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ntor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방과 후 학습지도를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방안 (A Study on e-Mentoring system Design for Guiding Learning After School)

  • 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03-311
    • /
    • 2007
  • 대량생산 체제를 기초로 한 교수 학습은 물질적 풍요를 가져오는데 기여했지만, 전인적 인간계발이라는 교육본연의 목표를 상실하고 자연과 타인을 자기욕구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는 파괴적인 인간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적 교육방법으로 인지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에서도 학습자를 지원하는 멘토링(mentoring)이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면대면 멘토링이 가지는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전자멘토링(e-mentoring)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과 후 학교 운영의 일환으로 예비교사가 멘토로서 참여하고 중등학교 학생들이 멘티가 되는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링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 방향을 설정하고 필수 기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전자멘토링 설계방안은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 증진에 관심있는 실천가들에게 새로운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며, 이 설계방안을 토대로 시스템 개발과 그것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실증적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 PDF

중학교 정보교과 교육을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e-Mentoring System for Inform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 윤재성;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7-123
    • /
    • 2012
  • 이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고 그것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전자멘토링 수행모형을 도출하고 이 모형을 기초로 전자멘토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을 형성평가 하고자 경기도 중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멘토링지원'과 '시스템' 두 영역은 각각 평균 3.63과 3.78(5점 만점)로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다. 멘토링지원의 하위영역중 '교수-학습 용이성', '심리안정성', '적용가능성'은 각각 평균 3.65, 3.30, 3.43을 받았고, 시스템 하위영역 '편리성', '정확성', '심미성'은 각각 평균 3.90, 3.64, 3.73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연구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자멘토링 시스템은 정보교과교육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향후에는 전자멘토링 운영에 있어서 멘토와 운영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완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e-Mentoring System for Full Inclusion)

  • 이재호;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91-99
    • /
    • 2010
  • 이 연구는 완전통합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것의 사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외 전자멘토링 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한 후, 완전통합교육 지원에 적절한 전자멘토링 수행모형을 도출했다. 특히, 설계와 구현에 있어서는 온라인의 수평적 멘토링 구현과 다양한 멘토링 형태의 지원, 상호보완적 관계형성, 그리고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 등에 역점을 두고 시스템을 구축했다.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운영자 2명, 멘토 5명, 멘티 5명을 선정한후, '멘토링 지원(인지적 지원, 정서적 지원, 적용가능성)'과 '기술 지원(편의성, 정확성, 심미성)' 등 2가지 영역, 총 10개의 문항을 통해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통합학급 담당교사와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사용성 평가 결과, 완전통합교육 지원을 위해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은 모든 영역에 걸쳐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의 실질적인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 실증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e-멘토링 시스템에서 매칭을 위한 개인선호도기반 멘토/멘티 추천 알고리즘 (Personalized Mentor/Mentee Recommendation Algorithms for Matching in e-Mentoring Systems)

  • 진희란;박찬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21
    • /
    • 2008
  • 지식정보화시대가 시작되면서 멘토링은 인재 발굴 및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멘토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요소는 여러 가지이다. 그 중 멘토와 멘티를 매칭하는 요소는 멘토링 시스템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기존 e-멘토링 시스템의 매칭은 대부분 개인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관리자에 의해 일괄적으로 처리되는데, 이는 멘토링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선호도를 입력받아 매칭 항목으로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장 적절한 멘토/멘티를 매칭시키는 개인선호도기반의 멘토/멘티 추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과 함께 제안한 알고리즘을 정교성, 일치성, 다양성 측면에서 분석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증명한다.

  • PDF

웹 기반의 e-mentoring을 지원하기 위한 독립형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dependent System for Supporting to e-mentoring on the Web Based)

  • 김진환;장상필;신소영;김지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73-75
    • /
    • 2005
  • 최근 여러 대학기관에서는 신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학업, 진로에 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실시하고 있다[1,2,3] 그 중 멘토링(mentoring) 프로그램은 대학교육 체제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두되었다[4,5]. 하지만 대부분의 멘토링 교육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됨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발생한다. 이 점을 해결하고자 e-mentoring이 제안되었다[6,7]. 그러나 기존의 e-mentoring에서는 멘토 와 멘티 와의 능동적인 의견 수렴에는 효과적이나 멘토링에서 요구되는 강좌의 지원 어렵다. 대안으로 LMS(Learning Management Solution)를 이용한 강좌 지원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학습관리 및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의 LMS와 멘토링교육은 그 성격부터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멘토링 강좌를 지원하며, 멘토와 멘티사이의 능동적인 의견 수령이 가능한 독립형 e-mentoring시스템의 설계와 구축을 통한 그 기능과 장점을 확인하며, 실제 멘토링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사서의 멘토링에 관한 연구 - P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ntoring for University Librarians: Case Study of P University Library)

