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smenorrhea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3초

일개 한방병원에 내원한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의 특성 및 치료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atients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 박승혁;이진무;이창훈;장준복;황덕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7-4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characteristics and prescriptions of out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We searched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7 and found out 31 patients who first visited with PCOS. Results: The average age of PCOS patients was $26.48{\pm}5.15years$ old, average height was $162.16{\pm}5.56cm$, average weight was $55.27{\pm}9.34kg$, and average BMI was $21.01{\pm}3.48kg/m^2$ A total of 24 patients who had received western treatment for PCOS in the past, 13 people received oral contraceptions, 4 hormones, 2 metformin, one hormone and metformin, also 4 people were treated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due to infertility. There were only two patients who combined Korean and Western treatments. The most common menstrual-related symptoms of PCOS patients were oligomenorrhea (48.4%) and dysmenorrhea (22.6%). Other symptoms were the highest in the cold symptoms (54.8%), followed by infertility (9.7%).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was $6.26{\pm}7.2$, with 22 (71.0%) coming from 1 to 5. The average treatment period for patients was $10.1{\pm}10.8weeks$, with 41.9% the largest for 1 to 4 weeks. Acupuncture (93.5%), moxibustion (96.8%) herbmed (96.8%) was treated to most PCOS patients.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s were Ongyeong-tang (35.5%), Ijin-tang-gami (19.4%), Dodam-tang-gami (12.9%), and Jogyeongjongok-tang-gami (12.9%). Conclusions: These results could be helpful to treat PCOS patients in Korean gynecologic clinical fields.

한방 치료로 고안드로겐혈증을 개선한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연속증례연구 (A Case Serie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with Improved Hyperandrogenism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 신혜규;배지용;지영근;안해인;윤영흠;김남권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5-191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cal record of eight case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in a local Korean medicine clinic, in order to provide evidence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PCO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eight cases diagnosed with PCOS based on 2003 Rotterdam Criteria and whose total testosterone level was 0.53 ng/ml and over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rimary outcome was total testosterone level, and th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luteinizing hormone (LH)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levels, LH/FSH ratio, weight, last mentrual period (LMP), numerical rating scale (NRS) score of dysmenorrhea, and other associated symptoms pre- and post-treatment. Korean medicine treatment consists of the complex herbal prescription consisting of Yukmijihwang-tang, Baekho-tang, Daesiho-tang, and Gyejibokryeong-hwan, modified according to symptoms;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on 中脘 (CV12), 下脘 (CV10), 關元 (CV4), 石門 (CV5), 合谷 (LI4), 太衝 (LR3), 三陰交 (SP6), and 懸鍾 (GB39); and indirect moxibustion on 神闕 (CV8). Results: The average total testosterone level low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The average FSH and LH levels lowered with insignificance, while the average LH/FSH ratio and weight low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period of three to six months, every patient had the menstrual cycle shortened except for one case; and two cases with infertility problem succeeded in being pregnant. There was no adverse event. Conclusions: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found effective in treating PCOS, especially regarding hyperandrogenism,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and infertility.

자궁내막증 여성에서 증가된 자궁내막용종의 빈도; 질환의 중증도와의 관련성 (Increased Incidence of Endometrial Polyp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the Association with Severity)

  • 장혜진;황경주;김미란;안상태;변재광;이은희;박진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3호
    • /
    • pp.199-205
    • /
    • 2006
  • 목 적: 자궁내막증에서 발견되는 자궁내막용종의 발생빈도와 자궁내막증 질환의 중증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불임, 심한 월경통, 난소종양 등을 주소로 복강경 수술이 필요했던 여성 6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강경 수술로 확인된 자궁내막증을 가진 434명과 자궁내막증이 없었던 197명의 여성에서 자궁내시경을 이용한 조직학적인 검사를 통해 자궁내막용종의 발생 빈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자궁내막증 질환의 중증도는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에 따라 나누었고, 그에 따른 자궁내막용종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자궁내막증을 가진 군 (434명)과 정상 대조군 (197명) 간에 나이, 불임기간, 호르몬 수치 등의 임상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자궁내막용종은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에서는 274명 (63%)에서 관찰되었고,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는 58명 (29.8%)에서 관찰되었다(p=0.001). 자궁내막증 1기와 2기에서는 자궁내막용종이 동반된 경우가 각각 54.2%와 64.4% 이었으나, 자궁내막증 3기와 4기에서는 67.6%와 7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상 대조군에 비해 자궁내막용종의 동반 확률이 높았고, 자궁내막증 중증도에 따라 자궁내막용종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8). 결 론: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에서 자궁내막용종을 동반할 확률이 정상인에 비해 높았고, 중증 자궁내막증일수록 동반되는 자궁내막용종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Changes and Degree of Stress Perception)

  • 김회경;조숙행;신동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61-71
    • /
    • 199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 PDF

자궁근종 치료를 위한 질경유 초음파 유도하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의 장기간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Long Term Effect of Transvaginal Ultrasound Guided Radiofrequency Myolysis for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

