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5초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South Korea)

  • 변준기;신재권;정수영;김동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9-239
    • /
    • 2017
  • 본 연구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2014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95과 280속 398종 3아종 50변종 9품종의 총 460분류군이며,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총 6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7분류군, II등급 12분류군, I등급에는 17분류군 등 총 43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3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5%로 나타났다. 조사된 47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9분류군(41.1%), 약용 155분류군(33.7%), 목초용 177분류군(38.5%), 관상용 52분류군(11.3%), 목재용 17분류군(3.7%), 섬유용 12분류군(2.6%), 공업용 3분류군(0.7%)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은 식생은 양호하나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훼손이 일어나고 있으며,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관속식물상과 식생 동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현산(경기, 김포)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ahyeon (Gyeonggi-do, Gimpo))

  • 김중현;박진량;김성호;윤창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21-539
    • /
    • 2011
  • 본 연구는 가현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96과 267속 362종 6아종 40변종 5품종으로 총 4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한국 고유종은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413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159분류군(38.5%), 약용 122분류군(29.5%), 목초용 77분류군(18.6%), 관상용 47분류군(11.4%), 염료용 26분류군(6.3%), 목재용 14분류군(3.4%), 섬유용 6분류군(1.5%), 공업용이 5분류군(1.2%) 그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도 102분류군(24.7%)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4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9.9%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7.1%), 반지중식물(26.4%), 지중식물(14.7%)등이 높게 나타났다.

DMZ 접경지역 인근 고령산·개명산(파주시, 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 김상준;신현탁;안종빈;허태임;권영한;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4-280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산·개명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79속 391종 4아종 49변종 6품종으로 총 45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왜박주가리, 쥐방울덩굴, 태백제비꽃 등 총 5분류군, 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등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3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7.7%, 10.9%로 나타났다. 조사된 45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6분류군(27%), 목초용 173분류군(25%), 약용 149분류군(22%), 관상용 51분류군(7%), 목재용 20분류군(3%), 염료용 13분류군(2%), 섬유용 4분류군(1%), 공업용 5분류군(1%)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92분류군(13%)으로 나타났다.

도솔산(강원, 양구)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Dosol and its adjacent areas (Yanggu-gun, Gangwon-do))

  • 김경아;한준수;천경식;박용호;강종수;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9-76
    • /
    • 2014
  •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도솔산 일대의 식물상을 2012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89과 281속 438종 3아종 61변종 8품종으로 총 510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21분류군, 희귀식물은 24분류군, 그리고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등급에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16분류군, III등급 30분류군, II등급 37분류군, 그리고 I등급 35분류군으로 총 12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5.3%, 도시화지수는 8.4%로 산출되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201분류군(39.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목초용 186분류군(36.5%), 약용 144분류군(28.2%), 관상용 56분류군(11.0%), 목재용 16분류군(3.1%), 다용도 8분류군(1.6%), 그리고 섬유용 4분류군(0.8%)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최정산(대구)의 관속식물상 연구 (Flora of Mt. Choejeong (Daegu))

  • 전민지;이은미;박선미;배종우;나명우;황유진;최수미;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0-200
    • /
    • 2019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창면 최정산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조사가 수행되었고,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04과, 297속, 495종, 4아종, 51변종, 11품종을 포함하여 560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특산식물 15분류군, 희귀식물 5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1분류군, 약관심종(Least concern) 4분류군, 적색목록식물 5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1분류군,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3분류군, 미평가종(Not Evaluated)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54분류군; V등급종 1분류군, IV등급종 5분류군, III등급종 10분류군, II등급종 12분류군, I등급종 26분류군, 귀화식물 3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 36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최정산 총 출현 종 수 대비 각 특이종의 비율은 앞의 표로 나타내었다(Table 3). 용도별 구성은 식용식물 246분류군(29.2%), 약용식물이 228분류군(27.1%), 관상용물 164분류군(19.5%), 목재용식물 61분류군(7.2%), 목초용식물 28분류군(3.3%), 공업용식물 13분류군(1.5%), 그리고 섬유용식물 8분류군(0.9%)으로 나타났다. Oh (1971)의 선행연구와 귀화식물 목록 비교 결과 28분류군이 추가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산악자전거 도로 등으로 과거에 비해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짐으로서 귀화식물의 유입이 더 잦아진 결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현재 자생하고 있는 식물들의 서식지에 위협이 될 우려가 있다.

여수시 장수리, 평사리 방풍림일대의 식물분포와 관리실태 (The Distribution of Flora and Management Status for the Inner Windbreak Forests at Jangsoo-ri and Pyeongsa-ri in Yeosu City)

