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R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3초

Association of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in the ESR2 and FSHR genes with poor ovarian response in infertile Jordanian women

  • Sindiani, Amer Mahmoud;Batiha, Osamah;Al-zoubi, Esra'a;Khadrawi, Sara;Alsoukhni, Ghadeer;Alkofahi, Ayesha;Alahmad, Nour Alhoda;Shaaban, Sherin;Alshdaifat, Eman;Abu-Halima, Masood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8권1호
    • /
    • pp.69-79
    • /
    • 2021
  • Objective: Poor ovarian response (POR) refers to a subnormal follicular response that leads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eggs retrieved after ovarian stimulation during assisted reproductive treatment (AR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multiple variants of the estrogen receptor 2 (ESR2) and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ptor (FSHR) genes with POR in infertile Jordanian women undergoing ART. Methods: Four polymorphisms, namely ESR2 rs1256049, ESR2 rs4986938, FSHR rs6165, and FSHR rs6166, were investigated in 60 infertile Jordanian women undergoing ART (the case group) and 60 age-matched fertile women (the control group), with a mean age of 33.60±6.34 years.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detected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d then validated using Sanger sequencing. Results: The p-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regarding FSHR rs6166 was very close to 0.05 (p=0.054).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other three SNPs, namely ESR2 rs1256049, ESR2 rs4986938, and FSHR rs6165 (p=0.561, p=0.433, and p=0.696,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FSHR rs6166 and POR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e present study, but the near-significant result of this experiment suggests that statistical significance might be found in a future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간호관리자의 리더십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Leadership Styles of Nursing Managers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윤정;정석희;김희선;김영만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79-49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 sizes of leadership styles of nursing managers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SMA and MOOSE guidelines. Participants wer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he intervention involved nursing managers' leadership styles; the outcome assessed was nurses' turnover intention. This was an observational study design. Eleven databases were searched to obtain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Of the 14,428 articles reviewed, 21 were included i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and R software programs were used. Results: The total effect size r (ESr) was - 0.25 (95% confidence interval: - 0.29 to - 0.20). Effect sizes of each leadership style on turnover intention were as follows: ethical leadership (ESr = - 0.34),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Sr = - 0.28), authentic leadership (ESr = - 0.23), transactional leadership (ESr = - 0.21), and passive avoidant leadership (ESr = 0.13). Ethical leadership was the most effective style in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Conclusion: Posi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effectively decreas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nd nega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effectively increas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he ethical leadership style is the most effective in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however, it requires careful interpretation as its effects are reported by only two stud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high turnover rate of hospital nurses and developing posi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in hospital settings.

ESR, ESEM을 이용한 이온 교환된 MoH-SAPO-34에 대한 Mo의 화학종, 위치 및 흡착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Mo(V) Species, Location and Adsorbates Interactions in MoH-SAPO-34 by Employing ESR and Electron Spin-Echo Modulation Spectroscopies)

  • 백건호;장창기;류창국;조영환;소현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6-36
    • /
    • 2002
  • $MoO_3$와 H-SAPO-34의 고체상 반응은 상자기성의 Mo(V) 화학종을 띤다. 탈수하면 Mo(V) 화학 종이 약하게 나타나지만 계속적으로 활성화 시키면 ESR로 규명할 수 있는 $Mo(V)_{5c}$$Mo(V)_{6c}$와 같은 Mo(V) 화학종이 생성된다. ESR과 ESEM 자료들은 $(MoO_2)^+$$(MoO)^{3+}$ 같은 옥소-몰리브덴 화학 종을 보여준다. $(MoO_2)^+$ 화학 종이 다음과 같이 더 합리적인 것 같이 보여진다. H-SAPO-34는 낮은 골격전하를 갖기 때문에 높은 양전하를 갖는 $(MoO)^{3+}$는 쉽게 안정화 되지 못한다. 소성된 H-SAPO-34와 도데카몰리브덴 규산 용액 사이의 용액 상태 반응은 단지 $MoO^{2+}$ 화학 종만을 발생한다. 마름모형 ESR 신호는 $D_2O$, $CD_3OH$, $CH_3CH_2OD$$ND_3$를 흡착할 때 관측되었다. Mo(V) 화학 종의 배위구조와 위치는 트리 펄스 전자 스핀반향 자료로 측정하였다. MoH-SAPO-34에 메탄올, 에틸렌 암모니아와 물이 흡착될 때 3분자, 1분자, 1분자와 1분자가 $(MoO_2)^+$에 각각 직접 배위하였다.

