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st Inlet Posi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세라믹 캔들 필터 주위의 분진 속도분포 측정 (Measurements of Dust Velocity Field around the Ceramic Candle Filter)

  • 고용서;정진도;김승태
    • 청정기술
    • /
    • 제5권1호
    • /
    • pp.30-41
    • /
    • 1999
  • 본 연구는 독일 Schumacher사의 1m 크기의 세라믹 캔들 필터가 1개 설치된 실험장치를 구성하여 집진시 단일 필터 주위에서의 분진 속도분포를 PDP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분진층의 유무와 분진 투입 위치에 따른 분진 속도분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측정 결과 집진이 계속되어 필터 표면에 분진층이 발달함에 따라 집진 속도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투입구가 위치하는 필터표면에서 집중적으로 분진층이 발달하여 이곳에서의 분진 속도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필터 내부와 압력용기부사이의 압력 차에 의한 필터 표면에서의 분진 속도 평균값은 0.28m/sec 이었다. 또한 분진 투입을 압력용기부 하단에 위치한 투입구로 투입하였을 때 필터 주위의 분진의 고른 속도분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ICIENCY OF A LOCAL VENTILATION SYSTEM AND THE PROTECTING FACE MASKS IN DENTAL LABORATORIES

  • Kim, Uoong-Chul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5-102
    • /
    • 198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tudy the efficiency of a local ventilation system, installed in dental laboratories, and of two types of protecting face masks. The dust originating from the workpiece as well as from the wheels and stones was collected on air filters in the cutting cycle during coarse and fine grinding, and in the subsequent polishing procedures of each specific dental material.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system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weight reduction of dust in the breathing air at a distance about 20-40 cm from workpie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se of the local ventilation system reduced the amounts of respirable dust to an average level of 21.4%, although the efficiency of the local ventilation system varied depending upon materials used. 2. Mounting a nozzle on the tube improved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system considerably. The efficiency of the local ventilation system also increased as the workpiece was closing to the tube inlet. 3. With or without the local ventilation system,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and sampler greatly affected the dust level. 4. The face masks covering the sampler improved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system considerably.

  • PDF

산업용 분진 제거를 위한 배기장치 내 후드의 흡입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Inhalation Efficiency of Hood in Ventilation System for Elimination of Industrial Dust)

  • 양호동;오율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
    • /
    • 200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on improvement of inhalation efficiency of hood in ventilation system for elimination of industrial dust. The hood, one of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has an important function to inhale a pollution source such as harmful dust and industrial waste.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inhalation efficiency of the industrial hood, a new device named "gas-guide-device" was attached to inside of hood. The thermal fluid commercial code "Phoenics ver 3.1" was used to analyze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at the hood inlet and around the hood after gas-guide-device was installed. And the flow velocity on each position inside and around the hood was actually measured using the hot wire type anemometer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at of numerical analysis. Also,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um shape of gas-guide-device,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ir result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ood attached with gas-guide-device was higher the inhalation efficiency than that for without one and can be possible to improve the capture velocity of the industrial dust. And the optimum shape of gas-guide-device was identified that the ratio of two sizes of gas-guide-device, X to Y, has 4 to 6 on the basis of the hood size in use and the width (b) of gas-guide-device.

클린룸 내 다관절 로봇 주위의 유동해석 (Flow Analysis around the Multi-beam Robot in a Clean Room)

  • 이석영
    • 에너지공학
    • /
    • 제24권3호
    • /
    • pp.122-1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클린룸에서의 3차원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로봇실험 장치에서 로봇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장에 대한 수치적인 분석을 본 연구에서는 다루고 있으며, 클린룸에서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분진이 쌓이는 영역을 찾기 위해서 진행된다. 다관절 로봇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되는 바닥 표면의 분진은 유동장 분석에 의해 예측될 수 있으며, 해석결과는 커다란 스월유동이 움직이는 로봇 주위에서 생성된다고 분석된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유동 조건은 공기의 입구와 출구부의 위치를 다시 정하여 유동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검토해야 한다.

배기가스 재순환 버너에서 연소가스 출구 위치에 따른 연소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Flow Characteristics of a Exhaust Gas Recirculation Burner with the Change of Outlet Opening Position)

  • 하지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8-13
    • /
    • 2018
  • 질소산화물은 최근에 초미세먼지 발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서 대기환경 개선 측면에서 사회적으로도 크게 관심이 되고 있다. 질소산화물은 주로 화력발전 등의 연소기기에서 고온의 연소가스 분위기에서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발생한다. 이에 대한 저감 방법으로 원통형 버너에 코안다 노즐을 이용한 배관으로 배기가스를 재순환하는 연소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안다 노즐을 사용하여 배기가스를 재순환하는 원통형 버너의 연소가스 출구의 위치를 오른쪽으로 하는 버너(Case 1 버너), 양쪽을 출구로 하는 버너(Case 2 버너), 왼쪽을 출구로 하는 버너(Case 3 버너) 형상에 대하여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소 유동의 압력, 유선, 온도, 연소 반응 속도와 질소산화물의 분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소반응은 Case 1과 Case 2버너는 연소가스 재순환 유입구가 있는 오른쪽 방향으로 일어나고 Case 3 버너는 혼합가스 유입구 부근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출구에서의 온도는 Case 2버너가 양쪽으로 배출되면서 다른 버너 보다 약 $100^{\circ}C$ 정도 온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출구에서의 NOx 농도는 Case 1버너가 다른 형상 버너 보다 약 20배 크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NOx 저감을 위해서는 배기가스 재순환 버너의 출구는 양쪽으로 배출되게 하거나 연소가스 재순환 유입구 반대 방향으로 배출 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