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MYCORRHIZAL MUSHROOM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8초

Genet Variation of Ectomycorrhizal Suillus granulatus Fruiting Bodies in Pinus strobus Stands

  • Lee, Hwa-Yong;Koo, Chang-Duck
    • Mycobiology
    • /
    • 제44권1호
    • /
    • pp.7-13
    • /
    • 2016
  • The genets of Suillus granulatus in a Pinus strobus stand ($13m{\times}60m$) were identified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olecular markers and the DNA of mushrooms that fruited for two years, and variations in genet size and distribution were analyzed. From a total of 116 mushrooms, 73 genets were identified and were grouped into three locations. The genets of mushrooms in close proximity differed from each other. The genet sizes varied at any of the three locations. The lengths of the identified genets in the pine stand ranged from 0.09 to 2.90 m. The average number of mushrooms per genet was 1.2 to 2.3, and the percentage of genets that were represented by a single mushroom was 44% to 94%. This variation in the genets of mushrooms in close proximity suggests that the ectomycorrhizal mycelial bodies of S. granulatus propagated sexually by fusing haploid spores derived from the mushrooms gills with below-ground mycelia. Therefore, it is necessary further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new genets through spores in ectomycorrhizal fungal colonies.

Ectomycorrhizal Roots Collected from the Bases of the four Edible Basidiocarps Around Mt. Wol Ak

  • Lee, Sang-Sun;Kim, Dong-Hun;Chung, Hung-Chae
    • Mycobiology
    • /
    • 제28권1호
    • /
    • pp.27-32
    • /
    • 2000
  • The ectomycorrhizal roots were collected from the soils around the bases of basidiocarps of the four edible mushrooms in the stands of Pinus densiflora or Querus acutissima communities (Mt. Wol-Ak in Eastern Chung-Puk): The basidiocarps of Tricholoma matsutake (TM), Sarcodon asparatus (SA), S. imbricatum (SI), and Polyozellus multiplex (PM) are usually collected. The ectomycorrhizal roots of TM, PM and SI were related to the roots of P. densiflora, but the other to the roots of Q. acutissima in Korea. Particularly, the basidiocarps of PM were collected in the mixed stand of both P. densiflora and Q. acutissima. The morphologies of the ectomycorrhizal roots were observed to be the yellowish brown coral (dichromatous) or pyramid types in the roots of the pine, but dark brown un-branched sticks (roots) in the ends of ectomycorrhizal roots of Querus plants. The un-branched roots were covered with the dark mycelia (rhizomorph) around them. Therefore, the ectomyorrhizal roots of PM were observed to have two kinds of types; The single blackish un-branched roots were observed to be attached to the yellowish coral type roots. The bundles of TM mycelia were filled with cortical cells (in the roots of P. densiflora), but the mycelia of the other fungi (Aphylloporales) were massed between the cortical cells of P. densiflora or Q. acutissima. Their anatomical and gross features were considered to be simailar but very important in the ectomycorrhizal roots for these edible mushrooms.

  • PDF

Mycelial Growth of Edible Ectomycorrhizal Fungi According to Nitrogen Sources

  • Wang, Eun-Jin;Jeon, Sung-Min;Jang, Yeongseon;Ka, Kang-Hye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6-170
    • /
    • 2016
  • Ectomycorrhizal fungi are associated with plants roots and acquire significant amounts of nitrogen sources from the soil. For artificial cultivation, mass produc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liquid media is required. We studied the edible ectomycorrhizal mushrooms Hygrophorus russula, Ramaria fumigata, Sarcodon aspratus, and Tricholoma matsutake. All strains except S. aspratus NIFoS 2031 grew generally well on modified Melin-Norkran's (MMN) medium compared to on other media. All strains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on organic nitrogen. Specifically, two strains of H. russula significantly responded to both tryptone and neopeptone media. Among different species and strains,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he capacity to grow on animal-based organic nitrogen sources.

소나무 유묘를 이용한 싸리버섯의 외생균근 형성 (Ectomycorrhizal Formation of Ramaria botrytis Using Pinus densiflora Seedling)

  • 가강현;정숙주;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113
    • /
    • 2009
  • 싸리버섯은 한국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외생균근성 버섯중 하나로 자연채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나무 유묘에 싸리버섯균을 접종하여 균근형성을 시도하였다. 소나무 유묘에 형성된 싸리버섯 균의 외생균근은 단순형과 차상분지형이였다. 외생균근의 직경은 $325-380{\mu}m$ 이었고, 균투층은 반투명색으로 $20-30{\mu}m$ 이었다. 한편, 싸리버섯 균의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circ}C$ 이였고, PDA 배지에서 2달간에 5 cm 정도 생장하였다.

