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HD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7초

이미지 정규화를 이용한 Edge Histogram Descriptor 이미지 매칭 성능 개선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Edge Histogram Descriptor Image Matching using Image Normalization)

  • 조민혁;이상걸;조재현;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5-38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MPEG-7의 EHD(Edge Histogram Descriptor)를 이용한 이미지 매칭기법의 취약점을 보이고 이미지 정규화를 이용해 이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EHD 알고리즘은 edge의 기울기 분포를 수집하여 같은 분포를 가지는 이미지를 매칭하는 기법에 사용한다. 하지만 EHD는 매칭하고자 하는 객체의 회전과 왜곡의 변화에 민감하여 오인식률이 높다. 따라서 이미지를 정규화 하여 매칭하고자 하는 이미지 내의 객체의 edge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하여 매칭 성능을 개선한다. 실험을 통해 왜곡과 회전으로 정규화한 EHD 알고리즘을 비교 및 분석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크기와 회전의 변화에 강인함을 보인다.

  • PDF

전기수력학 프린팅의 분사 특성 변화에 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characteristic change of Electrohydrodynamic jetting)

  • 김효준;정종렬;양중근;정재원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913-1916
    • /
    • 2008
  • Electrohydrodynamic (EHD) printing has gained significant interest after a direct writing with a resolution of a few tens nanometer was demonstrated using EHD. Basically, EHD use the electric field to generate droplet which is much smaller than nozzle diameter, so that high resolution printing is possible and the clogging problem can be alleviated as well. However, to adapt this technology to the real application, the fundamental studies are necessary to stabilize EHD jetting, to maximize jetting frequency, and to optimize the design of multi EHD nozzle, etc. In this study, by imaging EHD jetting using high speed camera and measuring the current, the effect of electric field intensity and back pressure on jetting frequency and jetting diameter were studied.

  • PDF

노즐의 소수성 코팅에 의한 EHD 제트의 액적 토출 현상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Ejection Phenomena of Droplets from EHD Jet by Hydrophobic Coating of Nozzle)

  • 김용재;최재용;손상욱;안기철;금현준;이석한;변도영;고한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742-1746
    • /
    • 2008
  • An EHD (Electro-Hydro-Dynamic) jet for electrostatic inkjet head shows advantages to print micro-size patterns using various inks because it can generate sub-micron droplets and can use highly viscous inks. Thus, many researchers in industrial fields are concerned about the EHD jet in these days. Since the basic principle of the EHD jet is to form a droplet from an apex of meniscus at the end of the nozzle, the ejection mechanism can be changed by the shape of the meniscus. The stable ejection of the droplet is greatly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meniscus which is also influenced by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nozzle, electric potential and ink properties.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using the nozzles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coatings in this study. The hydrophobic nozzle forms the stable droplets in wider range of the electric potential than the hydrophilic nozzle does.

  • PDF

컬러 히스토그램과 에지 히스토그램 디스크립터를 이용한 영상 검색 기법 (Similar Image Retrieval using Color Histogram and Edge Histogram Descriptor)

  • 조민혁;이상걸;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2-33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컬러 히스토그램과 MPEG-7의 EHD(Edge Histogram Descriptor)를 이용한 영상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EHD 알고리즘은 에지의 기울기 분포를 수집하여 유사 영상을 검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영상의 색상 정보는 고려하지 않고 에지의 기울기만으로 검색하면 색상 정보에는 취약한 면을 보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컬러 히스토그램을 이용해 특징을 추출하여 유사 영상인지 판단한다. 기존 EHD의 취약점을 보이고 컬러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EHD와 Lookup Table를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기법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Using EHD and Lookup Table)

  • 신수연;김택곤;김우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상)
    • /
    • pp.367-370
    • /
    • 2003
  •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표현을 표준화하는 MPEG-7 표준안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안의 Visual Descriptor 중 Edge Histogram Descriptor(EHD)에 기반한 효과적인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설계한다. EHD의 경우 질의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의 이미지 간의 유사도 연산을 통해 검색을 하는데 모든 이미지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저장된 에지 히스토그램 정보를 ‘이미지 당 빈 값’에서 ‘빈 값 당 이미지’ 정보로 매핑하는 Lookup Table를 이용하여 유사도 연산을 수행할 이미지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다중 전극 어레이 기반 전기수력학 인쇄 기술을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2차원 마이크로 패터닝 연구 (A Study of 2D Micro-patterning of Biodegradable Polymers by MEA (Multi Electrode Array)-based Electrohydrodynamic (EHD) printing)

  • 황태헌;류원형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1-118
    • /
    • 2017
  • 전기수력학 (Electrohydrodynamic, EHD) 프린팅 기술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일반 프린팅 기술보다 더 작은 크기의 액적을 분사하고 패터닝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EHD 프린팅은 일반적으로 인쇄 노즐이나 기판을 X-Y 방향으로 움직여 패턴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중전극 어레이 (Multielectrode array, MEA)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판위에 2차원의 패터닝이 가능함을 연구하였다. 특히, 약물전달장치 등의 바이오메디칼 디바이스로의 응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와 염료를 혼합한 잉크의 EHD 프린팅을 시도하였으며 노즐이나 기판의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2차원 범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소 약 $6{\mu}m$ 크기를 갖는 패턴을 노즐 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약 1 mm 범위까지 안정적 패터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EA 전극 간의 거리에 의한 패턴 조밀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EA와 인쇄가 이루어지는 기판과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더 조밀한 패터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NUMERICAL MODELING OF WIRE ELECTROHYDRODYNAMIC FLOW IN A WIRE-PLATE ESP

