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al Energy

검색결과 1,051건 처리시간 0.031초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 문준성;원규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19-30
    • /
    • 2008
  •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의 질로 구성되는 골의 강도가 손상됨으로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골격질환이며, 최근 유병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상적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인 단순 방사선 검사, 골 스캔, CT, MRI 등이 골밀도 및 골절의 진단에 유용하다. 골밀도의 정량적 검사로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이 사용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WHO 기준에 따라 T-score가 -2.5 이하일 경우 진단할 수 있다. 그 외에 생화학적 골표지자들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흡수억제제와 골형성자극제(formation stimulator)로 나눌 수 있는데 골흡수억제제로는 칼슘, 에스트로겐,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비타민 D 등이 있으며 골량을 증가시키는 골형성자극제로는 현재 부갑상선 호르몬이 유일하며 최근 strontium ranelate가 추가되었다. 일일 1200 mg의 칼슘과 800 IU 의 비타민 D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며,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효과가 입증되었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통증에는 칼시토닌이 효과가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및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에 사용되는 SERM은 골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골절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골형성자극제인 부갑상선 호르몬이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strontium은 최근에 개발된 약제로 3상 연구에서 골절 위험율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미역취뿌리 추출물이 성장기 흰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Miq. Root Extract on Bone Metabolism in Growth Period Rats)

  • 이지원;박정현;이효주;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6-2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주령의 암컷 흰쥐를 이용하여 미역취뿌리 추출물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미역취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10, 50, 100 mg/kg/day의 농도로 음용수에 희석하여 9주간 사육시켰다. 매주 체중과 사료효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체중의 변화나 사료효율에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미역취 뿌리 추출물에 대한 기본적 독성은 없고,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3주 간격으로 소변으로 배출되는 Ca과 P의함량을 ICP로 분석 한 결과, 10 mg/kg/day농도로 음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혈액으로 유리되는 Ca과 P의 함량 또한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섭취 후 9주째에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하여 척추, 대퇴골, 골반의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을 추출물을 음용한 군의 척추 골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글 무기질 함량 또한 대퇴골과 골반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역취뿌리 메탄을 추출물의 음용이 암컷 흰쥐에서 골밀도 및 골함량에 유의하게 작용하고 또한 골대사 과정에서 유리되는 Ca와 P의 대사과정에 작용하여 유리되는 Ca과 P의 양을 감소시켜 이상의 결과로 미뤄볼 때, 적절한 미역취뿌리 추출물의 투여는 흰쥐의 성장에 대해 부작용이나 독성없이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을 높였으며 앞으로 조골세포 기능 저하로 인한 골대사 질환에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대학생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 강태훈;이무식;배석환;김용권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429-434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한국 대학생들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법(DEXA)을 이용하여 총 121명의 대학생들의 요추와 대퇴골두의 골밀도(BMD)를 측정하였고, 생활습관에 관련된 설문은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2014년 9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골밀도는 빈도분석을 통해 분포를 파악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식이습관, 운동습관,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T-Score)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퇴골과 요추의 골밀도는 평균 $0.993{\pm}0.14g/cm^2$이었고, 골다공증은 없었으며, 골감소증은 30명(24.8%), 정상은 91명(75.2%)이었다.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여대생이, 주 150시간 이상 걷기를 시행한 군이, 청소년기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 경험이 있는 군이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일 기준 전자기기를 6시간 이상 사용한 군이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신체적인 특성과 식이 운동 생활습관, 특히 청소년기의 운동습관은 골건강과 관련성이 있다. 추후 청소년과 대학생에 대한 식이 운동 생활습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폐경 여성의 근감소증 및 근감소성비만과 심혈관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 자료를 활용하여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Results for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성;손정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8-38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analyzed data of 2,019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2011 and were free of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 Blood pressure,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We analyzed the serum concentrations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to measure obesity.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w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arcopenia was defined as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body weight<1 standard deviation below the gender-specific means for healthy young adults. The estimated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as calculated by Pooled Cohort Equation.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n-sarcopenia, sarcopenia, or sarcopenic obesity based on status of waist circumference an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was 16.3% (n=317) and 18.3% (n=369), respectively.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was higher ($3.82{\pm}0.22%$) than the normal group ($2.73{\pm}0.09%$) and sarcopenia group ($3.17{\pm}0.22%$) (p < 0.000). The odd ratios (ORs) for the ${\geq}7.5%$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OR 3.609, 95% CI: 2.030-6.417) compared to the sarcopenia group (OR 2.799, 95% CI: 1.463-5.352) (p for trend < 0.000) after adjust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i.e., exercise, period of menopausal,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score, income, education level, calorie intake, %fat intake and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Conclusions: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factors predicting the 10-year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These findings imply that maintaining normal weight and muscle mass may be importa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evention in postmenopausal women.