열발광, 전자스핀공명 및 DNA Comet 분석에 의한 대두의 방사선 조사 여부 검지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L, ESR and DNA Comet for Irradiated Soybeans)

  • 이은영;정재영;노정은;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3
    • /
    • 2002
  • 방사선 조사된 대두의 검지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산 및 중국산 대두에 대하여 $0.5{\sim}4.0\;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열발광(TL), 전자스핀공명(ESR) 및 DNA comet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TL 측정에서 비조사구는 $28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glow curve를 나타내었고, 감마선 조사구는 $200^{\circ}C$ 부근에서 조사선량에 의존적인 glow curve를 나타내었다. 재조사(re-irradiation) 방법에 의한 TL ratio$(TL_1/TL_2)$의 비교는 TL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여 주었다. 원산지별 TL 특성 비교에서 국산을 중국산에 비해 높은 TL intensity를 나타내었다(p<0.01). 대두 껍질을 사용한 ESR 측정에서는 조사시료에서 cellulose radical 유래의 특이한 signal(g = 2.02374, 1.98715)을 보여주었고 중국산 시료의 ESR signal이 더 높게 나타났다. 비조사 대두의 DNA comet은 tail이 없거나 아주 짧은 tail을 가진 전형적인 intact cell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0.5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 시료에서는 조사선량에 의존적으로 comet의 tail length 증가와 더불어 comet의 크기 및 농도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TL, ESR 및 DNA comet의 분석은 대두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원산지별 검지특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건포도와 건바나나의 감마선 조사와 저장기간에 따른 열발광 및 전자스핀공명 특성과 관능적 품질 (Characteristics of Thermoluminescence and Electron Spin Resonance and Organoleptic Quality of Irradiated Raisin and Dried Banana During Storage)

  • 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09-614
    • /
    • 2002
  • 방사선 조사(1~4 kGy)와 저장 기간(4$^{\circ}C$, 6개월)에 따른 건조과일의 TL 및 ESR검지 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건포도에서 분리된 mineral의 TL측정에서 비조사구는 200~30$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intensity의 glow curve(TLI)를 나타내었으나, 1 kGy 이상의 조사구에서는 특유의 peak가 18$0^{\circ}C$ 부근에서 나타나면서 선량 의존적으로 intensity가 증가되었다($R^2$=0.9684). 이로써 방사선 조사구와 비조사구의 판별이 6개월 동안 가능하였다. 또한 재조사(1 kG)에 의해 측정된 TL$_2$signal을 활용하여 TL ratio(TL$_1$/TL$_2$)를 계산하였을 때 검지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다. 건 바나나의 ESR 측정에서 1 kGy 이상의 조사 시료는 crystalline sugar radical 유래의 전형적인 multicomponent line을 보여 주어 조사 여부의 판별이 가능하였고 signal의 강도는 선량 의존적($R^2$= 0.8977)으로 6개월 동안 비교적 안정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건조과일은 6개월까지 상품성이 잘 유지되었으므로 TL 및 ESR 분석은 건포도와 건 바나나의 검지 관리에 적합한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ESR 분석법에 의한 감마선 조사 처리 건조어류 및 연체류의 조사 여부 판별 특성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Gamma-Irradiated Dried Fishery and Mollusks Products Using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 김문영;김귀란;김동술;장홍근;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25-731
    • /
    • 2015
  • 감마선 조사된 건조수산품 8종을 electron spin resonance(ESR) 측정법에 의한 조사 처리 여부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체류 3종(꼴뚜기, 오징어, 한치) 및 건조어류 5종(가자미, 갈치, 꽁치, 디포리, 쥐포)의 비 조사 시료와 감마선 조사(1, 5, 10 kGy) 시료를 어육과 골수를 제거한 후 뼈를 건조한 다음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건조수산품은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ESR signal intensity가 증가하였으나 조사 유래 특이 라디칼인 hydroxyapatite는 뼈가 포함된 꽁치, 가자미, 갈치 시료에서 비 조사 및 조사 시료와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조사 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또한 HA ratio를 비교해볼 때 갈치가 가자미 및 꽁치에 비해 hydroxyapatite 라디칼의 생성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꽁치는 5, 10 kGy, 가자미와 갈치는 모든 조사 처리구에서 확인이 가능한 반면, 연체동물인 꼴뚜기, 오징어, 한치의 경우 조사 유래 특이 라디칼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8종의 건조수산품 중 연체류를 제외한 뼈를 포함한 건조어류 가공품에 대하여 ESR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 처리 건조향신료에 대한 광자극발광, 열발광 및 전자스핀공명의 분광학적 분석 비교 (Comparison of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Thermoluminescence, and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ic Analyses on Dried-spices Irradiated by Gamma Ray and Electron Beam)

  • 정진화;안재준;백지영;김효영;권중호;진창현;정일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56-261
    • /
    • 2014
  •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확인시험법인 광자극발광법(PSL), 열발광분석법(TL), 전자스핀공명법(ESR)을 이용하여 4종의 시료에 대해 감마선과 전자선에 의한 확인시험법의 판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PSL 측정 결과 고춧가루, 바질, 파슬리 시료는 선원 및 선량에 관계없이 조사된 시료는 photon count 값(PCs)이 5,000 이상인 7,004-70,519의 PCs로 측정되어 조사여부의 판정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조사된 후춧가루에서는 선원에 관계없이 threshold value가 5,000 이하인 442-1,572 PCs로 중간값 및 음성값을 나타냄에 따라 조사여부 확인이 어려웠다. TL 측정 결과에서는 고춧가루, 바질, 파슬리, 후춧가루 4종 모두 선원 및 선량에 관계없이 조사된 시료는 $150-250^{\circ}C$ 사이에서 최대 glow curve peak가 나타났다. 또한 TL ratio값이 0.1 이상인 0.101-0.889을 나타내어 조사여부 판정이 가능하였다. ESR 측정 결과에서는 고춧가루만이 cellulose 유래의 signal을 보이면서 방사선 조사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다. 다른 3종 시료에서는 single line signal을 나타내어 ESR 판정이 어렵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전자선조사 향신료에서도 현행 물리적 판별방법으로 조사 여부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false 값에 대한 이유를 밝히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Vicinal Oxime 리간드의 새로운 구리(II) 착물에 대한 합성, 특성 및 ESR 연구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SR Studies of New Copper(II) Complexes of Vicinal Oxime Ligands)

