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ft wood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Studies on Evaluation for Long-Term Structural Performance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I) -Shear Creep and Mechano-Sorptive Behavior of Drift Pin Jointed Lumber-

  • Hong, Soon-Il;Park, Jun-Chu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11-18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echano-sorptive deflection of shear creep of drift pin jointed solid wood. Specimens were the solid wood of Pinus densiflora. The joint was composed with steel plate and drift pin, 85mm in length and 10mm in diameter. The creep tests were conducted under the constant loads in an variable environment. Five different shearing loads were applied parallel to the grain of specimens. The shearing loads applied were 170, 340, 510, 680 and 850 kgf. The stress levels were 10, 20, and 30, 40 and 50% of the bearing strength obtained from the tension-type lateral strength test. The creep tests for specimens were carried out for 10300 hours. A few general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is study: The mechano-sorptive deflection (${\delta}$ ms) is defined as ${\delta}\;ms={\delta}\;t-({\delta}\;c+{\delta}\;sh)-{\delta}\;o$, where ${\delta}$ t is the total deflection, ${\delta}$ c is the pure creep, ${\delta}$ sh is shrinkage-swelling behavior, and ${\delta}$ o is the initial deflection. Changes of relative humidity may cause more severe creep deflection than those of constant humidity, especially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 mechano-sorptive behaviors of specimens, except the effects of shrinkage and swelling,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ime. The deflection is increased in desorption process and recovered in adsorption process. The deflections of drift pin jointed solid wood under different loads showed almost same tendency in all specimens. Although the creep deflection tendencies of each series are very similar, the specimens subjected to a large shearing load exhibit large creep deflections in the desorption process than do those to the small shearing load specimens.

Evaluation of The Moment Resistance Joint Strength of Larch Glulam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 Song, Yo-Jin;Jung, Hong-Ju;Park, Hyun-Ho;Lee, Hak-Young;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71-578
    • /
    • 2014
  • As a way of developing wooden joint development,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was manufactured to replace a steel plate. Also, the fracture toughness was evaluated. Through application to a cantilever-type specimen made of a column and a beam, the moment resistance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the fracture toughness specimen of the wood plate, 12 types were manufactured by varying the combination of a main member (veneer and plywood) and reinforcement (glass fiber sheet and glass fiber cloth). The results of the fracture toughness test indicated that the 5% yield load of the specimen using plywood was 18% higher than that of the specimen using veneer, and that the specimen reinforced by inserting glass fiber sheets between testing materials (Type-3-PS) had the highest average 5% yield load 4841 N. Thus, a moment resistance strength test was performed by applying Type-3-PS to a column-beam joint. The results of the test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specimen using a steel plate and a drift pin (Type-A), the maximum moment ratio of the specimen using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Type-3-PS) and a drift pin (Type-B) was 0.79; and that a rupture occurred in the wood plate due to high stiffness of the drift pin. The maximum moment ratio of the specimen using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 plate (Type-3-PS) and a glass fiber reinforced wooden laminated pin (Type-C) was 0.67, which showed low performance. However, unlike Type-A, a ductile fracture occurred on Type-C, and the load gradually decreased even after the maximum moment.

Evaluation of the Strength Properties of Glulam Connections with Inserted Steel Plates and Drift Pins

  • Kim, Ho-Ki;Park, Chun-Young;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29-38
    • /
    • 2008
  • It is well-known that the strength properties of wood connections depend on the density of the wood members, the diameter of the fasteners, the number of fasteners, and the arrangement of the fasteners, etc. In this study, the connection with inserted steel plates and drift pins was made in different configurations. The specimens were Larch and Sugi glulam connections. The specimens were loaded in tension, and the yield loads of the connections were obtained.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tests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values. Good agreement between the yield loads obtained from the tension failure tests and the predicted yield loads were shown. It was shown that the density of the wood member barely affected the strength properties of the connections. The strength decreases of the Sugi glulam connections by the group effect were less than those of the Larch glulam connections.

기둥-보 뼈대구조를 위한 각부 접합부의 모멘트저항성능 (Moment Resistance Performance of Each Joint for Post-Beam Frame Structure)

  • 박주생;황권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8-14
    • /
    • 2011
  • 한국 전통 목구조양식에서 뼈대구조인 기둥-보 접합부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기법을 적용한 목구조 접합을 개발하기 위하여 낙엽송 집성재를 구조부재로 사용하였다. 집성재를 이용한 전통 접합기술과 드리프트핀 접합으로 구성된 접합부의 부재는 공장에서 프리커트에 의해 가공하였다. 뼈대구조의 전체 성능을 파악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핀접합부의 인발내력 시험과 각 접합부의 모멘트저항 시험을 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둥-보 부재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각부 및 보단부 접합철물로 이루어진 접합부에서 우수한 모멘트저항성능을 발휘하였다. 핀의 세장비에 따라 초기강성은 세장비가 클수록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모멘트저항성능인 휨모멘트와 최대모멘트는 세장비가 작을수록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목재 접합부의 강도특성 및 장기 내력 평가 (I) - 소나무재의 Bo1t 및 Drift pin 접합부 능력(耐力) 성능 평가 - (Studies on Evaluation for Long-term Loading of Composite Wood-joint and Characteristics of Joint Strength (I) - The strength properties of mechanical joints of Pinus densiflora with drift pin and bolt -)

