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imeter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19초

RQR 선질에 따른 공기커마 면적선량계의 에너지 의존성 평가와 간접 교정 (Evaluation of Energy Dependency for Air Kerma Area Product by RQR Beam Quality and Indirect Calibration)

  • 김정수;김성환;김미정;이승열;이태희;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769-776
    • /
    • 2018
  • 국제전기기술위원회의 문서 IEC 60601-1의 3판 규격과 IEC 60601-2-45의 개별 규격에서는 진단용 X선 장치에서 X선 피폭 선량 정보를 표시하고 그 정확성을 명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임상에서 사용하는 부착형 공기커마 면적선량계는 교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 적용 가능한 RQR 표준 선질을 이용하여 공기커마 면적선량계의 에너지 의존성과 정확도를 평가하였고 임상에서 간접 교정을 시행할 수 있도록 방법론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RQR5의 표준 선질에서 시행한 시험에서 부착형 공기커마 면적선량계는 -7.5%의 오차를 나타냈고, RQR8의 표준 선질에서는 -10.3%의 오차를 나타냈으며 시험한 모든 RQR 선질에 대해 평균 절대오차는 $8.30%{\pm}2.85%$를 나타내 IEC 60580과 AAPM TG 190의 조건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공기커마 면적선량계의 교정 방법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공기커마 면적 선량계의 간접 교정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sPbBr3을 기반으로 한 Perovskite 선량계의 방사선치료 Quality Assurance에 대한 적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erovskite Dosimeter based on CsPbBr3 Material to Quality Assurance in Radiation Therapy)

  • 양승우;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6
    • /
    • 2022
  • 방사선치료에서는 정상조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종양조직을 죽이기 위하여 정확한 정도관리 품질보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치료 방사선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선량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되는 검출기 재료로 사용되는 물질보다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기존 물질들을 대체할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공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particle in binder(PIB) 방법을 적용하여 민감도가 높은 고효율의 방사선 선량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고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반응특성을 평가함으로써 방사선치료분야에 정도관리 품질보증선량계로 적용 가능한지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 평가 결과, 6 MV 에너지에서의 RSD 1.178%로 제시되었고 15 MV에너지에서는 1.141%로 제시되었다. 선형회귀분석에 따른 선형성 평가결과, 6 MV, 15 MV 에너지 각 조건에서 0.9999의 R2값을 제시하였다. 재현성, 선형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CsPbBr3 선량계의 치료방사선 분야에 정도관리 품질보증 선량계로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CsPbBr3 선량계는 재현성, 선형성 평가에서 기준이상의 성능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을 통하여 치료방사선 정도관리 품질보증 선량계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선량계의 무선전력 전송 메카니즘과 데이터 통신 시스템 구현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Data Communication of the Dosimeter using Contactless Powerless Transmission)

  • 이승민;정성인;이흥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4호
    • /
    • pp.814-819
    • /
    • 2010
  • This study proposes the antenna circuit design for the transmitting wireless power, the development of the RF non-contact type Dosimeter. That is, the study designed the optimization and numerical analysis of the antenna circuit for the antenna design of 13.56MHz over the frequency band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We studied the needed items in the existing RF type Dosimeter with battery to implement the wireless power non-contact Dosimeter within the battery. We compared to the real measurement value as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for the antenna LC resonance using the theory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is method to drive low power is designed to simplify the circuit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ectifier. We convince our research contributes not only to understand the simplified circuit and miniaturization, but also to help the design and application technolog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 system which is received power supply with wireless.

나노도트선량계를 이용한 입사표면선량의 평가 (An Assessment of Entrance Surface Dose Using the nanoDot Dosimeter)

  • 김종언;임인철;박철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377-381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방사선촬영에서 입사표면선량에 대하여 나노도트선량계의 측정값과 Non Dosimeter Dosimetry-Method(NDD-M)의 계산값과 비교 평가하는 데 있다. 입사표면선량들의 측정과 계산은 두부(AP), 복부(AP), 골반(AP), 흉추(AP)와 요추(AP)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결과로서, 계산값에 대한 측정값의 상대비들은 각 부위에 대하여 1.5-2.1을 얻었다. 재현성은 변동계수로서 0.035를 얻었다.

진단영역 X선 에너지에서 유리선량계, 반도체선량계, 면적선량계의 선량 실측 비교 (Comparison of Dose Measurement of Glass Dose Meter, Semiconductor Dose Meter, and Area Dose Meter in Diagnostic X-ray Energy)

  • 손진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6호
    • /
    • pp.483-489
    • /
    • 2019
  • This paper obtained and compared these dose values by setting and comparing the X-ray imaging conditions (tube voltage 60 kVp, 70 kVp, 80 kVp, tube current 10 mAs, 16 mAs and X-ray field size are 10 × 10 cm, 15 × 15 cm). Each dose value was measure 10 times and represented as an average valu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X-ray exposure of diagnostic areas according to the type of dosimeter and to help with another dose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very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glass dosimeter(GD) and semiconductor dosimeter values due to changes in tube voltage of 60, 70, 80 kVp, regardless of field sized, but for dose area product(DAP), the difference in dose value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field size.

