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ma Play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문화콘텐츠로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탈경계적 성격 (Trans-boundary Characteristics of the Post-dramatic Play as a Cultural Content)

  • 송은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7-164
    • /
    • 2019
  • 드라마 연극이 희곡 텍스트를 무대 위에 재현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면,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희곡 텍스트로부터 해방된 연극을 지향한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 연극이 만들어놓은 여러 경계들이 해체된다. 배우와 관객, 허구와 현실, 연극과 비연극, 작품과 사건, 언어와 비언어 등이 대표적인 경계의 이름이다. 이러한 경계의 해체는 드라마 연극에 의해서 잊혀졌던 고대 그리스 연극의 축제적 성격을 복원하는 계기가 된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연극을 지배하였던 언어중심주의, 희곡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새로운 연극을 지향하게 한다. 언어중심주의, 희곡중심주의가 연극의 위기를 자초했다면,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그것들을 해체함으로써 새로운 문화콘텐츠로서 관객과 소통하는 방법을 찾게 한다. 그 방법은 무엇보다 연극성의 회복에서 발견된다. 드라마 연극이 연극성보다 문학성에 종속된 것에 비해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문학성으로부터 해방된 연극성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극성이 강화된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탈경계적 성격은 대중성 획득의 발판이 될 것이며, 이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중탈놀이의 주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위한 시론 (Interpreting the theme of the monk-mask-play variously)

  • 박진태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5호
    • /
    • pp.501-521
    • /
    • 2008
  • For bringing about a revolution in studying the classic literature the positivism must be overcome and the imaginative power about the history, literature and religion must be exercised. The theme of the monk-mask-play had been interpreted from the both viewpoint; the traditional mask play is the profane drama, but, on the other hand, it is the sacred drama. Judging from the social viewpoint, the sexual union of the old monk and the beauty symbolizes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governing class and the production class. Judg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equalitarianism, that symbolizes the harmony of a masculinity and a femininity. Judg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education, that symbolizes the unification of reason and sensitivity. Judg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religion, that means the resurrection.

말과 소리 저 너머 -『대성당의 살인』의 언어고찰 (Beyond Words and Sounds: A Study on the Language of T. S. Eliot's Murder in the Cathedral)

  • 김한
    • 영어영문학
    • /
    • 제55권4호
    • /
    • pp.539-565
    • /
    • 2009
  • T. S. Eliot attempted the combining of the liturgy of Anglican Church and a drama in Murder in the Cathedral (1935) and created a modern verse drama which comes most close to the regular tragedy like Greek tragedy today. Eliot chose the drama to deliver his religious insight because of its ritualistic origin and its potentiality to deliver a dramatic world which can contain a complete order. The central theme of this play is the martyrdom. The dramatic action of killing the archbishop Thomas Beckett in this play, however, is not treated as important event enough to be a dramatic climax. He is portrayed as a witness to the reality of God's will rather than a man who wills to give up his own life for any religious belief or cause. In Eliot, a martyr is nothing but "a witness" in its ancient sense. This paper purposes to review the language of this play. The various and new meters and rhythms of the language of this play function enough to bring its playwright to encounter 'the real audience' in 'a living theatre'.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verbal models also play a big role to make this play a living theatre. Eliot found the poetry which crosses the various classes and levels of the tastes of audience is the most useful poetry. And the poetry of this play proves as the very thing which intensifies the theme of the play and gives the most powerful force to the play. Especially Eliot's poetry succeeds smost in the various and free meters of chorus, which makes Eliot the first playwright since Aeschylus, who could bring the chorus to undertake the function of extending the dramatic action of the play into the universal meaning. In the theatre the real audience identifies themselves with chorus. And the chorus leads the audience to respond to peace which passeth understanding beyond words and sounds of this play, which is the desired response in Eliot's conception of drama.

