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response

검색결과 2,359건 처리시간 0.028초

옻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자궁 경부암 바이러스 암 유발인자 E6 와 E7의 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hus Extracts on The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and E6 and E7 Oncogenes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 조영식;정옥;조정원;이경애;심정현;김광수;이홍수;성기승;윤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89-1395
    • /
    • 2000
  • 자궁 경부암은 매년 약 50만명 정도씩 사망하는 여성의 치명적인 사망원인의 하나이다. 인두유종 바이러스(HPV) 16형 및 18형과 자궁 경부암과의 긴밀한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다. 옻 추출물 Rhus가 HPV 16형의 E6, E7 발암 유전자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 Rhus는 자궁 경부암 세포주(C-33A, SiHa, Caski)와 HaCaT keratinocytes의 분열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In vitro binding assay와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면 Rhus가 암 억제인자인 p53과 결합하여 분해 시키는데 필수적인 E6와 E6AP와의 결합을 억제할 뿐더러 암 억제인자 Rb와 E7과의 결합을 억제하였다. RT-PCR에 의하면 Rhus에 의해 E6 mRNA의 level이 감소하였으나 E7 mRNA는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에 의하면 Rhus가 HPV 16형의 E6와 E7의 발암성을 억제함을 보여 주므로 HPV에 의해 유도된 자궁 경부암의 치료에 유효할 것으로 사료되어 좀 더 자세한 in vitro실험 등이 요구된다.

  • PDF

여자 청소년 및 젊은 여성의 비타민 D 결핍과 빈혈과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anemia among Korean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 장하은;박성희;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6호
    • /
    • pp.552-558
    • /
    • 2019
  • 본 연구는 2008 ~ 2014년까지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분석 대상자는 12 ~ 29세 여자 청소년 및 젊은 여성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비타민 D 결핍 여부에 따른 빈혈 및 철 결핍성 빈혈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란인자를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에서 비타민 D 결핍군이 충분군보다 빈혈 및 철 결핍성 빈혈의 유병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혈청 25(OH)D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빈혈 및 철 결핍성 빈혈의 유병률이 낮아지는 선형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비타민 D 결핍과 빈혈에 대한 예방 및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추후 전향적인 코호트 연구 및 임상시험 연구 설계를 이용한 후속 연구를 수행하여 비타민 D와 빈혈 사이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섬오갈피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canthopanax koreanum Kakai extract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Sprague-Dawley rats)

  • 양윤경;;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2호
    • /
    • pp.106-11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에 대하여 AE의 항염증 효과와 예방기전을 연구하는 것이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손상이 유도된 Sprague-Dawley 쥐에서 간독성 지표,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손상이 유도된 실험동물에서 Acanthopanax koreanum Nakai의 에탄올 추출물 및 acanthoic acid 섭취로 혈장 ALT 활성이 유의하게 개선됨을 보여주었다. 간조직병리학적 분석에서는 사염화탄소 처리된 대조군에서 거대한 브리징 경화와 심각한 지방변성을 관찰하였는데, 이는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용량군인 AE3이 저용량군인 AE1보다 간보호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보인다. AE는 단일물질인 AA보다 간독성에 대한 예방요인과 항염증 효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더 우세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에 대한 AE와 AA의 예방 효과가 항염증 성질에 부분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제안한다. AE의 생화학학적 효과는 단일물질인 AA보다 우수하며 향후 연구에서 식이변경으로 AE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비만 마우스에서 luteolin이 화학적으로 유도한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teolin on chemical 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high fat diet-fed obese mouse)

  • 박정은;김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14-22
    • /
    • 2018
  • 본 연구는 LUT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마우스의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각 10마리씩 정상식이 (ND)군, 고지방식이 (HFD)군, HFD + 0.0025% LUT 보충 (HFD LL)군, 그리고 HFD + 0.005% LUT 보충 (HFD HL)군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실험군은 AOM을 1회 복강 주사하고 AOM 투여 1주일 후 총 3 cycle의 1 ~ 2% 농도의 DSS를 음용수로 공급하여 대장암을 유발하였다. 실험식이는 AOM 발암시점부터 총 11주간 급여하였다. 연구결과, 군간 식이섭취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HFD 급여군에서 체중과 식이효율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으며 HFD군과 비교했을 때 LUT 보충에 따른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LUT 보충은 ND군에 비해 HFD군에서 나타난 대장 무게/길이 비, 대장종양 수, 혈장 $TNF-{\alpha}$ 농도, 대장 iNOS와 COX-2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HFD HL군이 HFD LL군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체중조절과는 별개로 LUT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대장의 염증반응 억제를 통하여 비만과 연관된 대장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향후 비만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adipokine 분비, 그리고 장내 균총 변화에 따른 대장 점막세포 증식과 대장암 발생에 LUT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더 깊이 있게 수행한다면 비만으로 인한 대장암 발생에 LUT이 효과적인 화학적 예방 (chemoprevention)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fficacy of First-Line Targeted Therapy in Real-World Korean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Focus on Sunitinib and Pazopanib

