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al Mediating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5초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이 팀학습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eader's Self-Deception Behavior on Team Learning: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Silent Climate)

  • 서강석;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78-489
    • /
    • 2021
  • 본 연구는 팀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이 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의 이중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일반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과 Process Macro v.3.3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팀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은 팀원들의 심리적 안전감과 부적 상관, 침묵풍토와 정적 상관, 팀 학습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이 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가 각각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가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의 팀 성과 향상을 위해서 팀 리더의 진정성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실무적인 의의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이 결론 및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주류광고, 주류 판촉 마케팅이 성인 음주폐해에 미치는 영향: 음주동기와 음주수준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Alcohol Advertising and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on Alcohol-related Harms in Adult : Dual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Level)

  • 박가영;이희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59-570
    • /
    • 2021
  • 음주를 유발하는 사회환경요인 중 하나인 주류광고와 마케팅 규모는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음주폐해 또한 그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주류광고, 주류 판촉마케팅 노출 경험이 음주동기, 음주수준을 매개로 음주폐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 노출 경험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았으며, 음주동기, 음주수준, 음주폐해 또한 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 노출 경험은 음주폐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경험이 많을수록 음주폐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동기와 음주수준은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의 노출 경험이 음주폐해에 끼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주폐해예방을 위해 음주 폐해를 발생시키는 사회 환경인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음주폐해예방을 위해 개인의 인식 개선 접근과 함께 환경적·제도적 차원에서의 개입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제언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감사의 매개효과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ratitude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Insomnia)

  • 김경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609-628
    • /
    • 2021
  • 본 연구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감사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도와 전라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서 대학생 330명에게 지각된 스트레스, 불면증, 자기자비, 감사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SPSS Macro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불면증이 높았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면증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및 감사가 각각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자기자비와 감사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불면증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불면증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더불어 자기자비와 감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공동양육의 질,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적용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ual-Earner Parents' Work-Family Conflict, Coparenting Quality,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School Adjustment: An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임양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07-520
    • /
    • 2022
  •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parents' work-family conflict on their and partners' co-parenting quality,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s of co-parenting qualit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linking parents' work-family conflict to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sed data from 387 dual-earner parents and thei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parents' work-family conflict on co-parenting quality were significant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Second, the effect of the fathers' work-family conflict on their co-parenting qualit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at of the mothers' work-family conflict on the fathers' co-parenting quality. Third,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respectively, exerte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serial mediation by the mothers' co-parenting qualit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hereas the direct effects of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not suppor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co-parenting qualit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to facilitat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parent education of dual-earner families with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at continuous policy efforts for dual-earner parents' work-family balance are needed.

성인애착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자아분화와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the Fear of Intima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459-470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in solving the fear of intima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adults. This study targeted people in the 20s to 50s age group, and data from 1,263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cure attachme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fear of intimacy,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was positive. On the other hand,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ear of intimacy, but a negativ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with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Second, it became evident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the fear of intimacy. Additionall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had a du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o solve the fear of intima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adults.

The Antecedents Of Brand Love Toward Natural Products: An Approach of S.O.R Theory

  • NGUYEN, Le Thai Hoa;NGUYEN, Hoang Anh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2권2호
    • /
    • pp.13-28
    • /
    • 2022
  • Purpose: Natural products are becoming gradually popular because of their health - related benefits and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However, research in this field remains limited,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by measuring the influencing levels of the antecedents on natural product brand lov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employs S-O-R (Stimulus - Organism - Response) framework together with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and Dual-Factor Theory to propose the research model, in which health and environmental stimuli influence both of facilitators and inhibitors of internal states or organism, and then shape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love as consumers' responses. The mixed research method is designed with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analyze 530 consumers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wo chosen stimuli, including health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cern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facilitators (natural content and regional products) and inhibitors (image barrier and usage barrier) and these four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love. Furthermore, purchase intention played the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organisms and brand love. Conclusions: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is extend S-O-R theory into natural product context with mediating effects in an emerging economy. The findings make theoretical contribution on consumer behavior and managerial implication.

장애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여가활동참여의 이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IADL to Life Satisfaction and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Leisure Activities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최장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582-592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인과적 경로를 확인함으로 일상생활 가운데 구체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응답한 만9세-만24세의 장애청소년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 여가활동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참여의 인과적인 경로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가운데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의 순차적인 경로의 확인을 통한 실천적인 개입을 초점을 확인 할 수 있다.

향상초점과 예방초점 잡크래프팅(Job Crafting)의 차별적 효과: 이직의도에 대한 업무통합성과 직무긴장감의 이중매개효과와 상사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tial Effect of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Job Crafting on Turnover Inten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Work-related Sense of Coherence and Job strai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 김영국;김명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28-7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순기능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잡크래프팅(job crafting)을 역기능 측면도 함께 탐색하기 위해 잡크래프팅을 향상초점(promotion focus)과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나누어 두 초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 잡크래프팅과 예방초점 잡크래프팅이 업무 통합성과 직무 긴장을 매개하여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순차적 이중매개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예방초점 잡크래프팅의 역기능을 줄일 수 있는 변인으로 상사지지에 대한 조절효과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의 현직자 29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향상초점 잡크래프팅은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친 반면, 예방초점 잡크래프팅은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향상초점 잡크래프팅과 예방초점 잡크래프팅 모두 업무통합성과 직무 긴장을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순차적 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상사지지는 예방초점 잡크래프팅이 업무통합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고 두 변인의 관계를 정적으로 변화시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Use of Immersive Virtual Technology in Consumer Retailing and Its Effects to Consumer

  • LEE, Won-J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15
    • /
    • 2020
  • Purpose : Today's retailers are integrating new VR technology into their new marketing strategies. Thus,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role of virtual experiences in the circumstance of sales channe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model hypothesizes that five key factors determine the consumer experience of VR in the virtual retailing context: smartness, vividness, interactivity, playfulness, escape. Information access and flow are mediating variables that connect key drivers and VR satisfaction. Information access and flow then give influence to satisfaction towards VR. Satisfaction serves as a mediator that determines changes in consumer's dual intention: intention to revisit VR and intention to visit the real site. Results :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every path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ccess and satisfaction of VR is accepted as expec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Conclusions :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potential importance of VR and continue VR marketing research as an advent research area. Through the dual-path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primary function of VR is information access and flow experience. This result shows that most VR users value emotional benefits rather than rational benefits provided by VR. Finally, the satisfaction of VR can stimulate both the intention to use the VR and the intention to visit real mall.

도박이용자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반 동기와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the Gambl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Gambling Behavior: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 김서희;신성만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585-607
    • /
    • 2021
  •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고 도박행동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일반 동기 수준과 대인존재감을 통해 도박행동 심각도와 저수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3개월간 1회 이상 도박에 참여한 성인 402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도박행동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 동기수준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일반 동기 수준을 매개로 하여 대인존재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경로를 통한 대인존재감은 도박행동 심각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저수준 도박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일반 동기 수준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박이용자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동기와 대인존재감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