양주별산대놀이 무대복식 연구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Yangju-Byeolsandae-Nori)

  • 박민재;조우현
    • 복식
    • /
    • 제67권1호
    • /
    • pp.1-21
    • /
    • 2017
  • The Korean folk drama is one of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Korean folklore, and it is usually characterized by mask dances. An investigation on the costume of Korean folk drama is of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because they present the variety of typical costume according to the characters. The Sandae-Nori drama of Seoul Gyeong-gi province which was designated as im- portant culture property, has the closest form to general Korean folk costume. The usual characters have their typical costume and reflect the costume of the latter Choson Dynasty period. The costumes are used as a tool of the drama to indicate the character, and the impression of the dance. The costume of the Korean folk drama is made to indicate the character because it is for the play. What is more, the costume of the Sandae-Nori drama of Seoul Gyeong-gi province shows the general aspect of folk costume of the world, which remains as the symbol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hows more decoration and visibility.

굿놀이와 탈놀이의 제의성 고찰 -빅터 터너(V. Turner)의 사회극 이론을 바탕으로 (A Study on the Ritual of Exorcism Play and Mask Play - Based on Victor Turner's theory of social drama)

  • 양진영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581-607
    • /
    • 2019
  • 이 논문은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 문화인류학자인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사회극(social drama) 이론을 통해 제의성을 고찰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터너는 인간사의 모든 사건을 사회적 드라마로 보고 위반(breach)→ 위기(crisis)→ 교정행동(redressive action)→ 재통합(reintegration)의 4단계 구조 이론에 기반해 해석하고 있다. 특히 마을 공동체에서 교정 단계는 법적, 정치적 해법보다는 제의적 해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본고는 이런 터너의 이론에 기반해 2장에서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굿놀이인 영감놀이를 분석하고 평화적 제의에 따라 재통합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어 3장에서는 같은 원리로 꼭두각시놀음을 분석해 이 놀이의 경우 희생적 제의에 의해 교정행동이 해결되고 있음을 고찰한다. 4장에서는 앞서두 연극에서 얻은 결과가 다른 전통극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가를 확인해 본다. 이를 위해 굿놀이에서는 제주의 서천꽃놀이, 전상놀이, 세경놀이, 산신놀이 등을 대상으로, 탈놀이에서는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 고성오광대,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을 대상으로 교정 단계를 분석한다. 이런 연구의 결과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본고의 논점이다. 다만 본 연구는 제의성의 차이점을 모색하는 단계에 그치고 차이가 발생하는 역사적, 사회적 원인에 대한 조명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탈북 청소년의 노래와 놀이에 관한 연구 (The Songs and Play-games of Juveniles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 서미옥;김현아
    • 아동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33-146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songs and play-games of youngsters who escaped from the North and came to South Korea. The 5 female and 1 male participant mostly entered South Korea through Chinese, Viet Nam and Cambodia after escaped from the North.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earcher collected 31 North Korean songs and 21 play-games. Themes of songs were devotion their's country and/or their's national leader, a television serial drama and such traditional play-songs as komojul-nomki(jumping the rubber rope). Data from the collected songs and play-games indicated similar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oth North and South Korean children liked a television serial drama songs and both sides played similar games, through sometimes the name was different.

  • PDF

그림책을 이용한 유아 창의극 활동에서의 유아 반응에 대한 탐구 (A Study of Creative Drama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Based on Picture Books)

  • 최경;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4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s experiences in a series of creative drama activities based around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7 children 4 years of age. The research, implemented over the courses of 10 weeks, was integrated into their daily education curriculum. The children's drama activities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field notes, audio and videotape transcriptions, documentation of the young children's drama activities (eg. pantomimes, role plays & improvised expression, improvisations). Th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 1) even shy and passive young children tried to participate in pantomime activities after reading books. 2) In role play &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ies, young children were immersed in the improvised situation and spontaneously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s actors without the use of any scripts, in an impromptu manner. 3) In improvisation, young children collaborated with other children to create the improvisation by extending or transforming the content of the picture books through their own ideas.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the Effective Direction of Three-year-old Children's Drama Activities)

