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ma Progra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장면 별 등장인물의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드라마 연동 데이터 서비스 설계 (A Drama Bound Data Service Providing the Updated Information on Characters based on Scenes)

  • 고광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11-317
    • /
    • 2017
  • 일반적으로 십 수 편의 분량으로 구성된 드라마는 가장 인기 있는 방송프로그램 장르 중의 하나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등장인물의 지위, 신분, 상호간 관계가 변하고 드라마 내용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행위들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중간에 드라마 시청을 누락하는 경우 변화된 등장인물들의 정보와 새롭게 발생한 중요 행위에 대한 정보 없이는 드라마 내용 이해에 곤란을 겪게 되고 드라마 시청을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에, 본 논문은 드라마와 연동되어 매 편 최신 업데이트된 등장인물의 정보와 중요 행위들의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고안하였다. 본 데이터 서비스는 현재 시청 중인 장면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내용 이해와 장면 속 대화에서 언급되는 인물의 정보도 제공하여 폭넓은 내용 이해를 돕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소개와 정형적으로 정의된 드라마 장면 구분 정보와 등장인물 정보, 그리고 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방송 국제표준인 DVB-SI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담고 있다.

음식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se Motivation and Preference in TV Food Program Viewing)

  • 박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34-546
    • /
    • 2020
  • 먹방과 쿡방의 유행과 함께 음식 관련 콘텐츠가 다양한 포맷으로 변화하면서 인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용자의 개인적 성향 변인이 콘텐츠의 이용 동기와 선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혼밥 경향, 음식 관심도, 공감 능력을 개인적 성향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음식 콘텐츠는 속성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선호도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음식 콘텐츠 특징이 반영된 동기로 식도락적 감각 쾌락과 음식 보는 쾌감 동기가 추출되었다. 둘째, 음식 콘텐츠 이용 동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성향 변인은 음식 관심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 동기에 따라 음식 콘텐츠 선호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혼밥 경향, 공감 능력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콘텐츠 유형별로 탐색해 본 결과가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목표 수용자 층에 맞는 경쟁력 있는 요소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기 시청시간 패턴 분석을 통한 대흥행 드라마 예측 (Prediction of a hit drama with a pattern analysis on early viewing ratings)

  • 남기환;성노윤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33-49
    • /
    • 2018
  • TV 드라마는 타 장르에 비해 시청률과 채널 홍보 효과가 매우 크며, 한류를 통해 산업적 효과와 문화적 영향력을 확인시켜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드라마의 흥행 여부를 예측하는 일은 방송 관련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지상파 채널을 통해 방송된, 총 280개의 TV 미니시리즈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이들 드라마 중 평균 시청률 상위 45개, 하위 시청률 45개를 선정하여 흥행 드라마의 시청시간 분포 (5%~100%, 11-Step) 모형을 만들었다. 이들 기준 모형과 신규 드라마의 시청시간 분포와의 이격 거리를 Euclidean/Correlation으로 측정한 유사도(Similarity)를 통해, 시청자의 초기(1~5회) 시청시간 분포로 신규 드라마의 성패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또한 총 방송 시간 중 70% 이상 시청한 시청자를 열혈 시청층(이하 열혈층) 으로 분류하고, 상위/하위 드라마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신규 드라마의 흥행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드라마의 초반 시청자 충성도(시청시간)는 드라마의 대흥행 여부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밝혔으며, 최대 75.47%의 확률로 대흥행 드라마의 탄생을 예측할 수 있었다.

캐릭터 웹드라마 제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character web drama production)

  • 이현수;김민하;서지원;조성진;이종원;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91-596
    • /
    • 2023
  • 본 연구는 10대 1인 미디어 제작자를 중점으로 하여 쉽고 편리하게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나타난 10대 제작자들의 요구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기능과 GPT를 활용한 감정 및 행동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렌더링 과정에서는 OpenCV와 FFmpeg를 사용하여 오디오와 영상을 결합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하였다. 영상 제작에 전문성이 없는 10대 사용자들은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웹드라마 캐릭터를 커스터마이징하고, GPT의 도움을 받아 감정과 행동을 추천받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편집 및 연출에 전문성이 없는 10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양질의 영상 제작을 돕고, 영상 제작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주며, 1인 미디어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모바일이나 세로해상도 버전의 영상을 고려한 영상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드라마 연동 데이터 서비스의 최신 캐릭터 정보전달 방법 설계 (A Method for Delivering Updated Information of Characters to a Drama-bound Data Srvice)