  • El-Tabl, Abdou S.;Shakdofa, Mohamad M.E.;El-Seidy, Ahmed M.A.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03-611
    • /
    • 2011
  • Ethoxylacetyl oxime 리간드 [HL, (1) 및 $H_2L^1$, (3)]와 아세트산 구리(II) 일수화물을 반응시켜 팔면체 및 사각평면착물을 각각 얻었다. 이들 착물을 원소분석, IR 및 UV-Vis 스펙트럼, 자기수자율, 전기전도도 및 ESR 스펙트럼으로 조사하였다. DMF에서 이들 착물의 몰전기전도도 측정한 결과 비이온성을 보였다. 실온 및 77 K에서 [$(L)_2Cu(H_2O)_2$], (2) 착물의 ESR 스펙트럼은 배위결합성을 갖는 축대칭($d_{x2-y2}$)의 특성을 보이며, 또한 전형적인 쌍극자 상호작용에 의해 큰 띠나비를 갖는다. 그러나 착물 [$(L^1)Cu$], (4)는 고체상태에서 큰 띠넓임으로 인해 초미세 갈라짐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구리(II) 결합자리들 사이의 스핀-교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온에서 도포된 구리(II) 착물의 스펙트럼은 배위된 질소원자로 인해 극초미세 갈라짐을 보였다. 또한 이 물질은 공유 결합성을 갖는 축형태($d_{x2-y2}$)의 특성을 보이고, 구리(II) 이온의 환경은 기본적으로 사각-평면 배열을 갖는다. 77 K의 얼어있는 메탄올에서 [$(L_1)Cu$], (4)의 스펙트럼은 이합체 화합물의 삼중항 상태의 특성을 보이며, 두 구리(II) 이온 중심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결과 4.8 이다.

감마선 조사된 참깨, 들깨의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에 따른 free radical 농도의 변화 (Changes of Free Radical Concentrations with Irradiation Dose and Storage Time in Gamma-Irradiated Sesame and Perilla Seeds)

  • 이은정;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6-399
    • /
    • 2002
  • ES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국내산 참깨와 들깨, 수단산 참깨에서 생성된 라디칼 농도에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료를 50 g씩 pyrex tube에 넣고 밀봉하여 0, 1, 5 및 10 kGy의 Co-60 감마선을 조사하고 각각의 시료를 직경 4 mm의 ESR 석영튜브에 120 mg씩 넣은 후 상온에서 4주간 보관하면서 일정기간에 따라 Bruker-EP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ESR 신호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조사 직후 감마선 조사된 국내산 참깨와 들깨, 수단산 참깨는 비조사시료와 비교하여 조사시료의 신호 크기가 매우 커서 비조사시료와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적용선량의 범위에서$(1{\sim}10\;kGy)$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라디칼 농도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선량의 증가에 따른 라디칼 농도의 증가를 나타낸 $R^2$$0.9926{\sim}0.9994$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참깨와 들깨, 수단산 참깨의 라디칼 신호는 4주간의 저장 후에도 관찰할 수 있어 ESR spectroscopy를 이용한 국내산 참깨와 들깨, 수단산 참깨의 방사선 조사여부 판별은 4주간의 저장 후에도 측정 가능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Correlation between Cytokine and Chemokine levels and Clinical Severity in Children with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 Choi, Hee Joung;Kim, Yeo Hya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1호
    • /
    • pp.51-59
    • /
    • 2019
  • 목적: 소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임상 중증도와 cytokine, chemokine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 환아의 임상소견과 검사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interleukin (IL)-6, IL-8, IL-10, IL-18, inducible protein (IP)-10,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beta}$와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72명이 포함되었고, 흉부 사진에서 대엽성 병변을 보이는 경우(29명)에서 기관지-미만성 병변을 보이는 경우(43명)보다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reactive protein (CRP)와 IL-18 수치가 의미 있게 높았다. 하지만, 스테로이드 사용 여부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RP, ESR, lactate dehydrogenase (LDH), IL-18 그리고 IP-10 수치는 입원 전 발열 기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ESR과 CRP 수치는 IL-18과, LDH는 IP-10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CRP, ESR, IL-18 그리고 IP-10 수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긴 발열 기간과 같은 질병의 중증도와 연관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