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IMATE POPULATION NUMBER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인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콜린 섭취 추정량 (Estimation of Dietary Choline Intake of Korean by Gender, Age and Region)

  • 정한옥;김초일;이행신;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4호
    • /
    • pp.320-32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dietary choline intake of Korean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by using the data on per capita food intake in 1998 and 2001 and the data on choline contents of foods customarily eaten by Koreans. Sixty-four and 97 kinds of food items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choline intake in 1998 and 2001, respectively. And these corresponded to approximately $90\%$ of the total amount of food intake and energy intake. Based on these food items and choline content, per capita choline intake of Koreans was estimated to be 623.0 mg and 602.4 mg in 1998 and 2001 respectively , 687.2 mg and 659.1 mg in 1998 and 2001 for male, 560.2 mg and 551.0 mg in 1998 and 2001 for female. While the number of foods considered in estimation was higher in 2001 than 1998, choline intake was lower in 2001. The estimated per capita choline intake of male popul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population by 108-127 mg, possibly due to the difference in total amount of food intake. The age group with the highest choline intake was different between 2 time points. Although adolescents of 13- 19 years showed the highest intake (712.0 mg) in 1998, mid-aged adults of 30-49 years showed the highest choline intake (662.2 mg) followed by adolescents (645.7 mg) in 2001. In regional comparison, choline intake of the rural population (588.7 mg and 588.3 mg in 1998 and 2001 respectively) was lower than that of population in small to medium-size cities (625.1 mg and 603.9 mg) or in metropolitan cities (637.7 mg and 602.8 mg). This result revealed that per capita choline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falls within the adequate range with some differences by age, sex and residing area.

AFLP 마커를 이용한 소규모 사시나무림의 공간적 유전구조 구명 (Fine-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 Small Natural Stand of Populus davidiana in South Korea using AFLP markers)

  • 이민우;홍경낙;박유진;이제완;임효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09-314
    • /
    • 2016
  • 변화하는 자연환경에서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전다양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지역적응성을 갖추어야 세대를 성공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만약 유전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면 집단이 쇠퇴하고 소멸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본 연구는 주변 집단으로 부터 화분이나 종자의 유입이 어려운 소규모 사시나무 집단의 유전구조를 구명하였다. 월악산 미륵리의 사시나무림은 전체 분포면적 $14,000m^2$에 성목은 350개체로 추정되며, 임분내에 설정한 $70m{\times}70m$ 조사구에 출현하는 123개체 중 61개체를 대상으로 AFLP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변이를 분석하였다. 조사구내 사시나무의 수령은 평균 16년 최고 32년생이었으며, 개체의 공간적 분포는 약한 밀집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AFLP primer 6조합에서 196개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151개는 다형성을 보였다. primer 조합당 평균 유전자좌수는 32.7(표준편차=7.2), 이형접합도 기대치($H_e$)는 0.154, Shannon의 다양성 지수(S.I.)는 0.254로 나타나서, 월악산 사시나무는 우리나라 사시나무 집단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유전다양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유전구조는 24 m 이내에서 분포하는 개체들 간에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소규모 면적과 고립된 분포지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작은 유전군락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on Expanding Admission Number of Medical School)

