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frost damag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8초

환원슬래그를 이용하여 개발된 자기발열 시멘트의 해외 Mock-up Test 관한 연구 (International Test Mock-up of the Self-Heating of Cement Developed using a Reducing Slag)

  • 민태범;최현국;김형철;김재영;안동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8-229
    • /
    • 2017
  • MOCK-UP TEST was conducted in the extreme region of the cement which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by using the reducing sla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asic properties (air volume, slump) are improved compared with the specimens using Mongolian cement. The compressive strength achieved the target strength (target strength: age 3day: 7MPa, age 7day 14MPa) and the hydration heat was about 8 ℃ higher than that of Mongolian cement produc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ement powders developed by our company showed the strength of concrete due to high hydration heat even at extreme temperatures.

  • PDF

내한촉진제를 이용한 시멘트 모르터의 동결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zing and Strength Properties of Cement Mortar using Accelerator for Freezing Resistance)

  • 박상준;김동석;원철;이상수;김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1267-1272
    • /
    • 2000
  • When fresh concrete is exposed to low temperature, the concrete may suffer frost damage due to freezing at early ages and strength development may be delayed. These are problems on cold weather concrete. One of the solution methods for resolving these problems has been to reduce the freezing temperature of concrete by the use of chemical admixtures called Accelerators for freezing resis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ecuted freezing temperature of mortar, setting and strength properties with using water reducing accelerator and accelerators for freezing resistance which are producted internationally.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freezing temperature of mortar is lower and the setting property is promoted when the admixing content of accelerators for freezing resistance is increased. Moreove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used accelerators for freezing resistance represented the result which is similar with result of analysis of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 with using logistic curve formula, but in the case of plain and using water reducing accelerator,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logistic curve formula, maturity and compressive strength.

-10℃ 조건에서의 열선 열용량 크기 변화에 따른 슬래브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History of Slab concrete by the Change of Hot wire Heat Capacity at -10℃)

  • 정은봉;안상구;정상현;고경택;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5-77
    • /
    • 2013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history was evaluated for three hot wires with different capacity installed in slab concrete which are relatively th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case of material using 5W hot wire, all decreased to below zero at or around 24 hours. Similarly, the material using 20W hot wire decreased to 2℃ below zero at or around 80 hours but satisfied the accumulative temperature of 45° D·D at 7 days of material age.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30W hot wire, the biggest capacity, showed the high temperature history of 5℃ in average at all areas except the corners. Thus, the target accumulative temperature was secured at or around the 3 days of material age. Considering the above, the initial damage by freezing can be prevented only if 20W or higher hot wires are used for the slabs at -10℃ of extremely low temperature environment.

  • PDF

저온환경에서의 양생시트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특성 (Temperature History of the Concrete Corresponding to Various Curing Sheets in the Low Temperature)

  • 백대현;홍석민;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81-7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저온 환경에서 단열양생시트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5$^{\circ}$C에서 노출과 air cap포장지의 경우 초기 24시간 이내로 콘크리트의 온도가 영하의 온도로 저하되어 초기동해가 발생되었다. 반면, 비닐+부직포의 경우 초기 24시간이내의 최저온도가 약 3$^{\circ}$C로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였고 이중버블시트의 경우 약 7$^{\circ}$C로 나타나 양호한 단열 보온성능을 나타내었다. 코어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비닐+부직포와 이중버블시트로 양생한 시험체의 압축강도가 양생초기의 우수한 단열효과로 인해 다른 시험체의 압축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Efficient Curing Sheet for Thermal Insulation Curing of Concrete in Cold Weather

  • Han, Cheon-Goo;Son, Myung-Sik;Choi, Hyun-Kyu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1-298
    • /
    • 2012
  • For cold weather concreting, frost damage at early age is generated in the concrete, and problems such as delaying of setting and hardening and lowering of strength manifestation emerge due to the low outside air temperature at the early stage of pouring, making the selection of an effective curing method critically important. Unfortunately, the tent sheet currently used as the curing film for heating insulation at work sites, not only has the problems of inferior permeability and extremely deteriorated airtightness, but a phenomenon of continuous fracturing is also generated along the direction of fabric of the material itself, presenting difficult circumstances for maintaining adequate curing tempera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mproved bubble sheet type curing film for heating insulation of cold weather concrete by combining mesh-tarpaulin, which has excellent tension properties, with bubble sheet, which offers superior insulation performanc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mproved curing film in which BBS1 is stacked to MT was a suitable replacement for curing films currently in use, as it has better permeability, tension property, and insulation performance than the T type film used at work sites today.