  • 장현진;홍용희
    • 아동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3-8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nduct effective schemes to direct drama activities for three-year-old children and to examine its influence on them. This research subjects comprised 23 three-year-old children and 2 teachers attending classes at Gureum at SanDeul kindergarten in Seoul, Korea. The researcher first recognized that problems existed in the ways in which children's leading roles were limited by the actor's roles themselves and they therefore were constrained in their use of dramatic expressions while performing drama activities. The researcher also recognized that children's drama activities integrated with traditional culture were largely deficient. For more effectively direction of children's drama activities, action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over two sessions. First, certain factors of plays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incorporated within children's drama activities. Second, certain factors of Madangguk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also incorporated within children's drama activities. Through undertaking this research project, children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actively participated in drama activities, trained their range of imaginative expressions, improved their cooperation with peers and enhanced their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The research suggests that children's drama activities when integrated with plays and Madangguk could effectively enhance children's artistic and educational skill.

중국 캉바 가극 공연예술의 교육 심미적 특징 (Educa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Kangba Tibetan Opera Performing Arts)

  • 왕슈아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9
    • /
    • 2021
  • 중국의 티베트 가극은 높은 수준의 종합성을 갖춘 연극 형식으로, 서양 연극의 현실성과 중국 연극의 사의(写意)뜻을 결합한 교육 미학적 특징을 지닌다. 구체적인 표현 형식으로는 가면극, 마당극, 의식극, 종교극의 형식을 겸하고 있다. 티베트 가극은 지방극의 한 종류로 높은 연구 가치를 지니는데, 이는 교육적 미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세계 3대 희곡은 인도의 법극, 고대 그리스의 희곡, 중국의 희곡으로 이들은 각각 다른 표현 형식과 교육 미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티베트 전통극은 발원지의 특수성 때문에 이 3대 희곡의 부분 표현 형식을 종합적으로 이어왔다. 고대 그리스 비극은 디오니소스 제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초기 의식적 동작의 공연에서 남자들이 탈을 쓰고 연기했으며, 티베트 연극인 아체라모에서도 남자들이 탈을 쓰고 배역을 맡았다. 그 가면은 민간의 짐승 토템 동작과 종교적 무언극이자 액땜의식인 창무(羌姆)에서 유래하였다. 인도의 법극은 그 역사가 길기 때문에 <무론(舞论)>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구체적인 공연 형태는 이미 알 수 없지만 <무론(舞论)>에 관한 기록과 관련, 티베트 가극의 시작 부분에서 "온바", "자루", "라무"이 세인물의 활용은 법극의 '개념 인물극'이 지닌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티베트 가극은 민간 설창이야기를 각본으로 한 가무를 공연 형식으로 진행하고, 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중국 희곡의 교육 심미적 특징을 계승하는 것으로 중국 전통 희곡의 중요한 한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캉바 가극 공연에서 가면이 지닌 교육적 의미, 캉바 가극 공연의 의식 생성, 캉바 가극 공연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고 춤추는 것 등 3가지 교육 심미적 특징에 관해 서술한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doption of Drama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rtistic Competence)

  • 김지윤;김수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69-92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기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아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들이 예술적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온 국민이 누리고 향유해야 할 문화적 소양이듯이 유아교사의 예술적 경험은 유아의 예술적 감수성, 심미감, 미적능력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판단된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 본고는 연극예술의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는 교육연극의 활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교육연극 활동은 즉흥을 통한 허구적 상황을 창조해 내고, 가상의 인물과 동일시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며, 감정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경험이 가능함과 동시에 몸을 통한 체화의 과정을 밟는다. 이러한 예술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극 놀이를 보다 다각적이고 진지한 일상과 연계된 활동으로 촉진시킬 수 있으며, 몸의 자유로운 활용을 통해 다양한 표현력과 상상력, 미적체험 자극도 가능하다. 또한 교육연극 활동 중에 유아와 교사는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향은 2019개정 누리교육과정에서 유아중심의 놀이를 강조하는 교육관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다.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이 강화된다면 유아들의 바람직한 예술세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사 스스로와 유아교육기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연극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