  • 박은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0-128
    • /
    • 2024
  • 2024년 2월부터 현재까지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논란은 현재와 미래의 시점의 문제가 혼합되어 논란을 더 가중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의사의 인력부족 여부에 대한 논란은 다양하다. 동일한 근거가 의사 부족 또는 부족하지 않은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부족하다는 근거로 제시하는 것에 대해서도 이견이 많으며 그 반대의 근거도 이견이 많다. 현시점에서 의사 부족 여부를 둘러싼 이런 논란은 합의될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다. 10년 후에는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의사가 더 필요하게 될 것이므로 의과대학 입학인원을 늘려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 숫자는 의학교육의 질이 저하되지 않을 수준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의학교육의 질이 높은 의과대학에 더 많은 입학인원을 배정해야 하며, 그 대안으로 대규모 의과대학은 입학인원을 20%-30% 늘리고, 소규모 의과대학은 입학인원을 40%-50% 늘리면 전체 증가인원은 760-1,066명이 되는 것이다. 2,000명 증원이 강행된다면 의학교육의 질을 면밀히 평가해 그 결과를 의과대학 정원 조정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20년 후에는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줄여야 한다. 이는 의사공급이 1차함수로 증가할 것인데 반해 의사수요(의료수요)가 꼭지점이 있는 2차함수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인원을 유지하더라도 2048년부터는 의사가 과잉되기 때문에 의과대학 입학인원을 줄여야 하며, 규모는 현재보다 1,000명이 적은 2,000명 정도로 축소해야 할 것이다. 정원 축소 시 모든 의과대학에 일률적으로 축소한다면 소규모 의과대학이 많아지기에 M&A (mergers and acquisitions) 전략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그 대상은 40개의 의과대학과 12개의 한의과대학이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의사수요 추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 변화이다. 합계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향후 인구 전망은 불확실성이 상당 수준 있으며, 최근 의료이용률의 급격한 증가가 반영된 수급추계는 재검토되어야 한다. 의사 수급추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의사 수급추계는 최소한 5년 단위로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보건의료인력검토위원회를 설치 운영해야 한다.

Sample Size Determination for the Estimation of Population Density of Marine Benthos on a Tidal Flat and a Subtidal Area, Korea

  • Koh, Chul-Hwan;Kang, Seong-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3호
    • /
    • pp.113-122
    • /
    • 1998
  • The requisite numbers of sample replicates for the population study of soft-bottom benthos were estimated from survey data on the Songdo tidal flat and subtidal zone in Youngil Bay, Korea. Large numbers of samples were taken; two-hundred-fifty 0.02 m$^2$ box corers and fifty 0.1m$^2$ van Veen grabs were taken on the Songdo tidal flat and in Youngil Bay, respectively. The effect of sampler size on sampling efforts was investigated by pooling the unit samples in pairs, fours, eights, etc. The requisite number of sample replicates (n$_r$) was determined by sample variance (s$^2$) and mean (m) function (n$_r$:s$^2$/P$^2$m$^2$), at P=0.2 level, in which s$^2$ and m were calculated from the counts of individuals collected. For example, seven samples of 0.02 m$^2$ corer for the intertidal and two samples of 0.1 m$^2$ van Veen grab for subtidal fauna were required to estimate the total density of community. The smaller sampler size was more efficient than larger ones when sampling costs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 total sampling area. The requisite number of sample replicates was also predicted ($\^{n}$n$_r$) by substituting $\^{s}$$^2$ obtained from the regression of s$^2$ against m using the Taylor's power law ($\^{s}$$^2$:am$^b$). The regression line of survey data on s$^2$ and m plotted on log scale was well fitted to the Taylor's power law (r$^2$${\geq}$0.95, p<;0.001) over the whole range of m. The exponent b was, however, varied when it was estimated from m which was categorized into classes by its scale. The fitted exponent b was large when both density class and the sampler size were large. The number of sample replicates, therefore, could be more significantly estimated, if regression coefficients (a and b) would be calculated from sample variance and mean categorized into density classes.