  • 이철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7-198
    • /
    • 2008
  • 대학도서관에서 경험이 많은 선배사서인 멘토와 경험이 없거나 부족한 후배사서인 멘티를 위하여 멘토링을 시행한다면 그에 대한 호응도는 어떠하며, 원하는 멘토링은 어떠한 형태인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함께 P대학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멘토링에 참여할 의사는 비교적 높았으며, 관심주제는 직장생활에 대한 조언과 상담이 가장 높았고, 멘토와 멘티의 매칭은 도서관에서 구성한 위원회나 멘티가 선정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멘토링에 참여하는 파트너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업무능력이라고 하였으며, 멘토와 멘티의 매칭은 1:1을 선호하였고, 멘토링 기간은 1년 이하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위와 같이 대부분의 사서가 개개인의 전문성 개발 및 자기학습 기회를 위하여 멘토링 참여의사를 밝혔으므로 대학도서관에서도 멘토링에 대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청소년 금융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e-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연구 (Effects of an E-Mentoring Program to Improve Youth Financial Empowerment)

  • 손상희;손성보;서원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49-564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mentoring youth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promoting financial empowerment and establishing financial capabilities among independent consumers. A four-session, eight-hour "Youth Financial Empowerment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This program dealt with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psychology factors in an integrated fashion. We us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Specifically, by using Zoom, a virtual conference platform, four mentors of college students were trained for four sessions over two weeks. Meanwhile, four groups were formed with four mentors and 18 high school mentees to implement a four-week e-mentoring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vari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financial psychology factors and financial literacy variables. In addition,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FGI for mentees and mentors, mentee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financial behavior, beliefs, attitudes, and 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increased financial knowledge. Meanwhile, mento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introspection into financial behavior and consump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is program effectively induces participants to learn and reflect on their initiative, which is in line with the original goal of "improving financial empowerment".

스캐폴딩과 e-Mentoring을 이용한 효율적인 u-Learning 교수학습 모형 설계 (An Efficient u-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a Scaffolding and an e-Mentoring)

  • 김상홍;주길홍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01-107
    • /
    • 2006
  •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의 교육환경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 시간 및 학습 순서를 선택하고 조직하는 유비쿼터스 학습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학습에서는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의 도움이나 조언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유비쿼터스 학습에 스케폴딩과 멘토링의 개념을 접목시키면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캐폴딩과 e-Mentoring을 활용한 u-Learning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u-Learning 환경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보았다.

  • PDF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On the design of a cyber mathematics mentoring system)

  • 조한혁;송민호;진만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13-3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멘토와 학습자 사이에 멘토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의 설계를 다룬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흥미, 참여와 학습 동기를 유도하는 다양한 장치들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러한 장치들을 사용하여 설계된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이 학습자와 멘토, 예비수학교사 및 현직교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논한다.

  • PDF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를 포함하여 수업전문성 개발이 요구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멘토링 체제의 효과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수업전문성 제고를 통한 교사의 책무성 제고가 요청되며, 여기서 현장 경험 속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멘토링이 주목되고 있다. 멘토링이란 개별 교사의 전문성과 경력발달과 연계하여 해당 교사가 전문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때로는 전문가-초보 관계로 운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전문성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멘토링 체제 도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과별로 멘토-멘티를 최소 3쌍 정도 구성하여 멘토링을 시범운영해 본 결과를 토대로 멘토링 체제 도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단원의 전 차시 수업에 대하여 멘토와 멘티가 수업동영상을 만들고 그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컨설팅에 초점을 둔 멘토링(video-based discussions)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참여교사의 개인적, 집단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다. 멘토와 멘티가 협력하여 수업에서 드러난 증거에 기반을 둔 공동탐구를 수행함으로써 반성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과학과 멘토링 체제 적용 결과를 멘토링의 필요성과 목적,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필요성, 역할 기대에 비추어본 멘토의 자격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멘토링 체제 운영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