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rocer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EC/SCM Scorecard version 1.0

  • 박동배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CALS/EC KOREA
    • /
    • pp.411-427
    • /
    • 2001
  • EC/SCM은 개별기업이 아닌 Grocery Supply Chain 전체의 효율제고를 위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공동으로 소비자의 만족과 비용절감 극대화를 모색하는 ECR관점의 Grocery 산업 접근 방법임.(중략)

  • PD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for the E-Grocery Sector

  • Rha Jong-Youn;Hooker Neal H.;Widdows Richard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1호
    • /
    • pp.41-59
    • /
    • 2005
  • In this paper, the e-grocery sector of the U.S. is used as an illustrative example of how to assess consumers' demands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demands coincide with effectiv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strategies suggested by academic researchers and provided by practitioners. Surveys evaluat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RM items were administered accordingly. The findings show that, overall, consumers' did not differ considerably to the experts.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es showed that academicians had a more closely in-lined view with consumers than did practitioners.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actitioners perceived loyalty programs to be more important than did consumers or academicians. This might suggest that loyalty programs are primarily serving as a way of data mining, and are thus failing to provide benefits to consumers. Overall, items related to technology deployment were perceived to be more important by practitioners than consumers or academicians.

한국의 e-Grocery 배송서비스 대안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for Enhancing Current Korean e-Grocery Business Focusing on Delivery Service Alternatives)

  • 구종순;이정선;전동화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3호
    • /
    • pp.169-201
    • /
    • 2011
  • 정보과학기술의 발달은 식료품산업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바로 기존의 전통적인 슈퍼마켓 형태의 배송체계에서 온라인 방식의 배송시스템을 접목한 것이다. 현재 한국의 전통적인 슈퍼마켓들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거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선진국에서 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온라인 식료품 산업의 개념과 운영(operation)모델을 설명하고, 전 세계 온라인 식료품 회사와 한국 대형 슈퍼마켓의 온라인 식료품 서비스 현황 분석을 통해, 한국 대형 슈퍼마켓의 성공적인 온라인 식료품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방법들과 기타 대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 대형 슈퍼마켓들은 현재 집 배송(home delivery)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선진국들에 비하면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배송 서비스의 대안으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저렴한 비용의 점포픽업서비스이다. 점포 픽업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가까운 대형마트에 원하는 상품을 주문하고 매장을 방문하여 주문한 상품을 인도받는 형태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 배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셉션박스라는 특수한 박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박스는 신선식품과 같은 신선도가 생명인 상품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박스의 온도 조절과 자물쇠처리를 통해 안전하게 고객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방법이다. 마지막 대안으로는 배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DC(distribution center)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러나 DC구축은 높은 투자자본이 요구되므로 구축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미국 온라인 식료품 기업인 Peapod이 기존 전통기업과 온라인 식료품 기업의 합병이나 파트너십을 통해 DC를 구축한 것처럼 한국 대형 슈퍼마켓들도 DC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 제시한 배송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규모 주문량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홍보를 통한 온라인 잠재고객의 유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온라인 식료품 배송 서비스에서 고객들이 기대하는 식품 위생과 안전성의 보장 그리고 편의성을 제공하여 충성스런 고객(loyal customers)을 계속 유지하는 것 또한 대형 슈퍼마켓들이 온라인 식료품 산업에서 성공을 위해 고려해야하는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 PDF

모바일 식품구매 서비스 고객여정의 경험만족도에 관한 실증연구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User Satisfaction of Mobile Grocery Shopping Customer Journey)

  • 이한진;권소연;민대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4호
    • /
    • pp.59-78
    • /
    • 2021
  • Mobile Grocery Shopping (MGS) has become the New Normal as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the way consumers shop. Drawing on the framework of Customer Journey Map (CJM), this study explores consumers' MGS by identifying specific stages of Customer Journey and comparing consumers' satisfaction between PC-based online and mobile shopping experiences at each stage throughout the journey. This study collected 562 responses from subjects who have mobile and PC-based grocery shopping experiences at the major domestic e-Commerce platforms. Independent t-test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between mobile and online shopping experiences exist in 5 main stages and 16 sub-stages of CJM. The results of servi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mentioned in the actual industry report were seen as empirical results leading to continued use of MGS as well as customer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research stream on Customer Journey by adopting the structure of CJM and analyzing specific stages of the journey in the context of MG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obile-based business practitioners are also discussed.