  • PDF

한 인구학도의 회고

  • 김택일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1-13
    • /
    • 1988
  • 여기서는 많은 수의 비관측사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표본의 편의(bias) 문제를 탐구한다. 이 연구는 본래 일본 후생성이 1989년 실시한 <가족주기와 가구형태에 대한 인구학적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부보와 자녀간 근접성을 분석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그런데 <가족주기와 가구형태에 대한 인구학적 조사>는 노인부모를 대상으로 한 조사가 아니라 전체 가구 일반에 대한 조사이기 때문에 노인부모에 대한 많은 정보를 손상하고 있었다. 또한 본 조사는 가구주를 통하여 가족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가족원에 대한 정보가 완전하지 못하였다. 나아가 비관측사례의 유형을 보면 여러 항목들이 동시적으로 관측되지 않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복합적 메커니즘에서 발생한 비관측 사례는 분석의 편의를 초래할 위험이 크다. 우선, 많은 수의 비관측사례로 표준오차를 잘못 추정할 소지가 크다. 더욱이 사례들이 선택적으로 관측되지 않았다면 관측된 자료에 따른 추정을 심각한 편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상된 자료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추정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두 가지 기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관측치와 공변인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비관측사례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EM 알고리듬을 활용하였다. 둘째, 관찰의 선택성에서 비롯된 추정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단계(two stage) 모형을 활용하였다.

  • PDF

최근의 영아사망율 수준의 추정 (A Study on Infant Mortality in Korea : 1981-86)

  • 김일현;최봉호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76-86
    • /
    • 1988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level of infant mortality rate and to find the cause of infant deaths prevailed in 1981~86 from vital registration data. In the course of that undertaking we have considered the non-registered portion of infant deaths especially for the non-registered portion of neonatal deaths. The main reason is that deaths occurring in the neonatal period and prior to the registration of the birth leave little incentive for the registration of either the birth or the death. From several ad-hoc survey's results and other countries' experiences it was, however,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neonatal deaths was 69.3%, the proportion of deaths in the period of first month in infanty was 7%, and the proportion of deaths in the period of 2 months and over in infancy was 23.7% respectivily. Thus, adoption the hypothesis that post-neonatal mortality is completly registered, we obtained the extimated number of infant deaths. Attempt to test the hypothesis was also made using the Brougeois- Pichats's function. The result was that the registered number of deaths in the post-neonatal period is almost compatible with the expected number. The major finding in this study was that the level of infant mortality rate in Korea was 19 per thousand live births in 1981 and 13 in 1986. This level of 1986 was almost identical with the level of Japan in 1970.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fant mortality rate between sexes during 1981-83 but the difference was disappeared in 1985-86. Looking into the cause of infant deaths, it was found from registration that 21.2% of all infant deaths was due to congenital snomalies, 11.5% was due to pneumonia and 5.1% was due to the conditions originating in the perinatal period in that order. This pattern seems to be different with that of U.S.A., Japan and France. However, if we consider the non-registered neo-natal deaths, the order of the cause of infant deaths in Korea will be the same as compared countries. Finally, every efforts should should be made to obtain a good quality of data on infant mortality, making the non-registered events reported completely through hospitals.

  • PDF

서울시 가구의 과부담의료비 지출 발생 및 반복적 발생의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and recurr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mong households in Seoul)

  • 정채림;이태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5-296
    • /
    • 2012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is characterized as relatively high out-of-pocket payments, which are the principal sour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H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household CHE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occurrence and recurrence of household CHE using the Seoul Welfare Panel Survey database for 2008 and 2010. Thresholds to estimate CHE were 10% and 20% of the total household income (T/X), and 25% and 40% of the income excluding food share (T/Y). Determinants of the occurrence and recurrence of CHE at the threshold of T/X=10%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Out of the 3,665 households that responded in 2008 survey, households with CHE were 12.07% (T/X${\geq}$10%), 5.34% (T/X${\geq}$20%), 6.84% (T/Y${\geq}$25%), and 4.44% (T/Y${\geq}$40%).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ousehold CHE included living with a spouse, non-Medicaid beneficiary, householder unemployment, low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disabled members, poor subjective health,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 total of 41.78% of households with CHE in 2008 repeatedly experienced CHE in 2010. Risk factors of CHE recurrence included decreased household income and an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over the two time periods, the number of members with disability or chronic diseases, and the presence of cancer patients in 2008. Households with lower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had a higher financial burden on health care than do their counterpart households. There is a need to enhance society-wide financial protection from health spending among vulnerable citizens in Seoul, particularly, households with low income, disabled members or cancer patients.