발아기 꽃눈의 저온피해 정도에 따른 '부유' 감나무의 수체 생장 반응 (Tree Response of 'Fuyu' Persimmon to Different Degrees of Cold Damage on the Buds at Budburst)

  • 최성태;박두상;손지영;박여옥;홍광표;노치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0
    • /
    • 2013
  • 감나무의 발아기에 발생하는 서리피해 양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꽃눈의 저온피해 정도에 따른 수체 생장 반응을 조사하였다. 50 L 용기에서 재배한 '부유' 나무를 4월 5일 발아기에 저온저장고에 각각 1시간 동안 $-2.2{\pm}0.5$, $-2.6{\pm}0.5$, $-3.0{\pm}0.5^{\circ}C$에 두어 꽃눈의 피해 정도를 달리하였고, 일부 나무는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로 두었다. 처리온도가 $-2.2^{\circ}C$일 때 꽃눈 피해율은 54%였으나 $-3.0^{\circ}C$에서는 95%로 증가하여 온도가 낮을수록 꽃눈의 피해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피해 꽃눈은 완전히 죽어 고사한 것, 눈의 주아가 죽고 부아가 생장하는 것, 죽지 않았으나 정상 눈에 비해 생장이 늦고 기형적인 것으로 달리 나타났다. 5월 상순 주당 꽃봉오리수는 꽃눈피해율이 높아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꽃눈피해가 없거나 적은 나무에서는 과다 착과가 되지 않도록 5월 중순에 꽃봉오리 솎기를 하고 7월 상순에 과실 솎기를 하였기 때문에 저온피해주의 수확기 최종 착과수는 꽃눈피해율이 60% 이내일 때 무피해주와 차이가 없었고, 수량의 경우 과중 증가로 피해율 70%까지는 뚜렷한 감소가 없었다. 꽃눈의 저온피해율이 높아짐에 따라 과중과 과피의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꽃눈 피해율이 높아질수록 주당 총신초장과 평균신초장 등의 영양생장이 촉진되었다. 결론적으로 발아기 꽃눈의 저온피해에 따른 수량과 영양 생장 반응은 꽃봉오리수 및 착과 정도에 의해 달라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상수리나무 잎의 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on Leaf Phenology of Quercus acutissima)

  • 서동진;오창영;한심희;이재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3-218
    • /
    • 2014
  •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상수리나무 잎의 생물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부개방형온실을 이용하여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 처리하였다. 대기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의 설정은 현재 농도, 현재 농도의 1.4배, 현재 농도의 1.8배 등 3 처리구로 하였고, 온실효과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상부개방형온실 외부에 비교구를 설치하였다. 잎의 생물계절현상은 2013년에 동아 파열, 개엽, 단풍, 낙엽에 대하여 각 생물계절현상이 나타나는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고, 2014년에는 봄철 계절현상인 동아 파열과 개엽에 대하여 각가의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다. 동아 내의 탄수화물 함량 분석을 위하여 2014년 3월에 각 처리구별로 동아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봄철의 생물계절현상이 연도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2013년도에는 동아 파열과 개엽 시기가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봄철 기온이 높았던 2014년도에는 동아 파열 및 개엽 시기 모두 처리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풍과 낙엽 등 가을철의 생물계절현상은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 내의 탄수화물 함량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전분, 총 비구조 탄수화물, 총 수용성 당류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은 상수리나무의 개엽을 빠르게 하고 낙엽을 늦추어 전체적인 생육기간을 연장시키게 될 것이다. 봄철의 이른 개엽은 동해피해의 가능성을 높이나, 개엽 시기는 온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으며, 전년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의하여 동아 내의 전분, 수용성 당 등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봄철의 동해피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떫은감과 단감의 내한성(耐寒性) 차이(差異) (Difference in Freezing Resistance between Common and Sweet Persimmon)

  • 홍성각;황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28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떫은감 8품종(品種)과 단감 5품종(品種)에 대하여 1977~1978년(年) 겨울동안에 내한성(耐寒性)이 가장 약(弱)한 부위(部位), 동해(凍害)를 가장 많이 받는 시기(時期), 또한 단감과 떫은감 품종간(品種間)의 내한성(耐寒性)의 차이(差異)를 알고자 감나무 당년지(当年枝)의 동아(冬芽), 형성층(形成層), 재부유조직(材部柔組織), 부위별(部位別)로 77년(年)10월(月)26일(日), 78년(年) 1월(月)26일(日)과 3월(月)26일(日)에 시기별(時期別)로 내한성도(耐寒性度)가 측정(測定)되었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겨울과 초봄에 가장 내한성(耐寒性)이 약(弱)한 부위(部位)는 동아(冬芽)였다. 2. 동아(冬芽)의 내한성(耐寒性)을 기준(基準)으로 단감 품종(品種)들은 떫은감 품종(品種)들보다 내한성(耐寒性)이 낮았다. 형성층(形成層)이나 재부유조직(材部柔組織)의 내한성(耐寒性)에 있어서는 위 두 품종(品種)들 사이에 일정(一定)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3. 동아(冬芽)가 가장 피해(被害)을 받기 쉬운 시기(時期)는 만상(晩霜) 일어나는 초봄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늦서리 피해 뽕나무 품종별 회복정도 (Recovery of Several Mulberry Varieties from Late Frost Damage)