식재지별 외생균근성 버섯의 다양성 및 발생 빈도 비교 (Diversity and Occurrence Frequency of Ectomycorrhizal Fruiting Bodies by Planting Sites)

  • 정진철;오광인;장석기;장규관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1-78
    • /
    • 2004
  • 2000년 6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식재지별로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사기간 동안 총 3강 3아강 8목 22과 41속 72종 (2변종 포함)의 버섯이 조사되었다. 버섯은 주름버섯목에 9과 21속 48종, 민주름버섯목에 5과 11속 13종, 이형담자균강에 3과 3속 4종, 복균아강에 5과 6속 7종이었다. 외생균근성 버섯은 총 7과 11곡 30종 2,451개체가 조사되었다. 버섯 개체수는 색시졸각버섯(1,225) 긴골광대버섯아재비(179), 자주졸각버섯(13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은 기후환경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7월과 8월에 집중하였다. 외생균근성 버섯의 종수 및 개체수 분포는 조사구별로 큰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각 조사구별 입지환경 및 기주 수종 구성 등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색시졸각버섯은 참나무속에서만 발생하여 기주선택성이 매우 좁고, 긴골광대버섯아재비, 수원무당버섯, 땀버섯속은 침엽수 및 활엽수 모두에서 버섯이 발생되어 기주선택성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생균근성 버섯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은 토양환경 중 토양 pH, 유기물함량 및 전질소함량과 기후환경인 상대습도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국내 균근성 버섯류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nutritional contents of ectomycorrhizal mushroom extracts in Korea)

  • 안기홍;한재구;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4-173
    • /
    • 2020
  • 국내 자생하는 균근성 버섯 중 본 연구에서 수집한 붉은꾀꼬리버섯(C. cinnabarinus), 젖버섯속(L. parallelus), 송이(T. matsutake), 싸리버섯(R. botrytis)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라디컬 소거능, 철환원 항산화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항산화 활성과 균근성 버섯의 건조시료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균근성 버섯류 중에서 싸리버섯(R. botrytis) 열수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33.8%), 철 환원 항산화능(0.38), 환원력(0.35), 총 폴리페놀 함량(13.83 mg 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2.56 mg QE/g)이 다른 버섯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젖버섯속(L. parallelus)이 높았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붉은꾀꼬리버섯(OK1165)이 각각 1,046.1 mg/kg과 404.9 mg/kg으로 다른 균근성 버섯류에 비하여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4종의 균근성 버섯류에서 검출된 아미노산 성분 중 시스테인(Cys)이 전체 아미노산 성분 중에서 가장 높게 검출된 성분이었으며, 페닐알라닌(Phe)는 다음으로 많이 검출된 성분이었다. 붉은꾀꼬리버섯(C. cinnabarinus)의 경우 쓴맛을 내는 성분들이 함량이 높았으나 동시에 감칠맛, 단맛을 내는 성분들도 다른 균근성 버섯류에 비하여 높았으며, 송이(T. matsutake)는 감칠맛, 단맛을 내는 성분이 다른 균근성 버섯류에 비하여 높게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야생에서 수집한 4종의 균근성 버섯류 중에서 항산화능은 싸리버섯(R. botrytis)이 가장 높았으며, 아미노산 함량은 붉은꾀꼬리버섯(C. cinnabarinus)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목(林)과 포플러목(林)에 공생(共生)하는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동정(同定) 및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Pine and Poplar Stands)

  • 이경준;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3
    • /
    • 1983
  • 수원근처(水原近處)에 있는 리기테다소나무림(林) 포플러(은사시나무)림(林)의 임상(林床)으로부터 1981년(年) 6월말(月末)부터 11월초(月初)까지 그리고 1982년(年) 7월초(月初)부터 9월말(月末)까지 외생균근(外生菌根)을 형성(形成)하는 버섯을 채취(採取)하여 그 분포(分布)를 구명(究明)하고 두 임분(林分)의 균종(菌種)의 상이점(相異點)을 비교(比較)하였다. 소나무림(林)에서는 15속(屬) 39종(種)을 구명(究明)하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포플러림(林)에서는 8속(屬) 16종(種)을 분류(分類)하였으며, 이 중 13종(種)은 소나무림(林)에서도 채취(採取)된 동일균종(同一菌腫)이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Boletus는 두 임분(林分)에서 한 균근(菌種)(붉은 그물버섯)만이 확인(確認)되었다. Lactarius는 포플러림(林)에서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1982년도(年度) 채집중(採集中) 한국말기록종(韓國未記錄種)인 Cantharellus lutescens를 소나무림(林)에서 채취(採取)하여 확인(確認)하였다.