  • Chun, Young-Nam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64-171
    • /
    • 2006
  • Numerical modeling of the flow velocity fields for the near corona wire electrohydrodynamic (EHD) flow was conducted. The steady, two-dimensional momentum equations have been computed for a wire-plate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The equations were solved in the conservative finite-difference form on a fine uniform rectilinear grid of sufficient resolution to accurately capture the momentum boundary layers. The numerical procedure for the differential equations was used by SIMPLEST algorithm. The Phoenics (Version 3.5.1) CFD code, coupled with Poisson's electric field, ion transport equations and the momentum equation with electric body force were used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and the Chen-Kim ${\kappa}-{\varepsilon}$ turbulent model numerical results that an EHD secondary flow was clearly visible in the downstream regions of the corona wire despite the low Reynolds number for the electrode ($Re_{cw}=12.4$). Secondary flow vortices caused by the EHD increases with increasing discharge current or EHD number, hence pressure drop of ESP increases.

Identification of QTL for Early Heading Date of H143 in Rice

  • Yoo, Jeong-Hoon;Yoo, Soo-Cheul;Zhang, Haitao;Cho, Sung-Hwan;Paek, Nam-Cho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43-248
    • /
    • 2007
  • Rice is a facultative short-day plant that flowers in response to reduced day length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QTL) for the early heading date(EHD) using H143 line showing extreme EHD compared to other regular cultivars in rice. The japonica H143 was crossed with a japonica cultivar 'Dongjinbyeo' as well as a tongil cultivar 'Milyang23' to measure the inheritance mode of EHD and identify major QTL conferring EHD, respectively. Pooling test revealed that segregation distortion occurred on chromosome 7 and subsequent linkage map was constructed using 10 SSR markers. QTL analysis using Q-gene 3.06 revealed that the EHD trait in H143 was largely controlled by two major QTL, EH7-1 and EH7-2, accounting for more than 40% of genetic variation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reviously reported QTL, Hd4 and Hd2,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se two QTL markers may be a useful source for the control of heading date in rice breeding programs.

  • PDF

원외탕전실 평가인증기준과 KGMP 평가인증 기준과의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Korea Good Manufacturing Practice (KGMP) Evaluation Criteria with Certification Criteria of Extramural Herbal Dispensaries)

  • 김형기;황의형;이은경;임병묵;신영재;박선영;신병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1-71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future direction of accreditation system of Extramural herbal dispensaries (EHD) by comparing the current criteria of EHD and the existing Korea 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regulations. Methods : Amo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of EHD, criteria of general herbal medicine was compared with the pharmaceutical GMP of Korea. The regulations of the accreditation of EHD and the regulations of KGMP were compared and organized with similar things based on the index of KGMP. All criteria from both were extracted for each element, classified into key-words and evaluated by dividing them into the same, similar one and no-matching. Results : Among the 189 criteria of KGMP, 77 criteria were consistent with the accreditation of EHD, and 15 criteria were similar. Based on the accreditation of EHD, 70.4% of the criteria were consistent or similar to KGMP. There were a total of 27 key-words only in the GMP criteria and not in the EHD one. Hence, a total of 25 key-words only in the EHD criteria and not in the GMP one. There were 12 similar key-words, and among them, there were 4 key-words in which accreditation of EHD was more specific than the KGMP. Conclusions : The criteria of general herbal medicine in EHD showed a similar or equivalent level of accreditation criteria compared to that of pharmaceutical GMP in Korea, and it ts believed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current leve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herbal medicine.

MPEG-7의 EHD와 CLD를 조합한 영역기반 영상검색 (Region-based Image retrieval using EHD and CLD of MPEG-7)

  • 류민성;원치선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3권1호
    • /
    • pp.27-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에지와 칼라 분포를 부영상(sub-image)의 단위로 기술하기 위해 MPEG-7의 여러 가지 서술자 중 에지히스토그램 서술자(EHD: Edge Histogram Descriptor)와 컬러레이아웃 서술자(CLD: Color Layout Descriptor)를 조합한 영역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영상 내의 관심영역 (ROI) 선택의 기본 단위는 영상 공간을 $16(4{\times}4)$개의 겹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한 EHD의 부영상 블록이다. 따라서 영상 특징 벡터에 대한 블록-대-블록의 일-대-일 대응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CLD의 기술자는 $8{\times}8$ 역 DCT (IDCT)를 통해 $4{\times}4$의 각 부영상에 대응하는 컬러 특징을 생성한다 제안된 방법이 MPEG-7의 기술자에 대해 관심영역기반 영상 검색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