방사선 검출기용 PET 박막의 에너지 의존성 (Energy Dependancy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or Radiation Detector)

  • 백금문;김건중;김왕곤;홍진웅;이병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5
    • /
    • pp.71-74
    • /
    • 2002
  • Currently small and accurate dosimeters are on the rise.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and energy dependency of the electret dosimeter that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were observed by irradiating 4, 6, 15 MV photon beams from the clinical linear accelerator to develop a dosimeter for the clinical field. $10{\times}10cm$ field size of the photon beams were irradiated to the electret dosimeter where the 2.5 cm depth in the polystylene phantom from 100 cm SSD, while 300 DCV was applied to the electret dosimeter. The result showed that the absorbed dose was proportional to the charge linearly, and the volume of a dosimeter could be reduced and the signals were high enough.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olymer electret detector could be produced as a large quantity with a small cost and showed the feasibility of a realtime measurement.

  • PDF

Simulation and design of individual neutron dosimeter and optimization of energy response using an array of semiconductor sensors

  • Noushinmehr, R.;Moussavi zarandi, A.;Hassanzadeh, M.;Payervand, F.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293-302
    • /
    • 2019
  •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to develop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personal (individual) dosimeter response to cover a wide of neutron energy range (from thermal to fas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ategory of the dosimeter, the semiconductor sensor has been used to simplify and lightweight. In this plan, it's very important to have a fairly accurate counting of doses rate in different energies. With a general design and single-sensor simulations, all optimal thicknesses have been extracted. The performance of the simulation scheme has been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and laboratory samples in the world. Due to the deviation of all dosimeters with a flat energy response, in this paper, has been used an idea of one semi-conductor sensor to have the flat energy-response in the entire neutron energy range. Finally, by analyzing of the sensors data as arrays for the first time, we have reached a nearly flat and acceptable energy-response. Also a comparison has been made between Lucite-PMMA ($H_5C_5O_2$) and polyethylene-PE ($CH_2$) as a radiator and $B_4C$ has been studied as absorbent. Moreover, in this paper, the effect of gamma dose in the dosimeter has been investigated and shown around the standard has not been exceeded.

피부선량 측정을 위한 Lead-Monoxide 기반의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ilicon Passive Layer Dosimeter Based Lead-Monoxide for Measuring Skin Dose)

  • 양승우;한무재;정재훈;배상일;문영민;박성광;김진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81-788
    • /
    • 2021
  • 피부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방사선치료 시에 피부에 조사되는 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과도한 피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임상에서는 film, OSLD, TLD, glass 선량계등과 같은 선량계를 사용하여 피부선량을 측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선량계들은 피부곡면에서의 정확한 선량측정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체 굴곡에 따라서 부착이 가능한 피부선량계를 개발하고 그 반응 특성을 평가하였다. 선량계 제작에는 높은 원자번호(ZPb: 82, ZO: 8)와 밀도(9.53 g/cm3)로 방사선검출 측점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Lead oxide(PbO)와 인체 굴곡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silicon 바인더를 사용하여 재조하였다. 한편 PbO 물질로 제작된 선량계의 경우 산화로 인한 성능 저하가 존재하기 때문에 parylene 등을 사용하여 성능저하를 방지해오고 있었지만, 기존에 사용된 parylene은 bending에 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silicon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passive layer를 제작하여 피부선량계에 적용하였다. 피부선량계의 특성평가는 SEM, 재현성, 선형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SEM 분석을 통하여 bending에 영향을 받는지 평가하였으며, 6 MeV 에너지에서의 재현성, 선형성을 평가하여 피부선량계로 적용이 가능한지 평가하였다. SEM 분석을 통하여 선량계 표면을 관찰한 결과, parylene으로 passive layer가 올라간 parylene passive layer PbO 선량계는 구부러 졌을때, 표면에 crack이 발생하였다. 그에 반해 silicon passive layer가 올라간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에서는 crack 이 관찰되지 않았다. 재현성 측정 결과에서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의 RSD는 1.47%로 평가기준 RSD 1.5%를 만족하였으며, 선형성 평가 결과에서는 R2값이 0.9998로 나타나 평가기준 R2 0.9990을 만족하였다.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는 bending에 따른 crack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현성, 선형성에서 높은 신호안정성과 정밀성, 정확성을 보여주어 피부선량계로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 Methodology of Dual Gate MOSFET Dosimeter with Compensated Temperature Sensitivity

  • Lho, Young-Hwan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43-148
    • /
    • 2011
  • MOS (Metal-Oxide Semconductor) devices among the most sensistive of all semiconductors to radiation, in particular ionizing radiation, showing much change even after a relatively low dose. The necessity of a radiation dosimeter robust enough for the working environment has increased in the fields of aerospace, radio-therapy, atomic power plant facilities, and other places where radiation exists. The power MOSFET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has been tested for use as a gamma radiation dosime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 of threshold voltage based on the quantity of dose, and a maximum total dose of 30 krad exposed to a $^{60}Co$ ${\gamma}$-radiation source, which is sensitive to environment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The gate oxide structures give the main influence on the changes 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ffected by irradiation. The variation of threshold voltage on the operating temperature has caused errors, and needs calibration. These effects can be overcome by adjusting gate oxide thickness and implanting impurity at the surface of well region in MOSFET.

필름배지선량계에 의한 개인피폭선량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Personal Exposure Dose by Film Badge Dosimeter)

  • 정운관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37-50
    • /
    • 1994
  • X-선과 감마선의 에너지에 따른 선질특성과 선량 및 필름의 사진농도와의 관계를 이용한 필름배지선량계의 선량환산식을 실험적으로 체계화 하였고, 시간경과에 따른 잠상퇴행 특성과 방사선의 입사방향에 따른 방향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선량환산식은 필름배지선량계의 기술기준인 성능판정 기준을 잘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