  • 김종한;김동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3-117
    • /
    • 1990
  • 충북 청주 일원에 1990년 4월 24-27일, 4일간에 걸쳐 조상최저온도가 -5.7--8.2$^{\circ}C$로 급강하하여 연구 및 개엽상태에 있는 뽕나무에 심한 늦서리 피해를 주었다. 본 조사에서는 품종별로 피해와 회복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량뽕, 청일뽕, 잠상 21호 및 22호 등 4개 품종에 대하여 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예년의 기상과 비교해 보면, 4월 하순은 기온이, 5월 상하순에는 일조가, 5월 하순에는 기온 및 강우량이, 6월 상순에는 다시 강우량이 모두 떨어져 4월하순부터 6월상순까지 계속 뽕나무의 회복에 불량한 환경을 보였다. 2. 서리가 내린 당시 잠상 21호는 2-3개엽으로 가장 빨랐으며, 개량뽕과 잠상 22호는 1-2개엽, 청일뽕은 연구-1개엽으로 가장 늦었다. 3. 서리가 내린 15일 후인 5월 12일 1개엽을 보여서, 예년보다 19일 늦었으며, 이런 차는 수확때인 6개엽까지 계속되었다. 4. 신소장은 전년대비 50-58%였으며, 개량뽕은 가장 낮아서 50%였고, 잠상21호는 58%로 가장 높았다. 5. 엽수는 전년대비 52-67%였으며, 개량뽕은 가장 낮아서 52%였고 잠상 21호는 67%로 가장 높았으며, 앞의 길이와 폭은 전년대비 80%내외였으며, 품종간의 차이는 5%이내였다. 6. 신소량은 전년대비 44-63%, 정엽량은 39-61%이었으며, 개량뽕이 가장 낮은 품종이었고 잠상 21호가 가장 높은 품종이었다. 청일뽕은 개량뽕과 비슷하였고, 잠상 22호는 21호와 비슷하였다. 7. 조상량에 대한 신초엽량 비는 예년의 75%에서 55-61%로 떨어졌고, 신소엽량에 대한 정엽량은 예년의 72-76%로 5-10%로 떨어졌다. 8. 수엽량은 전년 대비 잠상 22호가 57%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개량뽕 61%, 잠상 21호 64%, 청일뽕 72%이었고, 절대수량은 개량뽕이 827kg/10a으로 가장 적었으며, 다른 품종은 1,000-1,050kg/10a 정도였다.

  • PDF

수도이기작재배 가능성에 대한 기상적 조사연구 - 적산온도를 중심으로 - (Agronomical Studies on the Thermal Conditions for Double Cropping of Rice)

  • 이강세;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53-64
    • /
    • 1973
  • 우리나라 남부 도작지대에 있어서 수도 2기작 재배의 가능성과 이에 대한 지역간 차이를 알고자 이리외 9개지역에서 30년간의 기상자료를 조사하고 생육한계기온 및 적산온도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 1 기작 재배에 있어서 1. 여수, 부산, 제주지방은 파종시 서리에 대한 염려가 없으나 이리, 전주, 광주에서는 30-40일간, 대구, 울산은 18-28일간, 목포, 포항은 4-14일간의 상해 위험기간을 각각 보였다. 2. 이앙한계기는 대개 4월 중하순경으로 물못자리묘에 비하여 보온절충묘는 5일, 밭못자리묘는 10일 정도 더 빨라서 2기작재배에 유리하였다. 3. 출수한계기에는 6월하순경이며, 유수형성기의 냉해위험기간은 지역에 따라 8-25일 간이었다. 4. 등숙한계기는 (제2기작의 이앙한계기)는 7월하순-8월상순경이며, 등숙기간은 32-39일로서 SS${\fallingdotseq}$SL${\fallingdotseq}$LL의 관계기 있었다. 제2기작 재배에 있어서 1. 등숙안전출수기($H_{LC}$)는 이리, 전주, 광주, 대구가 9월 상순경이고 기타지역에서는 9월 17일경으로 등숙최적출수기($H_{SC}$)는 이보다 4일정도 더 빨랐다. 2. 등숙종기를 규정하는 평균기온 $15^{\circ}C$의 출현기(${\theta}$15)와 최저기온 $10^{\circ}C$의 출현기(${\theta}$10)의 상호간에는 ${\theta}$15>${\theta}$10형과 ${\theta}$15<${\theta}$10형의 두 지역으로 나눌수 있었다. 3. 등숙한계기는 이리, 전주, 광주, 대구가 10월 9일 경이고, 목포, 여수, 부산, 제주는 10월 28일 경이었다. 등숙이 완전하려면 실용적 등숙을 목표로 할 때보다 등숙기간이 3-4일 더 필요하였다. 4. 이앙후 $1,550^{\circ}C$의 제1기작과 제2기작의 재배기간중 13-42일이 서로 중복되었다. 따라서 수도 2기작재배가 가능하려면 이앙후 1,000-$1,200^{\circ}C$의 적산온도에서도 출수가 되는 품종의 육성과"중복 2기작 재배기술"이 재 검토되어야 할것이다.토되어야 할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