Basic reproduction number of African swine fever in wild boars (Sus scrofa) and its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in South Korea

  • Lim, Jun-Sik;Kim, Eutteum;Ryu, Pan-Dong;Pak, Son-Il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5호
    • /
    • pp.71.1-71.12
    • /
    • 2021
  • Background: African swine fever (ASF) is a hemorrhagic fever occurring in wild boars (Sus scrofa) and domestic pigs. The epidemic situation of ASF in South Korean wild boars has increased the risk of ASF in domestic pig farms. Although basic reproduction number (R0) can be applied for control policies, it is challenging to estimate the R0 for ASF in wild boars due to surveillance bias, lack of wild boar population data, and the effect of ASF-positive wild boar carcass on disease dynamics.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imate the R0 of ASF in wild boars in South Korea, and subsequently analyze the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Methods: We detected the local transmission clusters using the spatiotemporal clustering algorithm, which was modified to incorporate the effect of ASF-positive wild boar carcass. With the assumption of exponential growth, R0 was estimated for each cluster. The temporal change of the estimates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habitat suitability of wild boar were analyzed. Results: Totally, 22 local transmission clusters were detected, showing seasonal patterns occurring in winter and spring. Mean value of R0 of each cluster was 1.54. The estimates showed a temporal increasing trend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habitat suitability of wild boar. Conclusions: The disease dynamics among wild boars seems to have worsened over time. Thus, in areas with a high elevation and suitable for wild boars, practical methods need to be contrived to ratify the control policies for wild boars.

1985년 인구 및 주택센서스 확정결과보고

  • 경제기
    • 한국인구학
    • /
    • 제10권2호
    • /
    • pp.99-145
    • /
    • 1987
  • 장래의 가구변동은 인구의 규모와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출생, 사망의 변동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사회적인 가치관의 변화에서 오는 동거구조 등 가구 자체의 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국내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가구추계방법을 검토한 후, 우리 나라에 가장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을 찾고 이를 적용해보는 데 있다. 추계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우리 나라와 같이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을 경우 장래가구 추계시 사용되는 원자료가 심한 기복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 추계방법의 검토 결과 우리 나라에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으로서 연령별로 이원화된 방법, 즉 가구주의 연령이 34세 이하에 대해서는 지수함수법을, 그리고 35세 이상에 대해서는 순천이율법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장래 가구추계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우리 나라의 가구규모는 1995년 12,956천 가구에서 2030년에는 54%가 증가한 20,006천 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평균가구원수는 1995년 3.3명에서 2030년에는 2.5명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나라 장래 가구형태는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3세대 이상의 다세대가구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 PDF

우리 나라에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Household Projec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for Korea)

  • 장영식;변용찬;김유경
    • 한국인구학
    • /
    • 제21권1호
    • /
    • pp.129-161
    • /
    • 1998
  • 장래의 가구변동은 인구의 규모와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출생, 사망의 변동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사회적인 가치관의 변화에서 오는 동거구조 등 가구 자체의 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국내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가구추계방법을 검토한 후, 우리 나라에 가장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을 찾고 이를 적용해보는 데 있다. 추계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우리 나라와 같이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을 경우 장래가구 추계시 사용되는 원자료가 심한 기복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 추계방법의 검토 결과 우리 나라에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으로서 연령별로 이원화된 방법, 즉 가구주의 연령이 34세 이하에 대해서는 지수함수법을, 그리고 35세 이상에 대해서는 순천이율법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장래 가구추계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우리 나라의 가구규모는 1995년 12,956천 가구에서 2030년에는 54%가 증가한 20,006천 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평균가구원수는 1995년 3.3명에서 2030년에는 2.5명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나라 장래 가구형태는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3세대 이상의 다세대가구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