  • 고광일;김혜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6
    • /
    • 2017
  • 드라마는 가장 인기 있는 방송프로그램 장르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십 수편의 분량으로 구성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등장 캐릭터의 지위, 신분, 상호간 관계가 변하고 드라마 내용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행위들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드라마 중간에 몇 편을 누락하는 경우 내용 이해에 곤란을 겪게 되고 심지어 드라마 시청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에,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드라마 시청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데이터 서비스 개발에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가상의 드라마 연동 데이터 서비스의 기능과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드라마 내용 이해에 필요한 캐릭터 정보를 데이터 서비스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가상의 데이터 서비스는 드라마 시청의 집중도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기 위해 드라마 장면 별로 그 장면에 등장하는 캐릭터들만의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에 캐릭터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디지털방송 국제표준인 DVB-SI를 기반으로 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분석 (Contents Analysis on the Image of Nurses in the Television Drama)

  • 문영임;임미림;윤경이
    • 대한간호
    • /
    • 제37권2호
    • /
    • pp.44-5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people's views on nursing for nurses, correct the image of nurse and take it as basis to be applied on nursing education examining the image of nursing on Television drama playing important role of mass media. 22 nurses of the characters in drama is applied to the analysis object of this study by selecting 6 dramas of Television ones the nurse play on the prime time from June 1 to August 31 in 1997. Contents analysis method was used in Data Analysis, 4 items was used after Coders previously modify and compensate it based on research documents of 1m Milim(1996) 2 Coders made the Coding the article on each person by them seeing the recorded film making the Coding Paper each items is written by the character. The average of reliability degree was 90% which measured the reliability degree by the mathod of Holsti. The statisic method of frequency, percentage was used SPSS Program in data proces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lative importance of 86.2% nurses in drama was depicted as extra characters 2. The affair attitude of nurses shown on drama was revealed as mechanical(84.7%), passive(45.5%), dependent(54.4%) unkind(68.2%). 3. The activity of nurses was classified with professional! simple affair. The professional affairs such as I.V., Blood Pressure Check, Rounding, Nursing Recording, Patient Education, Assist of Operation, Assistant meal of Patient, etc is mainly depicted and the screen of simple affair such as Receiving telephone, Carrying Tray or Dragging, Stretcher Car, Dressing Car and or Wheel Chair than professional affair. 4. The appearance feature of nurses was shown on thin physique(68.2%), common stature(68.2), dirty costume(45.4%), common appearance(81.9%), unnoble action(63.6%). The image of nurses is illuminated as the exterial scene of technical affair such as assisting the doctors and affair focused on accident and educational activity of nureses or extended role is nor depicted on Television drama. Therefore, the people regard the nurse as sexual object with good appearance than professional worker working professional nursing We want the following, epigraph based on above conclusion. 1. The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on the image of nurse shown on various mass media. 2. The later research is required on appliction strategy of mass media for advancing the image of nurse. 3. The research to strengthen the objectivity by comparing analyzed data on drama & analyzing it is required 4. Through the deep study, the standard to show a concrete and professional work of nurses to scenario writers of TV drama is suggested by the association. 5. The monitoring about the mass media must be activated, not by some nurses, on a national scale and much study on the basis of this is needed.

  • PDF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ramatherapy Program on Sociality of Isolated Children)

  • 안태용
    • 초등상담연구
    • /
    • 제6권1호
    • /
    • pp.117-140
    • /
    • 2007
  •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drama therapy on the sociality of isolated children.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built. Hypothesis I. Dramatherapy program will improve the sociality of isolated children. I -1. Dramatherapy program will improve in cooperation. I -2. Dramatherapy program will improve in independency. I -3. Dramatherapy program will improve in sociability. I -4. Dramatherapy program will improve in law-abiding. To test this hypothesis, the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test was conducted in 190 children consisting of fifth-grader from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o select 28 children whose founded to be isolated; among these children, eight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positioned 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eight who didn't want to do and who demonstrated the range of marks similar to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ositioned at the control group. The dramatherapy program was based on the theory by Robert Landy (2002), Jennings (2003) and Phil Jones (2005) to improve the sociality of isolated children and was implemented in a total of 15 sessions, two sessions a week after school.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A modified test paper by Suh, Poongyeon (1991) with the content of testing sociality into a test paper of human natu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be made by Jeong, Bummo (1971) was used which consists of four sub-factors: cooperation, independency, sociability, law-abiding. As a quantitative analysis, Mann-Whitney Test were analyzed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s a qualitative analysis,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student were analyzed on he basis of video tapes. The tool of observe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student was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System which was made by Bales (1970).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 First, the drama therapy had meaningful effect on the sociality of the sociality of isolated children. But the quantitative change of the sociality test conclusion was showed meaningfully and positive social behavior was increased in periodical process analysis. Second, in the Interaction Process Analysis(IPA) affirmative interactions increased and negative interactions decreased.