Bacteriological Survey for Food/Food Contacting Surfaces in Large Grocery Stores in Korea

  • Park Mi-Y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64-69
    • /
    • 2004
  • A bacteriological survey for 20 large grocery stores (M 1 to M20) in Korea was investigated for one year. The average detection rate of Esherichia coli was $22\%$ (166/763) for 7 kinds of ready-to-eat food through the year, where each grocery store and each type of food showed different detection rates. Eleven grocery stores showed lower detection rates, while 9 grocery stores showed a higher than average rate. Especially, M3 showed a rate that was twice as high as the average and one which was 7 times higher than M14, which had the lowest rate of $6\%$ E. coli detection. The detection rate for each type of food was: $38\%$ (41/109) for Kimbop, $31\%$ (34/109) for vegetable salad, $19\%$ (21/109) for bean-curd, $18\%$ (20/109) for the cooked materials used in making Kimbop, $17\%$ (19/109) for Hoe (sliced raw fish) and Sushi (Japanese vinegared rice delicacies), and $11\%$ (12/109) for cooked pork hock. During the summer, the E. coli detection rate averaged $43\%$ (71/166), which was twice as high as other seasons. Most (89/100) of the food contacting surfaces contained more than the critical limit $(1.3\;log_{10}\;CFU/10cm^2)$ of aerobic viable cell counts (AVC). The $log_{10}$ AVC and $log_{10}$ coliform count (CC) of 218 meat samples (beef, pork, and chicken) ranged between 4.6-7.1 CFU/g and 1.9-6.4 CFU/g, except for 41 meat samples $(19\%)$ which were found to contain no coliform. There was a definite correlation between the $log_{10}$ AVC and $log_{10}$ CC, and the values of $log_{10}$ CC made a more accurate straight than the $log_{10}$ AVC, which are variable.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 detection rating of less than 2.1 CFU/g of $log_{10}$ CC (correspond to 5.0 CFU/g of $log_{10}$ AVC) is the critical point of freshness, and a rating of more than 6.3 CFU/g of $log_{10}$ CC (correspond to 7.0 CFU/g of $log_{10}$ AVC) can be considered an initial spoilage point.

미국의 온라인 식료품 쇼핑에 관한 소고 (Online Grocery Shopping: Is there a Phoenix?)

  • 박명섭;박인섭
    • 수산경영론집
    • /
    • 제37권1호
    • /
    • pp.111-120
    • /
    • 2006
  • 식품관련 시장조사 기관인 Food marketing Instittue에 따르면, 미국전체의 식료품체인 가운데 25%가 최소한 온라인 쇼핑을 운영하고 있다. Safeway, Albertsons 등 대형 수퍼마켓 체인들이 연이어 온라인 시장에 참가했고, Melon Seed, FreshDirect.com 등 신규업체도 참가했다. 2002년 5월 Safeway.cm을 설립한 Safeway는 동년 7월에 8번째 점포를 시애틀에 오픈하는 등, 온라인 비즈니스를 확대했다. 최근 할인매장, 드러그 스토어 둥에 일부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는 이들 전통적인 수퍼마켓 체인들은 고객의 이탈을 막기 위해 비록 소수이기는 하지만 고객의 온라인 수요에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고의 목적은 미국의 식료품 온라인 쇼핑에서 발생하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Webvan이 Dot Com의 실패를 예증하는데 사용되는 주요한 전자상거래 비즈니스이다. 오늘날 온라인 쇼핑 비즈니스의 도전을 보여주고 이익을 낳기 위해 취해야 할 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온라인 쇼핑 밴더가 참조되고 있다. 또한 본고는 미국의 Vons.com, Peapod.com 그리고 Safeway.com과 같은 온라인 식료품 쇼핑 비즈니스에서 나타나고 있는 추세, 신규 영업자 및 잔존 영업자들의 특성과 온라인 식료품 쇼핑업자들의 성장에 필요한 요인들에 관해서도 논하였다.

  • PDF

온라인 식료품 소비자의 그림자노동인식이 모바일 쇼핑회피와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Grocery Consumers' Shadow Work on Mobile Shopping Avoidance and Switching Behavior)

  • 박상철;김종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165-182
    • /
    • 2021
  • 코로나19는 소비자의 소비패턴을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시켰다. 소비패턴이 디지털화되면서 소비자는 자신이 스스로 해야 하는 일들이 수반되는 이른바 그림자노동을 수행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온라인 식료품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소비자가 그림자노동을 인식한다면, 이는 온라인 쇼핑 회피는 물론 다른 채널로의 전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그림자노동인식이 모바일 쇼핑회피와 채널전환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식료품 구독 서비스 경험이 있는 소비자 2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PLS 분석을 통해 그림자노동인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의 그림자노동인식은 모바일 쇼핑회피는 물론 채널전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쇼핑회피 또한 채널 전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자노동 관련 연구와 모바일 쇼핑 서비스관련 연구분야에 학문적 기여가 가능하며, 플랫폼 및 큐레이션 기업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고객 쇼핑 동선 분석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Shopping Path Analysis System(SPAS))