  • 홍순일;황원중;김은삼;진광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1-8
    • /
    • 2001
  • 본 실험은 강판삽입형에 드리프트 핀, 볼트를 이용한 2가지 형태의 접합부의 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하중 방향은 섬유평행방향 하중 (0도 하중)과 섬유직교방향 하중 (90도 하중)을 가하여 하중방향의 차이 및 접합구에 따른 강도 특성을 비교하였다. 소나무재의 강판 삽입의 드리프트 핀, 볼트 인장형 전단강도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같은 단거리의 섬유평행방향 하중시 최대하중은 접합구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90도 하중인 경우 드라프트핀, 볼트 접합부는 2가지 접합구 직경(10 mm, 12 mm)에서 모든 소나무 시편이 할렬파괴 되었다. 2. 하중-변형 곡선의 초기 직선영역을 나타내는 직선과 접합구 직경의 5% 만큼을 횡축의 정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 접합부의 항복하중(Py)과 최대 하중비의 증가 정도는 0도 하중의 경우가 높고, 볼트의 접합에서 높았다. 또한 세장비가 증가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3 항복 추정식으로 구한 항복하중과 실험값에서 5% 차감한 항복하중은 볼트 접합부에 비해 드리프트 핀 접합부가 추정치와 실험치가 잘 일치되었다.

  • PDF

낙엽송 집성재의 Bolt, Drift Pin 접합부의 전단강도 성능 평가 - 접합구 직경, 세장비, 끝면거리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 - (Shearing Strength Properties of Bolted, Drift-Pinned Joints of the Larix Glulam - Effects of Fastener Diameter, Slenderness and End-distance on Strength Properties -)

  • 김건호;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69-78
    • /
    • 2008
  • 국내산 낙엽송 집성재 볼트,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내력성능평가를 위해 인장형 전단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형 전단시편은 강판삽입형 볼트, 드리프트 핀 접합부 시편과 강판측재형 볼트접합부시편으로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볼트와 드리프트 핀의 직경은 12, 16, 20 mm였다. 시편의 접합구멍은 끝면거리 5, 7 d로 제작하였고 인장하중은 섬유평행방향으로 가하였다. 끝면거리에 따른 접합부의 내력성능을 검토하고 Larsen의 항복추정식을 통해 항복하중을 실측항복하중과 비교하였다. 설계표준 시 끝면거리 7 d의 항복하중을 기준으로 5 d의 저감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판삽입형 접합부에서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평균최대하중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볼트 접합부보다 3~30% 정도 크게 나타났다. 볼트 접합부의 경우 강판측재형의 평균최대하중은 강판삽입형보다 1.54~2.07배 크게 나타났다. 동일 직경에서 끝면거리 7 d의 평균최대하중이 5 d보다 8~44% 정도 크게 나타났다. 2. 강판삽입형 접합부의 지압응력은 드리프트 핀 접합부가 볼트보다 1.16~1.41배 더 크게 나타났으며, 7 d가 5 d보다 1.37~1.86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세장비는 7.5 이하, 강판삽입형 볼트 접합부의 세장비는 6 이하에서 양호한 내력성능을 보였다. 3. 실측 항복하중과 Larsen이 제안한 항복하중 추정식에 의해 얻어진 항복하중값의 비는 강판삽입형 접합부의 경우 0.80~1.10, 강판측재형 접합부는 0.75~1.46이었다. 4. 끝면거리 7 d의 항복하중을 기준으로 강판삽입형 볼트접합부의 경우 12 mm 접합부의 저감계수(Ke)는 0.89, 16 mm는 0.93, 20 mm는 0.85였다. 강판삽입형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경우 12 mm는 0.89, 16 mm는 0.93, 20 mm는 0.93이었다. 강판측재형 직경 12 mm 볼트접합부의 저감계수는 0.79, 16 mm는 0.80이었다.

