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율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출 수 후 40일된 종파의 $\alpha$-amylase 활성은 중만생종에서는 동진벼자 가장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대성벼가 가장 높았다. 또한,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beta$-amylase활성은 $\alpha$-amylase활성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조${\cdot}$중만생 품종 모두에서 $\beta$-amylase 활성과 수발아성 사이에는 일정한 관련성이 없었다. 3. 수발아 종자와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glucose 함량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4. peroxidase 활성은 조${\cdot}$중만생종 모두에서 수발아율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Catalase 활성은 수발아성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Anderson, M. D. and Prasad Stewat C. R. 1995. Changes in isozyme profiles of catalase, peroxidase, glutathione reductase during acclimation to chilling in mesocotyls of maize seedlings. Plant Physiol. 109: 1247-1257 https://doi.org/10.1104/pp.109.4.1247
  2. Daussant, J., S. Miyata, T. Mitumi, and T. Akazawa. 1983. Enzymic mechanism of starch breakdown in germination rice seeds. 15. Immunochemical study on multiple forms of amylase. Plant Physiol, 71: 88-95 https://doi.org/10.1104/pp.71.1.88
  3. Hunan Agriculture College. 1977. A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omparison between Nan-You 2 and its parents. Hunan Agri. Sci. Technol. 1: 16-17
  4. 홍유기, 송남현, 박준규, 정규용, 유도중, 이준배. 1980. 수도신품종 수발아성에 관한 조사 연구. 경기농업연구 1: 29-34
  5. 조재영 외 15인 1998. 재배학 원론. 향문사 pp. 320-321
  6. 조동삼, 손석용, 김종환, 윤 태, 박성규, 권규칠. 1988. 수도 수발아성에 관한 연구(II). 재배시기 이동에 따른 수발아성. 충북 대학교 농업과학 연구보고 제 6권 1호: 3-10
  7. 김봉구, 이동진. 1996. 벼 수발아의 품종간 차이와 왕겨 추출물의 발아억제물질효과. 한작지 41(4): 434-440
  8. 이덕배, 권태오, 박석홍. 1994. 1대 잡종벼의 발아시 종실내 성분의 변화와 발아율 및 초기생육. 한작지. 39: 412-419
  9. 이규성, 이영태, 신문식, 신현탁, 전병태. 1990. 이면교잡에 의한 벼수발아성 유전 분석. 한작지 22(3): 240-244
  10. 이수관. 1984. 수도수발아 현상에 관한 연구. 농진청. 연구지도속보 3(6): 27-29
  11. Lu, D. 1987.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 heterosis of root and shoot system of hybrid rice shan-You 6. China J. Rice Sci. 1: 81-94
  12. 丸山淸明. 1980. イネ雜種集 にねける穗發芽難個體 選拔法. 育雜誌 30(4): 344-350
  13. Masatoshi, T. 1996. Catalase activity of rice seed embryo and it's relation to germination rate at Low temperature. Breeding Science 46: 23-27
  14. Navasero, E. P., L. C. Baun, and B. O. Junliano. 1975. Grain Dormancy, peroxidase activity and oxygenuptake in Oryza sativa. Phytochemistry 14: 1899-1902 https://doi.org/10.1016/0031-9422(75)83092-5
  15. 노영덕. 1991. 수도품종의 수발아와 관련한 수발아성에 관한 연구.한작지 29(1): 15-18
  16. Okamoto, K. and T. Akazawa. 1980. Enzymic mechanism of starch breakdown in germination rice seeds. 9. denovo synthesis of $\beta$-amylase. Plant Physiol. 65: 81-84 https://doi.org/10.1104/pp.65.1.81
  17. Soh, C. H., Y. Kamiya, S. Yoshida, H. Yamane, and N. Takahashi. 1994. Effects of gibberellin and prohexadion on the activities of oryzain and $\alpha$-amylase in rice seeds. Plant Cell Physiol. 35(7): 1037-1042
  18. 서기호, 김용육. 1995. 출수후 경과일수 및 온도에 따른 벼 품종간 수발아성 차이. 한작지 39(2): 187-182
  19. 소창호, 노영덕, 윤진일. 김영채. 1995. 벼 종자 출아시 온도차이가 amylase와 per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40(4): 525-532
  20. Yamaguchi, J., S. ltoh, T. Saitoh, A. Ikeda, T. Tashiro, and Y. Nagato. 1999. Chatracterization of B-amylase and its deficiency in various rice cultivars. Theor. Appl. Gene. 98: 32-38 https://doi.org/10.1007/s001220051036
  21. Yoon, B. S. 1998. Seedling emergence and $\beta$-amylase activity of cultivars under the low temperature and submerged soil condition. Ph D thesis,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