  • 정인철;권영식;이용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56
    • /
    • 2012
  • 최근의 RFID와 모바일 기술을 포함한 정보 기술의 진보로 인해 매장 내에서 고객 쇼핑 동선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고객 쇼핑 동선은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고객 쇼핑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 동선 분석을 위하여 동선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고객 쇼핑 동선 분석 시스템을 개발한다. 시스템 개발을 위해 RFID를 사용하였고, 대형 유통 매장의 현업 전문가와 함께 다양한 매장 측정 변수를 정의하여 혼잡도, 방문비율등과 같은 매장 프로파일 분석과 고객 쇼핑 패턴 식별을 위해 동선 클러스터링 분석 기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개발한 시스템의 실효성을 평가해보기 위하여 실제 서울의 대형 유통 매장에 적용하여 사례분석까지 실시해보았다.

코로나19와 한국 식품 소비 변화의 관계: 2019-2022년 통계청 소비자 가계동향조사를 활용하여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 and changes in food consumption in Korea: analyzing the microdata of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from Statistics Korea 2019-2022)

  • 엄하람;김경희;조성환;문정훈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153-169
    • /
    • 2024
  • 코로나19 팬데믹 발생과 엔데믹은 사람들의 식품 소비 패턴에 큰 변화를 유발한 사건으로 여겨진다.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코로나19가 종식된 시점까지 국내 소비자들의 식생활이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지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코로나19 기간을 구분하고 기간에 따른 국내 소비자들의 식품 지출액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식품 소비 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기간을 세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의 월별 식료품 지출액 자료를 2019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활용하였다. 코로나19 기간이 구분되는 두 지점은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과 유행 규모가 둔화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완화된 2022년 3월로 설정하였다. 즉, 2019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는 PRE-코로나19 (T1), 2020년 2월부터 2022년 2월까지는 INTER-코로나1 9(T2), 2022년 3월부터 2022년 9월까지는 POST-코로나19 (T3)이다. 식품 카테고리는 신선곡물과 가공곡물, 신선채소와 가공채소, 신선과일과 가공과일, 신선수산과 가공수산, 신선축산과 가공축산 지출액을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육류 단백질 급원식품 (붉은 육류, 흰살 육류, 햄/소시지/베이컨), 수산 단백질 급원식품 (생선류, 연체류, 갑각류/조개류, 해조류, 어묵/맛살, 수산물통조림), 식물성 단백질 급원식품 (두류, 두부, 두유) 지출액을 분석하였다. 각 식품 카테고리 및 급원식품의 T1 대비 T2의 지출액 변화와 T2 대비 T3의 지출액 변화를 다중회귀분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가정 내 식료품 지출액 변화는 T1 대비 T2에 증가하였으며, T2 대비 T3에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T1에서 T2로 시간이 흐르며 내식이 확대되며 식료품 지출액이 증가할 때, 신선과일과 수산 단백질 (갑각류/조개류) 지출액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T2에서 T3로 시간이 흐르며 내식이 축소되며 식료품 지출액이 감소할 때, 가공육류와 수산 및 육류 단백질 급원식품 (즉, 햄/소시지/베이컨, 어묵/맛살, 수산물통조림) 지출액만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T1, T2, T3 시간에 따라 식료품 지출액이 변화할 때 식물성 단백질 급원식품인 두유의 지출액은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코로나19라는 전례 없었던 사건이 확산되고 종식되는 시간에 따라 국내 소비자들의 식료품 지출액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Prevalence of Antibiotic Residue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Isolates of Chicken Meat in Korea

  • Lee, Hyo-Ju;Cho, Seung-Hak;Shin, Dasom;Kang, Hui-Se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055-1063
    • /
    • 2018
  •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17 antibiotic residues and 6 antibiotic resistanc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s in chicken meats. A total of 58 chicken meats were collected from retail grocery stores in five provinces in Korea. The total detection rate of antibiotic residues was 45% (26 out of 58). Ten out of 17 antibiotics were detected in chicken meats. None of the antibiotics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evel (MRLs) in chicke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he most detected antibiotics were amoxicillin (15.5%), followed by enrofloxacin (12.1%) and sulfamethoxazole (10.3%). In a total of 58 chicken meats, 51 E. coli strains were isolated. E. coli isolates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ampicillin (75%), followed by tetracycline (69%), ciprofloxacin (65%),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41%), ceftiofur (22%), and amoxicillin/clavulanic acid (12%). The results of study showed basic information on relationship between antibiotic residue and resistance for 6 compounds in 13 chicken samples.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various bacteria species is needed to improve food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