  • PDF

혼외관계를 사유로 하는 이혼에 관한 연구: 드라마 "부부클리닉 : 사랑과 전쟁"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Divorce Caused by Extramarital Relationship : Content Analysis on TV Drama : "Couples Clinic: Love or War")

  • 양옥경;이기연;박지영;이현영;김은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165-194
    • /
    • 2005
  • 정서적 유대가 점차 중요시되는 부부관계에서 혼외관계는 부부간 정서적 유대와 신뢰를 흔드는 치명적인 이혼사유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혼외관계의 상황과 이로 인한 이혼의 현상을 드라마가 어떻게 담고 있는지 내용분석을 하였다. 최초로 이혼을 소재로 다룬 주간 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30회분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부부는 혼외관계 자체뿐 아니라 부부관계의 질을 결정하는 정서 및 의사소통 문제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가부장적인 남편과 의존적인 아내라는 전통적인 부부관계의 설정이 가장 자주 등장하였다. 혼외관계의 대상은 결혼 전 애인이 가장 많았으며, 혼외관계유형으로는 남편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의 파기수단'이나 '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활력추구'가, 아내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일시도피나 유지수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러한 혼외관계는 부부 모두에게서 '결혼유지기간 6-10년'인 때에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 동안 사회복지 실천 대상에서 간과되었던 중산층 부부에 대한 사회복지적 재규정 및 새로운 가족개입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족의 일상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환경속 개인'이라는 사회복지의 핵심영역을 묘사하고 있는 '드라마'를 사회복지 연구에서의 대안적 영역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등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질적 분석(2002-2003년) - 뉴스, 건강정보 프로그램, 드라마 (Qualitativ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ffered in Television Programs(year 2002-2003) -Newscastings, Health Information Programs and Dramas)

  • 문현경;장영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1호
    • /
    • pp.67-85
    • /
    • 2005
  • The study aimed to perfor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ffered in TV program by monitoring newscastings, health-related programs giving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dramas for famil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information programs for elderly in major TV broadcasting station(KBS, MBC, SBS, EBS).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for numbers of information items related to health 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Duration of program the main, subject, sources, evaluation criteria of the contents. Results of qualitative monitoring for TV program are as follows.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s major propotions of subjects for the newscastings were about diseases. Those for health information programs were about foods. Those for children-education programs were about groceries. Those for seniors’ information programs were about eating habits. Th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sources for most of programs were interviews with specialist and normal person, and on-the-spot-investingations.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those were evaluated as inappropriate, the propotion of news was increased to 72.2% in 2003 from 49.3% in 2002. For health information programs, it was increased to 67.7% in 2003 from 54.0% in 2002. But, in drama the propotion of inappropriate scenes were decreased to 16.2% in 2003 from 63.2% in 2002. In children-education programs, it was 40.0%. In seniors’ information programs, it was 17.9% in 2002. The propotion of cases that the quantity of foods is inappropriate in the food scene of serial drama, decreased to 15.8% in 2003 from 28.6% in 2002. The rate of drinking scenes increased to 11.5% from 10.7%. The rate of smoking scenes decreased to 0.2% from 1.6% due to the broadcasting self-regulation of smoking scenes in dramas. In the newscatings and information programs, reasons of being evaluated as inappropriate was that they didn’t have any practical suggestions and proper intakes. There were also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technical terminology, different comparison standard of nutritive value, and exaggeration for physiological effect of food. The drama contained a lot of unnecessary scenes of alcohol drinking, coffee drinking, midnight meal, and had more quantity of foods than the quantity needed for persons to the scen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ate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ere high, but the rate of information which was evaluate as appropriate was not sufficient. There are need to improve contents of information and to moniter the contents for consumer.

  • PDF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initiativeness)

  • 최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1-238
    • /
    • 2011
  • 본 연구는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 만5세 두 학급의 유아 34명이었다. 실험을 하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에게 주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도성은 정서능력, 의사소통, 성취동기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연극놀이 활동은 실험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비교집단에는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표준 보육과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는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극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주도성의 하위 영역인 정서능력, 의사소통, 성취동기 등 하위 요소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