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EMIC PLANT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25초

팔봉산(충청남도, 서산시) 관속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 Resources in Palbongsan Mt. (Seosan-si, Chungcheongnam-do))

  • 이윤순;고아름;김경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4-70
    • /
    • 2022
  • 본 연구는 서산시 팔봉산의 식물자원 분포 및 특성을 파악하고,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팔봉산 식물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8년 4월부터 2021년 5월까지 11회에 걸쳐 경로를 구분해 관속식물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101과 298속 405종 11아종 28변종 6품종으로 총 450 분류군이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8종류였고, 희귀식물은 4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0 분류군으로 IV등급에 2 분류군, III등급에 6 분류군, II등급에 7 분류군, I등급에 15 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귀화식물은 39 분류군이 관찰되었고, 귀화율은 8.67%로 산출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12.15%로 계산되었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5 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주로 임도와 밭경작지, 숲 가장자리에서 발견되므로 분포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기적인 식생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Methyl Jasmonate-mediated Enhancement of Phenylethanoid Glycoside in Callu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cultivar Okhwang1)

  • Tae-Won Jang;So-Yeon Han;Da-Yoon Lee;Seo-Yoon Park;Woo-Jin Oh;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23
  • Abeliophyllum distichum, one of the Korean endemic plant, is a significant pharmaceutical plant resource. A. distichum with phenylethanoid glycoside can use to regulate the development of cancer, DNA damage with radicals, and the gener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biomass, content of phenylethanoid glycoside, and growth rate of callus derived from A. distichum (cultivar Okhwang1, CAD) change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plant hormones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 4-D and 1-Naphthaleneacetic acid; NA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biomass, the growth rate of callus, and the contents of phenylethanoid glycoside were cultivated on Murashige and Skoog (MS) growth medium fortified with 1 ppm 2,4-D + 2 ppm NAA after 4 weeks. In a further study, CAD was cultivated on MS growth medium fortified with an elicitor (Methyl Jasmonate, MeJA). The results showed that CAD turned to brown color and fragile form with the elicitor. HPLC-PDA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phenylethanoid glycoside in the elicitor-treated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elicitor-non-treated group.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Arano-Varela H et al.,'s study which is that acteoside production can increase after the treatment of MeJA.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production of useful substances as an alternative to plant cultivation.

  • PDF

DMZ와 인접한 마산(강원도 고성군)의 관속식물 분포 연구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Vascular Plants in Mt. Masan at Goseong-gun, Gangwon-do, Korea)

  • 윤호근;이종원;정수영;황희숙;박기쁨;박진선;김상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1-99
    • /
    • 2022
  • 본 연구는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마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희귀·특산 식물 등 주요 식물과 침입외래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계절별 총 11회에 걸쳐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를 통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총 93과 328속 529종 6아종 78변종 6품종 619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금강분취(Saussurea diamantica Nakai) 등 21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중 위기종(EN)은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 Nakai) 등 2분류군, 취약종(VU)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 등 3분류군, 약관심종(LC)은 세잎종덩굴(Clematis koreana Kom.) 등 15분류군 등 총 20분류군의 희귀식물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광분포(WS) 등급은 붉은토끼풀(Trifolium pratense L.) 등 12분류군, 심각한 확산종(SS)은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등 8분류군, 확산위험종(SR)은 큰금계국(Coreopsis lanceolata L.) 등 4분류군, 확산우려종(SC)은 돌소리쟁이(Rumex obtusifolius L.) 등 6분류군 및 확산진행종(CS)은 미국외풀(Lindernia dubia (L.) Pennell) 등 5분류군, 총 35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귀화율은 5%, 도시화지수는 10.0%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마산 주변에서 희귀·특산식물 등 주요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으나, 산림 생물다양성 보전 및 증진에 큰 위협이 되는 침입외래식물이 특정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확산하여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어 보전 전략 및 대책 수립이 절실하다.

백두대간 덕항산(삼척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Deokhangsan Protected Area in Samcheok-si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 ation in Baekdudaegan, Korea)

  • 김세창;서한나;안치호;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18
    • /
    • 2022
  • 덕항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337 ha)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위치하며, 고산지대에 발달한 우리나라 유일의 카르스트지형이다. 덕항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발견된 관속식물은 90과 302속 479종 4아종 51변종 3품종 총 53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국특산식물은 북부 고산지대에 자생한다고 알려진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숲개별꽃)과 우리나라 석회암지대에서만 자생하는 Saussurea calcicola Nakai(사창분취)와 Peucedanum insolens Kitag.(덕우기름나물)를 포함한 19분류군이 발견되었고,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에 속하는 Astilboides tabularis(Hmsl.) Engl.(개병풍)과 Vioela websteri Hemsl.(왕제비꽃)을 포함한 17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석회암지대 지표식물 33분류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대상지는 온대북부 석회암지대의 특성상 특산식물과 북방계식물이 주로 발견되었으며, 남방계식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남방계 식물의 북상은 우려와는 달리 현재까지는 미비한 수준으로 판단되며, 덕항산은 북방계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수시 장수리, 평사리 방풍림일대의 식물분포와 관리실태 (The Distribution of Flora and Management Status for the Inner Windbreak Forests at Jangsoo-ri and Pyeongsa-ri in Yeosu City)