장년기 여성의 영양섭취상태, 건강상태와 골밀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lation of Nutrients Intake, Health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 김현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4호
    • /
    • pp.307-315
    • /
    • 200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nutrients intake, health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Daily nutrients intake were analyzed by convenient method. The BMD of subjects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BMD was measured at the spine(vertebrae L2-L4) and femur(neck, Ward's triangle and trochanter). The nutrients intake of subjects were higher th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RDA) except for calorie, iron, calcium, vitamin B1. Nutrients intake of vitamin A(p<0.05), iron(p<0.01), vitamin $B_2$(p<0.05), niacin(p<0.05), and vitamin C(p<0.05) between $\leq$49 yr group and $\geq$50 yr group. Mean daily intake of calcium was much less than the Korean RDA, 78.5% in $\leq$49 yr group and 77.3% in $\geq$50 yr group. 35.8% of the subjects under 50 years of age($\leq$49 yr group) and 77.4% of the subjects from 50 years up($\geq$50 yr group) were classified as osteopenia or osteoporosis. BMD of L2-L4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ight(p<0.05), weight(p<0.05) and BMI(p<0.05). BMD of femoral nec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p<0.05), BMD of Ward's triang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p<0.001). But BMD of L2-L4 and femoral neck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p<0.05), menarche(p<0.05). BMD of Ward's triang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p<0.001). The BMD of L2-L4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imal protein(p<0.05), calcium(p<0.05) and iron(p<0.05). The BMD of femoral nec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imal protein(p<0.05). The BMD of Ward's triang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imal protein(p<0.001) and iron(p<0.001).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t should be difficult to prevent middle-aged women's bone destruction through nutrients intake.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prove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BMD, exercise, and calcium intake. Therefore, middle-aged women will need proper exercise as well as Ca supplementation in order to prevent osteoporosis with aging.

  • PDF

이중에너지 X-ray 흡수법을 적용한 근위 대퇴골 및 요추부 골밀도 검사의 상관관계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of BMD in Proximal Femur and Spine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한만석;조동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65-16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외래환자의 골밀도 검사를 통해 대퇴골 및 요추부에서 정확한 검사를 얻을 수 없을 경우 두 부위간의 골밀도 검사 수치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검사 결과를 유추하는 데 목적이 있다. C대학교 부속병원을 내원한 환자 62명을 그룹1(40세 미만, 21명), 그룹2(40세 이상~60세 미만, 21명), 그룹3(60세 이상, 20명)으로 세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평균값과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두 부위의 검사 수치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T-score가 낮아지고 있고 60세이상 고령자의 경우 골 감소증이 발생하였다. 둘째, 세 그룹으로 비교를 통해 골밀도 검사에서 대퇴골과 요추부 두 부분에 대한 Z-score와 T-score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골밀도값의 결과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관관계를 통해 어느 한 부위의 결과로서 다른 부위의 결과를 유추할 수 있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골다공증 환자의 처치 및 예후를 결정할 수 있는 보조적인 인자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효소활성 증가 돌연변이를 함유한 DUSP19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an Activity-enhancing Mutant of DUSP19)

  • 주다경;전태진;류성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40-1146
    • /
    • 2018
  • 이중탈인산화효소(DUSP)는 성장인자활성 단백질키나제(MAPK)를 조절해서 세포성장과 분화에 관여하며 암, 당뇨병, 면역질환, 신경질환의 신약개발표적이다. DUSP 단백질군에 속하는 DUSP19는c-Jun N-말단 키나제(JNK)를 조절하며 골관절염의 질환화과정에 관여한다. 우리는 야생형 DUSP19 에 비하여 상당히 활성이 증가된 cavity 형성 돌연변이인 DUSP19-L75A의 결정구조를 규명하였다. 결정구조는 Leu75의 곁가지가 없어진 결과로 cavity가 잘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며, 활성부위에 결합한 황이온이 회전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보여준다. Cavity 형성에도 불구하고 cavity를 둘러싸고 있는 잔기들은 그다지 재조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며 그 대신에 멀리 떨어진 트립토판 잔기가 소수성결합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L75A 돌연변이의 접힘은 cavity 부위의 재조정이 아니라 글로벌 접힘 에너지 최소화 기작에 의해 안정화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회전된 활성화부위 황이온의 구조는 인산화티로신 잔기와 유사함이 발견되어 L75A 돌연변이가 최적의 활성화형태를 유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부 cavity에 의한 활성증가현상과 이에 대한 구조적 정보는 DUSP19의 알로스테릭 조절과 치료제 개발에 정보를 제공한다.

