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W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s of Egg White Consumption on Allergy, Immune Modulation, and Blood Cholesterol Levels in BALB/c Mice

  • Song, Hyuk;Park, Jin-Ki;Kim, Hyoun Wook;Lee, Won-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30-637
    • /
    • 2014
  • W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water-soluble egg yolk extract is not related to elevation of serum immunoglobulin E, which can initiate allergic reactions; however, it increases the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and the activity of B lymphocytes. In this study, egg white (EW) was fed to BALB/c mice to determine its influence on growth efficiency, immune modulation, and changes in serum lipid levels. A total of 50 five-wk-old BALB/c male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4 of which were fed 0, 10, 50, or 100 mg/d EW for 4 wk. Mice with an uptake of 10, 50 and 100 mg/d EW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daily weight gain, feed efficiency rate, or populations of white blood cells. However, the activities of both B and T lymph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ree EW groups at the final week of treatment. Interestingly, serum levels immunoglobulin E were not altered by EW consumption, but the IgG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00 mg/d EW group. Serum lipid profile analys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otal cholesterol, HDL, low density lipoprotein, or triglyceride levels by EW consumption.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consumption of EW promotes immune cell activities and the upregulation of serum IgG levels. However, we found no changes in serum lipid profiles and IgE levels.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consumption of EW might not be related to the risk of food allergy, but could be an excellent candidate for the maintenance of physiological homeostasis.

Effects of Egg White Consumption on Immune Modulation in a Mouse Model of Trimellitic Anhydride-induced Allergy

  • Kim, Ji-Hyuk;Song, Hyuk;Kim, Hyoun Wook;Lee, Won-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98-405
    • /
    • 2015
  • Egg allergy has been shown to be the most common food allergy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llergic reactions to proteins derived from egg white (EW) are more common than those derived from egg yolk. Ovomucoid, ovalbumin, ovotransferrin, and lysozyme have been identified as major allergens in E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W on immune modulation in an induced allergy mouse model. A total of 50 five-week-old BALB/c male mice were treated with trimellitic anhydride (TMA) for three weeks to induce allergy-like symptoms. The TMA-treated mice were rested for one week and then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fed 0, 10, 50, and 100 mg/d EW for four weeks. All EW consumption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the populations of white blood cells; however, a significant increase in B-lymphocyte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fourth week. Furthermore, EW consumption did not influence serum immunoglobulin G and immunoglobulin E levels.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the consumption of EW by TMA-treated mice did not increase allergic parameters such as serum IgE level, but enhanced the lymphocyte activities against pathoge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sumption of EW promotes Th2 immune modulation, and EW could be an excellent candidate for maintaining health.

효소,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열, 및 NaOH 처리에 의한 계란 난백의 항원성 변화 (Changes in the Antigenicity of Chicken Egg White by the Treatments of Protease,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Heat, and NaOH)

  • 류주현;이종미;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20-725
    • /
    • 2000
  • 여러 가지 처리가 난백의 항원성을 감소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끼 항난백항체로 난백 처리물들의 간접 경합 ELISA(ciELISA)를 실시하였다. 식물성, 동물성, 미생물성의 9가지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처리는 난백의 항원성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보다 효율적인 효소 가수분해를 위해 방사선 조사 후, 효소처리를 실시했는데, 이것 역시 항원성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처리는 난백의 항원성을 거의 제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는 $121^{\circ}C$ 고온처리의 경우에서만 반응성이 1/10,000이하로 감소하여 항원성이 거의 사라졌다. NaOH 단독 처리는 0.3%(w/v) 이상의 농도에서 반응성이 감소되기 시작하여, 1%(w/v) 이상에서는 반응성이 1/10,000이하로 감소하였다. NaOH 처리에 $70^{\circ}C$, 15분간의 열처리를 더해 주면, NaOH 단독 처리시보다 효과적으로 항원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음 및 진동을 고려한 도심지 내 대단면 수직구 발파설계 사례 -싱가포르 Transmission Cable Tunnel EW2 공구- (Blasting Design for Large Shaft in Urban Area Considering Noise and Vibration -Singapore Transmission Cable Tunnel EW2-)