  • PDF

리기다-리기테다 소나무임분내(林分內)에 공생(共生)하는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a Pinus $rigida-rigida\;{\times}\;taeda$ Stand)

  • 이경준;구창덕;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5
    • /
    • 1982
  • 수원근처(水原近處)에 있는 24년생(年生) 리기다-리기테다 소나무림(林)의 임상(林床)으로부터 1981年 6월말(月末)부터 11월초(月初)까지 버섯을 채취(採取)하여, 소나무림(林)에 공생(共生)하는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분포(分布)를 구명(究明)하였다. 이 기간(期間)동안 70종류(種類) 이상(以上)의 버섯을 채취(採取)하였으며, 그중(中) 26종류(種類)는 종명(種名)을 구명(究明)하였고, 20종류(種類)는 속명(屬名)까지 연명(硏明)하는데 그쳤다. 이들 46종류(種類)의 버섯은 모두 17개(個)의 속(屬)에 포함(包含)되어 있었으며, 가장 흔하게 관찰(觀察)된 버섯은 Russula, Lactarius, Boletus, Amanita에 속해 있었다. 이번 조사(調査)에서 1속(一屬)의 한국미기록속(韓國未記錄屬)과 4종(四種)의 미기록종(未記錄種)을 발견(發見)하였다. 미기록속(未記錄屬)인 Hebeloma에 속하는 버섯을 두 종류(種類)를 채취(採取)하였으나 종명(種名)을 구명(究明)하지 못했으며, 네가지 미기록종(未記錄種)은 Inocybe fastigiata, Phylloporus bellus, Lactarius glaucescens와 Lactarius subvellereus이었다. 그 중(中) Phylloporus bellus는 종전(終前)에 Phylloporus rhodoxanthus로 잘못 명명(命名)되었음을 발견(發見)하였다.

  • PDF

내장산국립공원의 고도에 따른 외생균근성 버섯 분포 (Distribution of Ectomycorrhizal Mushroom According to Altitud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장석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3-72
    • /
    • 2006
  • 2004년 6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내장산국립공원의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사기간 동안 고등균류는 총 5강 16목 63과 149속 358종이었으며 이중 외생균근성 버섯은 총 2강 3목 17과 36속 152종 1,285개체가 조사 되었다. 주름버섯목이 9과 27속 136종 1,045개체, 민주름버섯목은 5과 6속 12종 221개체 및 복균강은 3과 3속 4종 19개체가 조사되었다. 무당버섯과가 35종으로 가장 우점하였고, 그물버섯과(34종), 광대버섯과(22종), 끈적버섯과(21종)의 순이었다.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은 강수량 및 대기온도가 높은 시기인 기후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7월, 8월 및 9월에 집중 되었다. 외생균근성 버섯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은 토양환경 중 토양 pH와 유효인산이, 기후환경은 강수량 및 대기온도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산불발생에 따른 외생균근성 버섯의 분포 (Distribution of Ectomycorrhizal Fruit Bodies According to Forest Fire Area)

  • 김홍진;정진철;장석기;장규관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51-264
    • /
    • 2013
  •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계 3문 6강 15목 34과 59속 107종이 동정되었으며, 담자균문은 28과 51속 99종, 자낭균문은 5과 7속 7종 및 아메바문은 1과 1속 1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 총 10과 17속 49종 총 80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 중 애기꾀꼬리버섯이 198개체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고 꾀꼬리버섯 66개체, 색시졸각버섯 53개체 순이었다. 종 분포가 높은 균류는 광대버섯과가 1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물버섯과 12종, 무당버섯과 11종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시기별 분포에서는 7월과 8월에 가장 다양한 외생균근성 버섯이 발생되었는데 이는 높은 온도 및 강수량이 많은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분포에서는 조사구 I인 소나무 군락 (8과 13속 30종)과 II인 참나무 군락 (8과 12속 30종)에서 가장 높았고, 조사구 IV (1과 1속 1종)와 V의 곰솔 식재지 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후환경 요인으로는 대기온도 (평균온도, 최저온도, 최고온도)에서, 토양환경 요인으로는 토양 산도와 유기물함량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