드리프트 핀의 배열 형태가 집성재 접합부의 회전 거동 및 강도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ft Pin Arrangement for Strength Property of Glulam Connections)

  • 이인찬;박천영;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10-21
    • /
    • 2007
  • 집성재 다우얼 접합부가 적용되는 기둥의 기초, 기둥-보 접합부에는 회전이 발생하므로 접합부의 모멘트 성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접합부의 회전에 의해서 섬유방향과 각을 이루어 작용하는 하중을 섬유방향에 평행한 하중과 수직한 하중으로 단순화 하여 거동을 해석하고 예측하였다. 드리프트 핀의 휨강도 및 지압응력을 평가하였으며, 섬유방향에 평행한 인장하중과 수직한 인장하중을 받는 접합부의 끝면 거리를 다르게 하여 접합부의 인장형 전단성능을 시험하였고 회전이 작용하는 접합부는 드리프트 핀의 개수와 배열 방향을 다르게 하여 시험하였다. 접합부에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항복 이후의 변형량은 드리프트 핀의 소성변형에 의해서 발생하며, 집성재의 끝면 거리 확보에 의한 드리프트 핀의 변형 흡수가 접합부 전체의 변형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2개의 드리프트 핀이 섬유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경우(b2h)에는 섬유방향에 수직한 인장하중 거동을 나타내고, 2개의 드리프트 핀이 섬유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된 경우(b2v)에는 섬유방향에 평행한 인장하중 거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된다. 4개의 드리프트 핀이 정사각 배열된 접합부의 경우(b4)에 2개의 드리프트 핀이 섬유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접합부(b2h)의 약 1.7배의 하중 성능을 나타냈으며, 접합부에 회전이 작용하여 섬유방향과 각을 이루는 하중을 섬유방향에 대한 평행 또는 수직한 하중으로 치환하여 거동을 평가,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토석류·유목 대책에 관한 설계인자 분석 (Evaluation of Design Factor For Debris Flow Dam Design)

  • 김운형;송병웅;이국현;김범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69-76
    • /
    • 2009
  • 기존의 토석류 방지대책을 보다 더 합리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토석류 유목 대책에 관한 설계방법을 분석하였다. 국내지형 및 기후조건이 유사한 일본의 경우 지진 이외에 토석류, 산사태 및 절벽붕괴에 의한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토석류에 의한 피해사례가 태풍이나 집중호우 보다는 장마철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석류의 흐름은 물과 흙의 중간적 성질을 나타내므로 역학적 규명이 불분명하여 일본에서도 경험에 기초한 설계 방법을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다. 시공사례 분석 결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현재의 설계방식은 일부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산 낙엽송집성재의 지압특성 (Bearing Properties of Domestic Larix Glulam)

  • 김건호;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93-101
    • /
    • 2008
  • 하중방향(섬유평행방향, 섬유직각방향)과 접합구(볼트, 드리프트 핀) 적층면방향(평행, 수직)에 따른 국내산 낙엽송집성재의 지압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압시편은 5 ply의 집성재를 사용하였고, 접합구의 직경은 12, 16, 20 mm를 사용하였다.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볼트와 드리프트 핀의 각 직경에 따른 평균최대지압강도는 섬유평행하중방향의 경우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섬유평행하중방향의 평균최대지압강도가 섬유직교방향보다 1.50~2.31배 높게 나타났다. 평균지압강도의 경우 섬유평행하중방향시편은 직경 16 mm에서 20 mm로 증가할 때 20% 감소하였으며, 섬유직교방향은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2) 평균지압초기강성의 경우 섬유평행하중방향은 직경 16 mm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전단강도실험 시 초기강성과 평균지압초기강성은 직경이 증가할수록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3) 지압강도시험 시 섬유평행방향시편의 파괴형상은 직경이 작을수록 할렬파단을 보였다. 섬유직교방향의 시편은 대부분이 섬유평행방향으로 할렬파단이 일어났으며 볼트가 드리프트 핀 시편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4) 지압강도예측식을 통해 구한 예측지압강도와 실제 5% 유사항복지압강도를 비교하였을 경우 섬유평행방향은 KBCS, NDS의 예측지압강도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섬유직교방향은 NDS에서 제안한 예측식이 잘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amage assessment and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of timber-steel hybrid shear wall systems

  • Li, Zheng;He, Minjuan;Li, Minghao;Lam, Frank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7권1호
    • /
    • pp.101-11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reliability-based analysis on seismic performance of timber-steel hybrid shear wall systems. Such system is composed of steel moment resisting frame and infill wood frame shear wall. The performance criteria of the hybrid system with respect to different seismic hazard levels were determined through a damage assessment proces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fill wood shear walls on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hybrid systems was evaluated. Performance curves were obtained by considering different target non-exceedance probabilities, and design charts were further established as a function of seismic weight. Wall drift responses and shear forces in wood-steel bolted connections were used as performance criteria in establishing the performance curves to illustrate the proposed design procedure. It was found that the presence of the infill wood shear walls significantly reduced the non-performance probabilities of the hybrid wall systems. This study provides performance-based seismic evaluations on the timber-steel hybrid shear walls in support of future applications of such hybrid systems in multi-story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