  • 김지연;이효;김도훈;고태영;이승철
    • 화약ㆍ발파
    • /
    • 제31권1호
    • /
    • pp.55-63
    • /
    • 2013
  • 싱가포르 전력구 터널 건설공사는 싱가포르 내의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지하에 400kV의 고압 전기 케이블 등 송전설비 설치를 위한 터널을 건설하는 공사이다. 본 전력구는 총연장 35km의 터널로서 18.5km의 North-South Line의 3개 공구 (NS1, NS2, NS3)와 16.5km의 East-West Line의 3개 공구 (EW1, EW2, EW3)로 나누어 건설된다. 총 6개의 공구 중 SK건설은 EW2 공구와 NS2 공구를 수주하여 현재 시공중이다. 본 프로젝트의 과업 중 지상과 고압 송전 케이블 터널을 연결하는 수직구가 공구당 3~4개소가 있으며, 시공 중에는 TBM 발진용으로 활용된다. 지하 전력구는 싱가포르 내 도심 한복판을 가로질러 건설되며, 수직구 또한 대부분 도심지 내에 있어 수직구 굴착 시 발파 효율의 극대화와 동시에 싱가포르 소음 및 진동 기준을 만족하는 최적의 발파 설계가 요구된다. 싱가포르 전력구 터널 EW2 공구의 수직구 발파는 현지 허용 진동속도기준을 준수하고 국내의 우수한 발파 설계기술을 적용하여 설계되었으며 본 설계를 통하여 국내의 우수한 발파 설계 및 시공 기술을 전파할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전기분해수 세정처리에 따른 깻잎의 저장중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leaf Cleaned with Various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 정진웅;김종훈;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58-564
    • /
    • 2005
  • 다양한 제조조건에 따른 전기분해수의 물리적 특성 및 미생물의 표면살균 효과, 이에 따른 저장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격막방식의 강산성 전기분해수는 최소한 저장 30일, 무격막 방식의 전해수는 최소 저장 15일까지는 초기 물리화학적 특성치와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며,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관내에서 전해수의 미생물 사멸효과는 무격막 방식의 EW-3만이 Salmonella typhimurium이 1분 이내에 사멸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Escherichia coli 등 4균주에서 초기 $10^7\~10^9$ CFU/mL에서 30초 후에 모두 사멸되었다. 또한, 신선 깻잎을 다앙한 전해수 및 수도수 등으로 세정처리하여 저장중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총균수 및 대장균군은 전해수 처리에 의해 $2\~3$ log scale정도 감균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강산성 전해수(EW-1)처리 시에는 저장 13일까지 Bacillus cereus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부패율은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6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전해수로 세정 처리한 깻잎은 저장 10일째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중 색차(${\Delta}E$) 변화는 약알칼리성 전해수(EW-2)와 중성의 전해수(EW-3)로 처리한 시료는 저장 13일후 $1\~2$수준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클로로필 함량의 변화는 초기 $9.0\~10.3\;mg\%$에서 무처리구 13일째 $6.8mg\%$로 가장 크게 감소한 반면 EW-3 처리구에서 $8.35mg\%$로 가장 적게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인 관능평가에 있어서는 EW-2와 EW-3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산사건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반 LYNX-ESM 체계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LYNX-ESM System Operating and Performance Prediction Simulation Based on DEVS)

  • 신동조;윤기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1-70
    • /
    • 2006
  • This paper is to describe LYNX-ESM Simulation System to simulate for EW operating environment analysis and system performance verification of LYNX-ESM system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DEVS) Methodology. This system consists of 3 PC with TCP/IP network. Each PC is loaded with Modeling & Simulation program based DEVS. Each connected program conducts EW simulation. As a result, we analyze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maritime EW threat, simulate the EW threat discrimination and geolocation capability, and estimate the LYNX-ESM system effectiveness before real LYNX-ESM system development.