  • Kim, Myung Soo;Chung, Ho Seok;Hwang, Eu Chang;Jung, Seung Il;Kwon, Dong Deuk;Hwang, Jun Eul;Bae, Woo Kyun;Park, Jae Young;Jeong, Chang Wook;Kwak, Cheol;Song, Cheryn;Seo, Seong Il;Byun, Seok-Soo;Hong, Sung-Hoo;Chung, Jinsoo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1호
    • /
    • pp.325.1-325.10
    • /
    • 2018
  • Background: To evaluate survival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OS) in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mRCC) who received sunitinib (SU) and pazopanib (PZ) as first-line therapy in real-world Korean clinical practice. Methods: Data of 554 patients with mRCC who received SU or PZ at eight institutions between 2012 and 201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d on the targeted therap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SU (n = 293) or PZ (n = 261) groups, and the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and survival rat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for O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16.4 months (interquartile range, 8.3-31.3). Patients in the PZ group were olde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erformance status (P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U group, the dose reduction rate was higher and the incidence of grade 3 toxicity was more frequent. The objective response rates were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SU, 32.1% vs. PZ, 36.4%). O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SU, 36.5 months vs. PZ, 40.2 months; log-rank, P = 0.955). Body mass index,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S > 2, synchronous metastasis, poor Heng risk criteria, and liver and bone metastases were associated with a shorter OS. Conclusion: Our real-world data of Korean patients with mRCC suggested that SU and PZ had similar efficacies as first-line therapy for mRCC. However, PZ was better tolerated than SU in Korean patients.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Pioglitazone이 인슐린 민감도, 난소 기능, 난소 기질 내 혈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oglitazone on Insulin Sensitivity, Ovarian Function and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이향아;김정훈;최정원;박선정;이수정;최은선;김성훈;채희동;손영수;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55-164
    • /
    • 2005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oglitazone, an insulin sensitizing agent, on insulin resistance, ovarian function and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Material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PCOS, aged 18~34 years, were recruited. Criteria for diagnosis of PCOS were as defined in 2003 Rotterdam consensus. They were treated for 6 months with pioglitazone at a dose of 30 mg/day orally. The hormonal blood profile, fasting serum glucose levels, a glycemic response to 75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an ovarian stromal artery (OSA) blood flow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fter 6 months of treatment. Results: Eighteen (60.0%) of 30 patients treated with pioglitazone demonstrated a spontaneous ovulation After pioglitazone treatment, fasting insulin concentrations, serum glucose levels after 75 g OGTT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p=0.04, respectively), and fasting glucose to insulin (G/I) ratio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The pioglitazone treatment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LH, testosterone (T) and free T levels (p<0.001, p=0.02, p=0.002, respectively). The resistance index (RI) values of OSA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p<0.001). In analyzing pioglitazone-treated patients according to their body mass index (BMI), nonobese group as well as obe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sting G/I ratio (p<0.01). The pioglitazone treatment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LH and free T levels in nonobese group (p<0.001, p<0.05, respectively) as well as obese group (p=0.001, p<0.05, respectively). The RI values of OSA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nonobese and obese groups after pioglitazone treatment (p<0.001,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s: Pioglitazone could ameliorate the glycoinsulinemic metabolism, and this beneficial effects of this drug could improve the endocrine-reproductive condition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of ovarian stromal artery blood flow, in both nonobese and obese patients with PCOS.

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균의 행동예측 모델 개발 및 정량적 미생물 위해성 평가 연구 (Predictive model and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and Campylobacter jejuni in milk)