근위대퇴부 정면 영상을 이용한 골다공증 평가 시 방사선적 계측의 진단일치도 (Diagnostic Coincidence of Radiologic Measurement Methods of the Proximal Femur Anterior-posterior Projection for Assessment of Osteoporosis)

  • 강영한;조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53-360
    • /
    • 2012
  • 본 연구는 근위대퇴골 정면 영상에서 골다공증 측정을 위한 영상지표가 이중에너지흡수계측법(DEXA)으로 측정한 골밀도 결과와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112명을 대상으로 근위대퇴부 정면 영상을 촬영하였고, 영상 지표인 대퇴골관비(CCR)와 피질골 두께지표(CTI)를 측정하여 DEXA 골밀도 결과와 비교하였다. T-score를 이용하여 골다공증군과 비골다공증군으로 나누었고, 영상지표와 평균비교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진단일치도를 비교하였다. 영상계측에서 골다공증군의 골수강내 대퇴관과 골단 대퇴관 간격은 비골다공증군보다 유의하게 컸다. CCR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r=-0.340)가 이었고, CTI는 양의 상관관계(r=0.624)가 있었다. 골다공증에 대한 CCR의 진단일치도는 63.4%이었고, kappa 값은 0.271이었다. CTI의 진단일치도는 67.0%이었고, kappa 값은 0.258 이었다. 결론적으로 근위대퇴골 영상에서 비골다공증군보다 골다공증군의 CCR이 더 크고, CTI는 더 좁게 나타났다. 이는 근위대퇴골 정면영상을 평가할 때 대퇴골의 골단간 피질의 두께가 얇은 환자는 골다공증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를 추천할 수 있다.

Bone Mineral Density and Affecting Factors in College Women

  • Na, Hye-Bok;Jung, Shin-Yong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1권2호
    • /
    • pp.98-10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ne Mineral Density(BMD) and affecting factors on BMD of college women in Seoul. The subjects were 47 healthy college women aged 18-25 years. Antrophometric and body fa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Tanita TVF 202). Blood pressure and pulse frequency were measured. Dietary intakes and general living habit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nutrient intakes were analyzed by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CAN) program for professional. Serum total cholesterol, TG(triglyceride),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GOT, calcium were measured by Spotchem(SP-4410). Serum osteocalcin and alkaline phosphatase(ALP) were measured to monitor bone formation. BMD of lumbar spine(L2-L4), right hip(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and right forearm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examining leg flexion strength(right and left), leg extension power(right and left), handgrip power(right and left) and back strength.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SAS PC package program. BMD of college women was normal(by WHO, 1994). Their muscle strength was bad(by national fitness guidebook, 1995). Only a mall number of them exercised (32.6% of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MD, muscle strength and % body fat(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MD and total cholesterol as well as TG and VLDL-cholesterol(p<0.05). Total cholesterol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p<0.05). TG and VLDL-cholesterol a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 of right hip ward's triangle(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MD, ALP and serum total protein. ALP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MD and Ca as well as between Na and K intakes (p<0.05). Intakes of Na and K were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 (UD)(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 BMD and pulse frequently and serum albumin (p<0.05). Serum albumin is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 of L3-L4(p<0.05), right hip neck(p<0.05). %Body fat, TG, VLDL-C, Ca intake, pulse frequency and serum albumin we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p<0.05). Intakes of Na and K, ALP, tota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otal protein and height are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p<0.05).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Ca intake but to be moderate in protein and Na intakes in order to increase BMD. Body exercise was recommended to increase BMD as well.

  • PDF

여성 골밀도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 전라북도 거주 건강검진대상자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 이부영;송범용;육태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167-18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BMD) of female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We measured the BMD of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in 4802 femal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DEXA; DPX-alpha. Lunar, U.S.A.). and then analysed the 9 factors-age group, body mass index(BMI), amount of smoking, drinking, exercise, sleep, and fast blood sugar-which are related to BMD of fema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age group, T-score was the highest at 36-42(六七) years group in lumbar spine(L2-L4) and at 15-21(三七) years group in femoral neck. and then it was decreased rapidly after 43-49(七七) years group in both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score of female in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change according to age group in $\ll$Hwangjaenaekyong Somun; 黃帝內經 素問$\gg$. 2. In BMI, T-score of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were increased according to BMI increase. 3. In amount of drinking and smoking, T-score was highest in heavy groups(women who have drunk soju more than 4 bottles for a week) in both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But there 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according to age group. 4. In exercise, T-score was higher in exercising group than non exercising group. And it appeared that women who have taken proper exercise had higher T-score than women who have taken exercise daily. 5. T-score was higher in women who ordinarily sleep well in both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than sleep bad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43-56 years group. 6. T-score was low in the group that exceed 110mg/dl in fast blood sugar. Conclusions : The age group in $\ll$Hwangjaenaekyong Somun; 黃帝內經 素問$\gg$ is related to BMD of women. And risk factors-BMI, exercise, sleep, fast blood sugar, thyroid disease-are related to BMD of women. Therefore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help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of women, and further study will be achie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