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한 라디오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무선 방식으로 사물을 식별하는 RFID 시스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많은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제안된 기법들의 대부분은 국제 표준인 Class-1 Generation-2 태그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안전성에서도 취약성이 있다. 최근에 Chien과 Chen은 Class-1 Generation-2 태그에 적합하면서도 안전성이 보장되는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는데, 이 또한 취약성이 존재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태그를 찾기 위해 전수조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Chien과 Chen이 제안한 기법을 분석하고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상호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a technology that can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microchip and make goods, animals, persons recognized, chased, and managed using radio frequency, and is founded on the core technology of ubiquitous environment of the fu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RFID integrated system designed to manage the lifecycle of an individual product efficiently. The proposed system can enable traceability and visibility of items through their entire life by integrating distribution and banking information on the basis of EPCglobal Network. It may provide the infra of Digital Manufacturing and RTE (Real Time Enterprise) and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structure with existing legacy system (ERP, CRM, SCM) by real time.
e-비즈니스 환경 하에서 전자적 데이터 교환 또는 WEB을 이용한 비즈니스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산업 부분별 자동화나 정보화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 인해 기존 오프라인을 이용한 비즈니스 환경 보다는 처리 속도나 처리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비용도 많이 절감되었다. 그러나 점차 실시간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실시간적으로 화물에 대한 흐름을 추적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도출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RFID, USN 등의 유비쿼터스 개념과 기술을 이용한 u-비즈니스가 도입되어 각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특히 유통이나 운송 등 물류 분야에 유비쿼터스 기술이 적용됨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화물의 흐름 추적을 용이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하도록 EPC Global 표준에 따라 개발된 RFID 미들웨어를 항만 물류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정의하였다. 또한 정의한 비즈니스 모델을 항만 물류 분야에 적용한 사례와 적용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RFID 태그 인식 정보와 센서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위치에 따라 구분되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대량의 정보라는 면에서 유사한 자료라고 할 수 있으며, 두 자료가 함께 관리된다면 환경 변화에 따른 객체 인식 등의 융합 처리가 가능하다. RFID 미들웨어와 EPCIS 저장소가 통합된 시스템을 구현한다면 미들웨어의 기능과 저장소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미들웨어로부터 정보를 받아 가공 처리할 필요 없이 실시간 인식 정보 검색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객체 인식과 환경 정보 변화에 의존하는 객체 검색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치로부터 정보를 지속적으로 읽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EPCglobal에서 표준으로 제안하는 ALE 기반 미들웨어와 EPCIS 저장소를 RFID와 센서 데이터를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 Class-1 Generation-2 UHF RFID 1.1.0 프로토콜에 따른 수동형 UHF대역 RFID 태그 IC의 제어부를 설계한다. 제어부는 PIE 부, CRC5/CRC16, Slot Counter, Random Number Generator, Main Control 부, Encoder, Memory Interface로 나누어 Verilog HDL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제어부 전체 동작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7개 상태에서 11개의 명령어들이 올바르게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어부의 설계를 Synopsys Design Compiler와 Apollo를 이용하여 Magnachip 0.25$\mu$m 공정 라이브러리를 통해 레이아웃을 하였고 총 36,230개의 게이트가 사용되었다.
최근 기업에서의 생산물류 과정은 각 공정의 진척상황과 생산실적, 품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작업일지에 생산현황을 수기로 기록하거나, 바코드(Bar-code)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작업자의 기록을 일일이 확인하거나, 작업자가 일일이 바코드 스케너로 판독해야하는 부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때 고의나 실수로 인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자동인식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RFID를 도입하고 있다. RFID는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하여 대상물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해당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록할 수 있는 자동식별 기술로서, 최근 EPCglobal의 RFID 태그표준인 Gen2 및 EPCIS 표준이 제정됨으로써 전산업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EPCIS확장모형을 중심으로 MES개선을 위해 제조물류 흐름을 분석하는 RFID식 Modeling Notation을 제안하고, 제조업의 EPCISEvent Template을 제안하였다.
In the recent years, the companies have manually recorded a production status in a work diary or have mainly used a bar code in order to collect each process's progress status, production performance and quality information in the production and logistics process in real time. But, it requires an additional work because the worker's record must be daily checked or the worker must read it with the bar code scanner. At this time, data's accuracy is decreased owing to the worker's intention or mistake, and it causes the problem of the system's reliability.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 the companies have introduced RFID which comes into the spotlight in the latest automatic identification field. In order to introduce the RFID technology, the process flow must be analyzed, but the ASME sign used by most manufacturing companies has the difficult problem when the aggregation event occurs. Hence, in this study, the RFID logistic flow analysis Modeling Notation was proposed as the signature which can analyze the manufacturing logistic flow amicably, and the manufacturing logistic flow by industry type was analyzed by using the proposed RFID logistic flow analysis signature. Also, to monitor real-time information through EPCglobal network, EPCISEvent template by industry was proposed, and it was utilized as the benchmarking case of companies for RFID introduction. This study suggested to ensure the decision-making on real-time information through EPCglobal network.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Modeling Notation suitable for RFID characteristics, and the study is intended to establish the business step and to present the vocabulary.
RFID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RFID 리더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RFID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RFID 미들웨어의 사실상의 표준을 이끌고 있는 EPCglobal에서는 미들웨어 규격으로 ALE 미들웨어 스펙을 제안하고 있으나 표준 인터페이스 및 기능만을 정의하고 있을 뿐 상세적인 스펙 구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의 ALE 미들웨어 스펙에서 정의하고 있는 사실상의 국제 표준인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응용 및 서비스 사용자가 직접 조건을 정의하여, 정밀한 필터링, 변경 유무 검사, 전송할 집합 산출, 데이터 유무 검사, 세밀한 데이터 그룹핑, 그리고 다양한 RFID 포맷 변환 등을 바탕으로 스트림 형태의 EPC 이벤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ALE 미들웨어의 이벤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RFID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을 하거나 표준에 입각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 RFID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운영을 하고자 한다면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 회사 또는 거점에서 시스템 연계 및 데이터 연계를 위해서는 표준을 준수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본 논문은 국제 민간표준기구인 EPCglobal의 EPC Network 기반으로 RFID를 적용하기 위한 요소 중 EPCIS Capturing Application을 제안한다. EPCIS Capturing Application은 리더와 미들웨어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EPCIS에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EPCIS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현한 시스템으로 고정형 RFID 리더에서 사용하는 ALE Interface 뿐만 아니라 휴대형 RFID 리더와 같이 ALE Interface를 사용하지 않는 장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Capture Interface도 제안한다. 이에 본 논문은 RFID가 적용된 완성품 이력추적을 위한 EPCIS Capturing Application을 제안한다. 제안된 EPCIS Capturing Application을 통해 RFID 시스템을 EPCglobal 표준 기반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모든 시스템에 활용 할 수 있게 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