  • 오현경;김용식;김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56
    • /
    • 2007
  • The flora was summarized as 195 taxa; 73 families, 138 genera, 168 species, 23 varieties and 4 forms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and 151 taxa; 63 families, 118 genera, 131 species, 18 varieties and 2 forms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3 taxa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 4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Puccinellia coreensis (Gramineae), Asarum maculatum (Aristolochiaceae), Prunus yedoensis (Rosaceae), Koelreuteria paniculata (Sapindaceae), Adenophora triphylla var. hirsuta (Campanulaceae). The Specific Plant Specie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 summarized as 23 taxa for the 1 degree of 17 taxa, 3 degree of 5 taxa, 5 degree of 1 taxa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and 22 taxa for the 1 degree of 18 taxa, 3 degree of 3 taxa, 5 degree of 1 taxa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 From the enlisted the flora survey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7 taxa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and 19 taxa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s with the Naturalization rate was 8.7 percent and 12.6 percent, respectively.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there has been occurred many man-made impair and development without legal institution and control. So, it needs in haste institutional conservation measures and systemic database construction about function and necessity of windbreak forest.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 recently many people visited here. So, if we make eco-tour place connecting nearby coast and windbreak forest, it will contribute resident's economic profit and opportunity, concerns about windbreak forest, and necessity of conservation measures. Recently, the windbreak forests in Jangsoo-ri and Pyeongsa-ri should be bereaved windbreak forest of function by the human activities.

강원도 설악산의 식물상 (Flora of Mt. Seorak, Gangwon-do)

  • 홍문표;이호준;전영문;홍보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6-486
    • /
    • 2010
  • 설악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조사한 결과, 총 109과 463속 814종 1아종 122변종 57품종 총 99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994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53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60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 42분류군, IV등급 27분류군, III등급 58분류군, II등급 57분류군, I 등급 64분류 군 등 총 248분류군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귀화식물은 60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국화과가 전체의 31.7%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귀화율은 6.0%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반지중식물(27.6%), 지중식물(25.0%), 지상식물(21.8%) 등이 높게 나타났다.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 (The Flora and Vegetation of Dokdo Island in Ulleung-gun, Gyeongsanbuk-do)

  • 박선주;송임근;박성준;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4-278
    • /
    • 2010
  • 본 연구는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을 모니터링하여 독도생태계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독도의 식물상은 29과 48속 49종 1아종 3변종 총 53종류로 기록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섬기린초와 섬초롱꽃 2종류이고, 귀화식물은 갓, 방가지똥, 큰이삭풀, 콩다닥냉이, 흰명아주, 둥근잎나팔꽃 등 6종류로 확인되었다. 특히, 둥근잎나팔꽃은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식생형은 주로 해국-땅채송화, 해국-갯제비쑥, 왕호장근-도깨비쇠고비, 돌피, 물피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독도에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오동정의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류군별 전문가의 조사가 필요하고, 고유식생을 유지하기 위하여 귀화식물 및 재배식물의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경상남도 황강 수계의 식물상과 식생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Vegetation in Hwang River, Gyeongsangnam-do)

  • 서정윤;박경훈;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53
    • /
    • 2013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offer raw data and establish 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river ecosystem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ed in Hwang river, Gyeongsangnam-do. The flora identified in this site were 406 taxa including 95 families, 252 genera, 360 species, 3 subspecies, 40 varieties and 3 forms. The rare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Sagittaria sagittifolia subsp. leucopetala, Hydrocharis dubia and Acorus calamus. The endemic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Paulownia corean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7 taxa including Salix siuzevii, Poncirus trifoliata, Potamogeton maackianus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9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Chenopodium glaucum, Lepidium virginicum, Oenothera erythrosepala, Xanthium canadense, Lolium multiflor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The whole NI and UI were each 9.6% and 13.9%. The hydrophytes were 27 taxa including Marsilea quadrifolia, Nymphaea tetragona, Ceratophyllum demersum, Trapa japonica and so forth. In the results of growth forms of the hydrophytes, emergent species were 14 taxa, 3 taxa of floating-leaved species, 4 taxa of free-floating species and 6 taxa of submerged species. The dominant vegetations were Salix spp.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경상남도 사천시의 식물생태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for Developing Plant Ecological Indices of Sacheon-si, Gyeongsangnam-do)

  • 오현경;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4호
    • /
    • pp.509-523
    • /
    • 2012
  • This basic study is to present the methods and raw data for carrying out to objectively assess an ecosystem by developing the plant ecological ind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 ecological indices were 7 units including RI (Rare Index), EI (Endemic Index), SI (Specific Index), NI (Naturalized Index), UI (Urbanized Index), Pte-Q (Pteridophyta Index) and HI (Halophytes Index). The vascular plants in Mt. Waryong, Mt. Bongmyeong and Bito island were summarized as 471 taxa including 104 families, 294 genera, 419 species, 3 subspecies, 41 varieties and 8 forms. We surveyed 5 taxa of rare plants, 7 taxa of endemic plants, 38 taxa of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40 taxa of naturalized plants, 1 taxa of invasive alien plant, 19 taxa of pteridophyta and 14 taxa of halophytes. Bito island had the highest RI was 1.2%. Mt. Bongmyeong was 1.4% higher than other sites. If the SI of 2.9% was the highest in Bito island. Bito island was the highest NI, and the UI was the hightest in Mt. Waryong. Mt. Bongmyeong was the lowest NI and UI. In Mt. Waryong and Bito island, the highest DI was 9.1%. The Pte-Q of Mt. Waryong was 1.3 higher than the other sites. Bito island, the highest HI was 8.1%. Overall, 1.5% of RI, 1.9% of EI, 2.3% of SI, 8.5% of NI, 14.3% of UI, 9.1% of DI, 1.0 of Pte-Q and 3.0% were analyzed with 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