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2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의사결정론을 통한 EMP 방호대책 및 수준 판단방안 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Judging the EMP Protection Plan and Required Level through Decision Making)

  • 김국주;박상우;백장운;박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200
    • /
    • 2019
  • 한반도 안보상황에서 주변국들에 의한 EMP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EMP 방호시설은 군의 작전수행능력을 보장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이러한 EMP 방호시설은 작전을 수행하는 부대의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 고려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 군 관의 EMP 방호기준은 80dB의 일률적인 차폐효율만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통해 객관적이고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방호요구수준의 고려사항을 재선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였으며, 53명의 EMP방호 설계기준과 관련 있는 전문가들을 선정하였다. 1차 설문은 EMP 방호의 적정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2차 설문은 방호대책 수립시 고려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채택된 전문가의 의견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EMP 방호요구수준 설정시 METT+TC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기로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EMP차폐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P Shielding Concrete Using Electric Furnace Oxidized Slag Aggregate)

  • 민태범;조형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14-52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콘크리트에 EMP차폐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사용하여 EMP차폐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전기로산화슬래그의 성분은 Fe2O3 함량 34%로 나타났으며 MgO 성분 또한 4.8%가량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gO 성분으로 인한 팽창우려로 골재안정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KS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EMP 차폐성능 평가결가 압축강도에 따른 EMP차폐성능은 상관성이 없었으며 일반골재는 EMP차폐가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기로산화슬래그를 사용한 골재는 EMP 차폐성능이 우수 했으며 두께가 증가할수록 차폐성능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구성 평가결과 EMP 차폐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와 유산한 내구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EMP차폐 구조물 구축시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한다면 차폐율 향상에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탄소 재료를 사용한 전자파 차폐 무기계 도료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magnetic Pulse Shielding Inorganic Paint Using Carbon Materials)

  • 장경필;송태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34-243
    • /
    • 2023
  • 전자파(EMP)는 고출력 전자파의 총칭으로 핵무기에서 발생하는 EMP, 비핵 EMP,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EMP로 분류된다. 전자파는 통신기기, 휴대폰, 컴퓨터, TV, 교통수단 등 전자기적 요소를 지닌 모든 전자장치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는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 재료를 이용한 EMP 차폐 무기 도료 개발을 위해 탄소 재료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도료의 EMP 차폐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도료 제조에 사용된 원재료들의 상용성 및 분산성 향상을 분석하기 위해 약 27종의 배합으로 총 2회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고, 전기저항 측정법을 이용하여 EMP 차폐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EMP 차폐 도료를 차폐 콘크리트에 적용한 결과 약 25 dB에서 최대 40 dB까지 차폐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카본계 재료 및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EMP 차폐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EMP Shielding Concrete Using Carbon-Based Materials and Industrial By-Products)

  • 김민성;윤철현;변승호;민태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8-5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금속성분을 다량 함유한 전기로산화슬래그(EOS)를 골재로 활용한 콘크리트에 도전성이 높은 카본계 재료를 혼입하여 현장적용이 가능한 EMP 차폐 콘크리트의 최적배합을 도출하고자 기초적인 물성과 두께별 EMP 차폐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슬럼프는 카본섬유(CF)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저하, 밀드카본(MCF) 혼입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압축강도는 EOS가 NA에 비해 강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F 및 MCF 혼입시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MP 차폐 측정결과 두께가 증가할수록 차폐율이 증가하였으며, 도전성 재료의 첨가량보다 도전성 재료의 종류 및 시험체의 두께가 차폐율 증가에 영향력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비교평가를 진행한 결과 EMP 차폐 콘크리트 배합으로 EOS CF 0.2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뽕나무 줄기마름병(동고병) 약제방제에 대하여 (The comparable test of the chemicals on control effects of mulberry die-back disease.)

  • 김영택;정봉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0권
    • /
    • pp.53-55
    • /
    • 1969
  • 1. 본시험은 1967년 가을부터 1968년 가을까지 살균제 루베롱(EMP), PMF, 석회유황합제, 쿠론(PCP제), PMA 5종을 공시하여 뽕나무 줄기마름병에 대한 그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2. 뽕나무 줄기 마름병에 대한 약효에 있어서는 루베롱, PMF는 그 효과가 우수 하였으며, 다른 약제 및 무처리와는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고 다른약제는 무처리에 비하여 별로 그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본병 방제를 위하여 루베롱(EMP) 1500배액을 9월과 10월에 걸쳐 2회정도 10a당 150$\ell$를 가지기부에 충분히 살포하면 가장 효과적이고 다음은 PMF가 효과가 좋았다.

  • PDF

물의 감쇠특성을 고려한 배수관 구조의 EMP 차폐 효과 분석 (EMP Shielding Effectiveness of Water Pipe Structure Considering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 김우빈;김상인;김외득;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011-1014
    • /
    • 2017
  • EMP(Electromagnetic Pulse) 공격에 대한 피해를 방호하기 위해 정화조에 사용되는 배수관에는 별도의 금속 차폐 구조물의 추가 설치가 고려된다. 이러한 차폐 구조물은 EMP 공격을 막아주지만, 물에 함께 섞여 흘러오는 불순물이 차폐 구조물을 통과하지 못해 배수관 본연의 역할을 잃게 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추가적인 유지보수 인력을 필요로 한다.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차폐 구조물 없이 물의 감쇠 특성을 고려한 배수관 구조를 제안하였다. 배수관 직경을 100 mm로 고정한 채로 물에 잠기는 깊이를 400 mm부터 800 mm까지 변화시켰을 때, 각각의 차폐 효과는 2 GHz 주변에서 70 dB부터 100 dB까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검증 과정을 통해 추가적인 차폐 구조물 없이 배수관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고, EMP 공격을 차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설계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Loss of EMP2 Inhibits Melanogenesis of MNT1 Melanoma Cells via Regulation of TRP-2