생존성 향상을 위한 RWR/CMDS 시험평가 기술 연구 (A Study on Test & Evaluation Technique of RWR/CMDS for Survivability Improvement)

  • 김찬조;장영배;김현경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4-89
    • /
    • 2016
  • 전자전(EW)은 전자기 영역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유지하기 위한 임무분야이다. 이러한 중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현대 군용기에 적용되는 전자전 장비의 시험평가는 전장 환경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전자전 시스템이 준비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폭넓은 시험 기술과 해석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전자전 장비, 특히 RWR, CMDS의 시험평가 기술을 소개하고, 초보 엔지니어 뿐 아니라 경험을 보유한 엔지니어 및 사업관리자에게 전자전 장비의 시험평가 절차와 시험 자원에 대한 참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rape-Seed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 Chnng, Hae-Kyung;Choi, Chang-Sook;Park, Won-Jong;Kang, Myu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15-721
    • /
    • 2005
  •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seed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llowing lipid peroxidation, 2-deoxyribose degradation, SOD-like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za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bility,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using 1,1-diphenyl-2-pycryl hydrazil (DPPH) method.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of mixted-solvent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ngle-solvent extracts, with the mixing ratio of 17:3 (ethyl acetate: water) (EW) showed the highest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 of TBARS following phosphatidylcholine peroxidation were 14, 45, 45, 7, 4, 25, 21, 23, and 20% for ascorbic acid (AA), butylated hyroxytoluene (BHT), quercetin (Q), acetone extract (AT), ethyl acetate (EA) extract, methanol (MeOH) extract, 4:1 (EA) extract, 9:1 (EW)-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for 2-deoxyribose degradation were 5, 80, 87, 78, 56, 73, 64, 60, and 75% in AA, BHT, Q, AT, EA, MeOH extract, 4:1 EW extract, 9:1 EW 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MeOH grape seed extract showed distinctly stronger electron-donating activity than other solvent extracts.

전기분해수 세척에 따른 배추의 미생물 및 잔류농약 제거효과 (Removal Effects of Microorganism and Pesticide Residues on Chinese Cabbages by Electrolyzed Water Washing)

  • 성정민;박기재;임정호;정진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28-633
    • /
    • 2012
  • 위생적인 배추 생산을 위해 전기분해수를 이용하여 미생물 저해효과와 잔류농약 제거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조구는 TW로 세척하였으며,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NaOCl 용액으로 세척하여 비교하였다. 배추의 초기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는 각각 6.64, 3.56 log cfu/g 수준이었으며 침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분 경과 후, TW 처리구는 5.97 log cfu/g 수준이었으며 LAlEW와 SAcEW 처리구는 1.63-4.67 log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SAcEW-100처리구는 1.63 log cfu/g 수준으로 초기에 비해 5 log scale 이상 감소하여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수는 초기에 3.56 log cfu/g 수준에서 10분 경과 후, TW와 NaOCl-50 처리구를 제외하고 검출되지 않았다. 잔류농약의 경우, 초기 chlorpyrifos, prothiofos 및 deltamethrin 함량은 각각 1.13, 1.91 및 0.67 ppm이었다. 세척 후, TW 처리는 32.28-38.46% 감소하였으며 NaOCl 처리구의 감소율은 36.93-50.13%으로 TW의 1.5배 수준 감소하였다. LAlEW-100 처리구와 SAcEW-100 처리구의 감소율은 63.79-78.30% 감소하여 TW와 NaOCl 처리구에 비해 효과적이었다. 비타민 C함량은 세척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전기분해수는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미생물 제어와 잔류농약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장기요양시설과 주간보호시설 여성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영양섭취 비교 (Comparison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and a Day-Time Care Facility in Incheon)

  • 배미애;이영휘;김화순;유정순;장경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9-400
    • /
    • 2019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gnitive functio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EW-LCF) and a day-time care facility (EW-DCF).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015 to May 2017 on 73 elderly women with dementia (47 women in LCF and 26 women in DCF) in the city of Incheon.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nd caregiv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The total score of the MMSE-DS and intakes of most nutrient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The nutrient adequacy ratios (NAR) of protein, vitamin A, C, $B_6$, $B_{12}$, thiamin, riboflavin, niacin, folic acid, calcium and phosphoru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However,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 (INQ) of vitamin C, $B_6$, thiamine, niacin, calcium, magnesium, and iron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As a result, the subjects showed an unbalanced and insufficient nutrition intake status regardless of the type of care facility. Most nutrient intakes of the EW-LCF with lower cognitive function were ver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cognitive function and nutritional status regula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suffering with dementia and to provide specialized individual nutrition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