  • 이우석;이일한;김동호;이상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1호
    • /
    • pp.77-82
    • /
    • 2008
  • 목 적: 질경유 초음파 유도하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의 임상적인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7년 3월사이에 질경유 초음파 유도하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을 시행받은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42.8{\pm}5.8$세였고 모두 자궁을 보존하기 원하였다. 시술 전에 이학적 검사와 초음파를 이용한 병변의 크기 측정이 이루어졌다. 추적검사는 시술 후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후 시행되었으며 동일 의사에 의해 크기 및 부피변화를 측정하였고, 방문 때마다 생리과다, 생리통 등의 근종 특이증상의 호전 유무를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근종의 평균 최대직경은 $6.1{\pm}0.5\;cm$ 이었고, 고주파용해술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16.3{\pm}8.5$분이었다. 유의 할만한 크기와 부피의 감소는 시술 1개월 이후부터 발생하였으며 근종의 평균 최대직경은 시술 후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에 각각 $29.9{\pm}4.8%$ (p<0.001), $41.5{\pm}1.5%$ (p=0.05), $46.2{\pm}3.9%$ (p=0.003), $54.6{\pm}6.1%$ (p<0.001)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평균 부피는 각각 $44.4{\pm}8.3%$ (p=0.001), $68.1{\pm}4.2%$ (p=0.035), $73.9{\pm}4.8%$ (p=0.042), $84.5{\pm}5.1%$ (p<0.001)의 부피 감소를 보였다. 일시적인 하복통과 출혈의 지속이 각각 3명씩 있었으나 모두 교정되었고 위중한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생리통과 생리과다 등의 증상은 시술 3개월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질경유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은 자궁을 보존하면서 좋은 효과와 조기 회복이 가능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법이다.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및 관련요인 (Frequenc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of Premenstrual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 장형주;정현강;고영훈;한창수;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1호
    • /
    • pp.44-54
    • /
    • 2013
  • 연구목적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월경 관련 요인이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방 법 서울시내에 위치한 5개 여자고등학교 학생 1,688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증상, 우울, 불안 척도 및 사회인구학적, 월경 관련 문항이 포함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Premenstrual Symptom Screening Tool(PSST)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3군으로 분류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결 과 Moderate to Severe PMS와 PMDD의 빈도는 각각 20.1%와 6.4%였다. 월경전 증상 중 과민성(78.8%), 피로감(76.4%), 감정기복(69.8%)의 빈도가 높았으며, 학업 수행(67.1%)영역에서 기능의 장애가 두드러졌다. 우울, 불안 수준을 보정한 분석에서 생리통[odd ratio(OR)=3.68, 95% confidence interval(CI) 2.45-5.55], 월경전 증후군의 가족력(OR=1.91, 95% CI 1.35-2.71) 및 경구 피임약 복용 경험(OR=1.85, 95% CI 1.16-2.94)이 있을 경우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비교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우울, 불안 증상이 없는 대상군에서는 월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OR=15.60, 95% CI 3.61-67.42)가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여고생에서 월경전 불쾌장애를 포함한 중등도 이상의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가 25%가 넘을 정도로 상당히 높고 이로 인한 기능의 장애 역시 심하였다. 월경전 증후군은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월경 관련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는 우울, 불안 증상의 공존이환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 PDF

Study on the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an Oral Contraceptive Among Iud Drop-outs in Rural Korea

  • Yang, J.M.;Bang, S.;Song, S.W.;Youn, B.B.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권1호
    • /
    • pp.51-66
    • /
    • 1968
  • During a period of about one year(November '66 to December '67), th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nducted a field trial of the oral contraceptive(Ovulen) in order to study its acceptability and use-effectiveness among IUD drop-outs in Koyang county. We can summarize the outstanding findings from this investigation as follows; 1. 61.4% of the IUD drop-outs interviewed (911 women) wanted to use the pill. Most of the reasons for not wanting to use it(352 women) pertained to either use of other contraceptive methods(98) or subfecundity(150) following IUD terminations. Only 83 out of 911 women gave reasons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obtaining pills. Therefore, we can state that most IUD drop-outs if still in need of a contraceptive methods are in favor of trying the pill, and especially so if this method is conveniently available. 2. The 467 women or 37% of those who terminated IUD use actually visited the clinic for medical screening, and only 11 of them or 2.4% were rejected because of pregnancy and other medical reasons such as cervical erosion, myoma, breast mass, etc. 5.5% or 25 of the 456 women who received the first cycle did not take a single pill during the study period. 3. When we defined those 431 women who accepted and took one or more tablets we found that women over age 30, with 4 or more children, and/or with a higher educational level were the best prospects for recruitment. 4. In accuracy of use, about two thirds of the users started taking the pill on the 5 th day as directed for the first three cycles, but the percentages rose sharply to about 80% in later cycles. Tardiness in starting pill use in the first cycle may have occurred partly because they had to return to the clinic monthly to get each new cycle. Among acceptors who did not quit between cycles, 80 to 90% were regular users, missing two or less tablets in each cycle. 5) More than 60% of the users felt well and sometimes lost their pre-acceptance symptoms. especially dysmenorrhea. However, 27.4% (58 women) had side effects attributable to the pill compund as nausea, vomiting, indigestion, breast tenderness, decreased lactation or breakthrough bleeding. 25.0% (53 women) also complained of medical diseases or symptoms not related to the pill, especially during the first three cycles. However, as the confidence and experience of the client and the field workers grew, the incidence of unrelated medical complaints quickly fell to a lower level in the later cycles. 6. As of the end of this study, on December 31, 1967, 49.2% (212 women) had discontinued the use of the pill for medical reasons as well as for the non medical reasons. Only one case terminated use due to a pregnancy after taking pills. The cumulative continuation rates (by the life table method), were 58.9%, 51.9%, 41.0% at the end of 3 months, 6 months and one year, respectively. These rates are lower than in the U.S. studies. Even when we add the retaking group to the first segment, the continuation rate goes up only about 5% above the first segment rates mentioned above. Possible explanations are different dosages, the newerness of the method and the use of only one point for pill distribution in the country together with a monthly return for cycle 1, 2, 3, and 4-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