  • Enkhtaivan, Enkhmend;Kim, Hyun Ji;Kim, Boram;Byun, Hyung Jung;Yu, Lu;Nguyen, Tuan Minh;Nguyen, Thi Ha;Do, Phuong Anh;Kim, Eun Ji;Kim, Kyung Sung;Huy, Hieu Phung;Rahman, Mostafizur;Jang, Ji Yun;Rho, Seung Bae;Lee, Ho;Kang, Gyeoung Jin;Park, Mi Kyung;Kim, Nan-Hyung;Choi, Chang Ick;Lee, Kyeong;Han, Hyo Kyung;Cho, Jungsook;Lee, Ai Young;Lee, Chang 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0권2호
    • /
    • pp.203-211
    • /
    • 2022
  • Melanogenesis is the production of melanin from tyrosine by a series of enzyme-catalyzed reactions, in which tyrosinase and DOPA oxidase play key roles. The melanin content in the skin determines skin pigmentation. Abnormalities in skin pigmentation lead to various skin pigmentation disorders.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expression of EMP2 is much lower in melanoma than in normal melanocytes, but its role in melanogenesis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EMP2 in the melanogenesis of MNT1 human melanoma cells. We examined TRP-1, TRP-2, and TYR expression levels during melanogenesis in MNT1 melanoma cells by gene silencing of EMP2. Western blot and RT-PCR result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TYR and TRP-2 were decreased when EMP2 expression was knocked down by EMP2 siRNA in MNT1 cells, and these changes were reversed when EMP2 was overexpressed. We verified the EMP2 gene was knocked out of the cell line (EMP2 CRISPR/Cas9)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and foun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TRP-2 and TY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MP2 CRISPR/Cas9 cell lines. Loss of EMP2 also reduced migration and invasion of MNT1 melanoma cells. In addition, the melanosome transfer from the melanocytes to keratinocytes in the EMP2 KO cells cocultured with keratinocytes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ells in the control coculture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2 is involved in melanogenesis via the regulation of TRP-2 expression.

EMP simulation을 활용한 다층 박막의 평가 및 설계 (Evaluation and design of Multi-layered thin films with EMP simulation)

  • 김준식;장건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2-31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Thermal evaporator(저항 가열 식 진공 증착법) 장비를 활용하여 ZnS/$Na_3AlF_6$/ZnS/Cu-$0.25\lambda$, ZnS/$CaF_2$/ZnS/Cu-$0.25\lambda$의 다층 박막을 glass 기판위에 증착하였다. 증착 전에 EMP(Essential Macleod Program)을 활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simulation하였으며 다층 박막 제작 후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반사율 및 색상을 CIE $L^*a^*b^*$ 좌표에 표시하여 고 굴절 물질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EMP simulation과 비교하였다. AES depth profile을 분석하여 막의 두께 및 층간 확산여부에 관하여 관측 하였다. 저굴절 물질을 Na3AlF6로 사용하였을 경우 simulation과 결과 값 모en purple 계통의 색상을 나타냈으며 CaF2를 사용하였을 경우 simulation은 purple 계통의 색상, 결과값은 red-yellow 계통의 색상으로 나타났다.

  • PDF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Cytokeratins and Epithelial Membrane Protein 2 in Nasopharyngeal Carcinoma and its Potential Implications

  • Ahmed, Hussain Gadelkarim;Suliman, Rania Saad Abdul Gader;Abd El Aziz, Mohammed Siddig;Alshammari, Fawaz 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653-656
    • /
    • 2015
  • Background: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is an aggressive disease and tends to involve surrounding tissues, and biomarkers for better management are yet to be identified.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 tissue samples with NPC diagnosis were were investigated using pan cytokeratin (CK) and epithelial membrane protein 2 (EMP2) antibodies. Results: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CK was identified in 144/150 (96%) and of EMP2 in 120/150 (80%). Conclusions: There is a high loss of EMP2 in NPC, especially high grade examples. Loss of CK expression is also linked to high grade NPC types.

EMP시뮬레이션을 활용한 Sb2O3/Na3AlF6/Sb2O3/Cr 다층박막의 광 특성 (The Optical Properties of Sb2O3/Na3AlF6/Sb2O3/Cr Multi Layered Thin Films by EMP Simulation)

  • 김준식;장건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6-380
    • /
    • 2008
  • The optical properties of multi layered thin films with $Sb_2O_3/Na_3AlF_6/Sb_2O_3/Cr$ were simulated by using EMP(Essential Macleod Program). EMP is a comprehensive software package to design and analys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ed thin film. $Sb_2O_3$ and $Na_3AlF_6$ were selected as a high refractive index and low refractive index material respectively. Additionally Cr was chosen as mid reflective material. Optical properties including color effect were systematically studied in terms of different optical thickness of low refractive index material. The optical thickness of $Na_3AlF_6$ was changed as 0.25, 0.5, 0.75 and $1.0\lambda$. The film with 0.25, 0.5, 0.75 and $1.0\lambda$ of optical thickness showed mixed color range between purple and red range, yellowish green and bluish green, purple and mixed color range of green and purple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