  • 오현경;김용식;김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56
    • /
    • 2007
  • The flora was summarized as 195 taxa; 73 families, 138 genera, 168 species, 23 varieties and 4 forms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and 151 taxa; 63 families, 118 genera, 131 species, 18 varieties and 2 forms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3 taxa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 4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Puccinellia coreensis (Gramineae), Asarum maculatum (Aristolochiaceae), Prunus yedoensis (Rosaceae), Koelreuteria paniculata (Sapindaceae), Adenophora triphylla var. hirsuta (Campanulaceae). The Specific Plant Specie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 summarized as 23 taxa for the 1 degree of 17 taxa, 3 degree of 5 taxa, 5 degree of 1 taxa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and 22 taxa for the 1 degree of 18 taxa, 3 degree of 3 taxa, 5 degree of 1 taxa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 From the enlisted the flora survey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7 taxa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and 19 taxa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s with the Naturalization rate was 8.7 percent and 12.6 percent, respectively. In Jangsoo-ri windbreak forest, there has been occurred many man-made impair and development without legal institution and control. So, it needs in haste institutional conservation measures and systemic database construction about function and necessity of windbreak forest. In Pyeongsa-ri windbreak forest, recently many people visited here. So, if we make eco-tour place connecting nearby coast and windbreak forest, it will contribute resident's economic profit and opportunity, concerns about windbreak forest, and necessity of conservation measures. Recently, the windbreak forests in Jangsoo-ri and Pyeongsa-ri should be bereaved windbreak forest of function by the human activities.

DMZ 접경지역 인근 사명산(양구군, 강원도)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Mt. Samyeong (Yanggu-gun, Gangwon-do) in DMZ Area of Korea)

  • 김상준;신현탁;안종빈;윤정원;이준우;정수영;허태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1-213
    • /
    • 2017
  • 본 연구는 사명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3년 10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0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2과 308속 466종 3아종 62변종 7품종으로 총 53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백부자, 복주머니란, 개느삼 등 총 24분류군, 특산식물은 진범, 요강나물, 고려엉겅퀴 등 총 2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0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5.3%, 8.7%로 나타났다. 조사된 538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220분류군, 목초용 195분류군, 약용 167분류군, 관상용 65분류군, 목재용 25분류군, 염료용 8분류군, 섬유용 6분류군, 공업용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백암산(강원, 홍천)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Baegam (Hongcheon-gun, Gangwon-do))

  • 천경식;김경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1-188
    • /
    • 2016
  •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백암산(1,099 m)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4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 표본에 의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93속 435종 5아종 58변종 8품종으로 총 50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16분류군 그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80분류군(V등급 3분류군,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22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I등급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11.2%와 7.1%로 산출되었다. 용도는 식용이 207분류군(40.9%)으로 가장 많았고, 목초용 200분류군(39.5%), 약용 146분류군(28.9%), 관상용 58분류군(11.5%), 그리고 목재용 15분류군(3.0%)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The Ethnobotanical Investigation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 of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 Lee, Ho-Young;Lee, Ji Yeon;Kang, Shin-Ho;Chung, Kyong-So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23-639
    • /
    • 2017
  • We investigated traditional knowledge about ethnobotanical uses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s of Province Gyeongsangbuk-do, with the focus on the Sobeaksan National Park area.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138 residents at 42 places from 7 counties and/or cities, and verified species and usage information were categorized by taxonomic groups, usage, and used parts. The ethnobotanical species of the regions consisted of a total of 277 taxa: 244 species, 3 subspecies, 28 varieties, and 2 forma in 213 genera of 79 families. The significant native plants included one Endangered Species (Paeonia obovata Max.) and four endemic species (Salix hallaisanensis H. Lev., Aconitum pseudolaeve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and Cirsium setidens (Dunn) Nakai, Sasa coreana Nakai). About 17 Approved Species for Delivering Overseas designat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been also traditionally valuable in the regions. The main usage of the plants were edible (185 taxa) and medicinal (175 taxa). Leaves were most commonly used parts (109 taxa), followed by stems (73 taxa), fruits (69 taxa), roots (67 taxa), and wholes (57 taxa). The traditional usage of plants were diverse as those useful parts. Leaves, fruits and seeds were used as edible and medicinal; sprouts (young shoots) were mainly used as edible; but roots and flowers were used as medicinal. The study does not only provides examples of traditional uses of native plants, but also facilitates sustainable managements and developments of ethnobotanical knowledg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오음산(강원, 홍천 및 횡성)의 관속식물상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Oeumsan Mountain (Hongcheon-gun and Hoengseong-gun, Gangwon-do))

  • 김경아;천경식;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8-64
    • /
    • 2018
  • 강원도 홍천군 및 횡성군에 위치한 오음산(930 m)에 대한 관속식물 조사를 2016년 3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98과 301속 436종 4아종 57변종 12품종으로 총 509분류군이었다. 특산식물은 9분류군이었으며,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급에 1분류군이었고,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1분류군,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19분류군, I등급 24분류군으로 총 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 2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6.9%와 10.9%로 산출되었다.

경상남도 황강 수계의 식물상과 식생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Vegetation in Hwang River, Gyeongsangnam-do)

  • 서정윤;박경훈;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53
    • /
    • 2013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offer raw data and establish 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river ecosystem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ed in Hwang river, Gyeongsangnam-do. The flora identified in this site were 406 taxa including 95 families, 252 genera, 360 species, 3 subspecies, 40 varieties and 3 forms. The rare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Sagittaria sagittifolia subsp. leucopetala, Hydrocharis dubia and Acorus calamus. The endemic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Paulownia corean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7 taxa including Salix siuzevii, Poncirus trifoliata, Potamogeton maackianus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9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Chenopodium glaucum, Lepidium virginicum, Oenothera erythrosepala, Xanthium canadense, Lolium multiflor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The whole NI and UI were each 9.6% and 13.9%. The hydrophytes were 27 taxa including Marsilea quadrifolia, Nymphaea tetragona, Ceratophyllum demersum, Trapa japonica and so forth. In the results of growth forms of the hydrophytes, emergent species were 14 taxa, 3 taxa of floating-leaved species, 4 taxa of free-floating species and 6 taxa of submerged species. The dominant vegetations were Salix spp.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