  • 동쟈밍;민경진;서건호;윤기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57-668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우유와 무지방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행동예측모델을 개발하고, 미생물학적 안전관리를 위한 기준의 적절성 평가를 위해 정량적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시중 마트에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일반우유(n=195)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오염실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검출되지 않아 초기 오염도는 각각 -3.94 log CFU/mL로 동일하게 추정되었다. 장출혈성 대장균은 7℃ 이상의 온도에서 성장하였고,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4-25℃ 온도의 우유에서 사멸하였다. 우유에서 1차 모델에서 얻은 parameter를 사용하여 장 출혈성 대장균은 2차 성장모델을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2차 사멸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일반우유의 섭취패턴은 식품의약품안전처(2015) 연구에서 수행한 "50대 주요 축산식품의 섭취량 및 섭취패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RISK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하루에 일반우유의 1회 섭취를 통하여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의한 식중독 발생 확률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1일 1회 일반우유 섭취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로 인한 평균 식중독 발생 확률은 각각 5.70×10-5, 9.86×10-9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량적 위해평가를 통해 일반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위해수준을 산출한 결과 일반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우선관리 대상임을 알 수 있었고, 우유제조업체에서 교차오염 방지, 살균온도/시간 관리, 유통온도, 가정에서 온도 관리 등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Hepatotoxicity and nephrotoxicity of saponin-enriched extract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in ICR mice

  • Sung, Ji Eun;Choi, Jun Young;Kim, Ji Eun;Lee, Hyun Ah;Yun, Woo Bin;Park, Jin Ju;Kim, Hye Ryeong;Song, Bo Ram;Kim, Dong Seob;Lee, Chung Yeoul;Lee, Hee Seob;Lim, Yong;Hwang, Dae Youn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57-67
    • /
    • 2017
  • The inhibitory effect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against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substance P and phthalic anhydride (PA) treatment were recently reported for some cell lines and animal models. To evaluate the hepatotoxicity and nephrotoxicity of A. cochinchinensis toward the livers and kidneys of ICR mice, alterations in related markers including body weight, organ weight, urine composition, liver pathology and kidney pathology were analyzed in male and female ICR mic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150, 300 and 600 mg/kg body weight/day saponin-enriched extract of A. cochinchinensis (SEAC) for 14 days. The saponin, total flavonoid and total phenol levels were found to be 57.2, 88.5 and 102.1 mg/g in SEAC, respectively, and the scavenging activity of SEAC gradual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body and organ weight, clinical phenotypes, urine parameters and mice mortality did not differ between the vehicle and SEAC treated group. Furthermore, no significant alterations were measured in alkaline phosphatase (ALP),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actate dehydrogenase (LDH), blood urea nitrogen (BUN) and the serum creatinine (Cr) in the SEAC treated group relative to the vehicle treated group. Moreover, the specific pathological features induced by most toxic compounds were not observed upon liver and kidney histological analysis. Overal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EAC does not induce any specific toxicity in the livers and kidneys of male and female ICR mice at doses of 600 mg/kg body weight/day.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s)

  • 김보경;강정현;오근혜;황지영;장석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85-79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편백나무 추출액의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0{\mu}l/ml$ 농도에서 78% 및 62%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편백나무 추출액은 높은 SOD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50{\mu}l/ml$ 농도에서 92.85 %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Paper disc agar diffusion 법을 이용하여 식중독 및 질병을 일으키는 6종의 균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편백나무 추출액은 B. cereus, E. coli, L. monocytogenes, S. aureus, S. typhi,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이 나타났고, 이중 B. ce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 박테리아 활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항균 활성이 나타난 6종의 균주에서 편백나무 추출액의 MIC 및 MBC는 $30{\sim}40{\mu}l/ml$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편백나무 추출액을 이용하여 식중독과 같은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소재로 개발한다면 산업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chicken leukocyte cell-derived chemotaxin 2 in response to toll-like receptor 3 stimulation

  • Lee, Seokhyun;Lee, Ra Ham;Kim, Sung-Jo;Lee, Hak-Kyo;Na, Chong-Sam;Song, Ki-D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2호
    • /
    • pp.1942-1949
    • /
    • 2019
  • Objective: Leukocyte cell-derived chemotaxin 2 (LECT2) is associated with several phys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inflammation, tumorigenesis, and natural killer T cell generation. Chicken LECT2 (chLECT2) gene was originally identified as one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chicken kidney tissue, where the chickens were fed with different calcium doses. In this study,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gene expression of chLECT2 were analyzed under the stimulation of toll-like receptor 3 (TLR3) ligand to understand the involvement of chLECT2 expression in chicken metabolic disorders. Methods: Amino acid sequence of LECT2 proteins from various species including fowl, fish, and mammal were retrieved from the Ensembl database and subjected to Insilco analyses. In addition, the time- and dose-dependent expression of chLECT2 was examined in DF-1 cells which were stimulated with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poly [I:C]), a TLR3 ligand. Further, to explore the transcription factors required for the transcription of chLECT2, DF-1 cells were treated with poly (I:C)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nuclear factor ${\kappa}B$ ($NF{\kappa}B$) and activated protein 1 (AP-1) inhibitors. Results: The amino acid sequence prediction of chLECT2 protein revealed that along with duck LECT2 (duLECT2), it has unique signal peptide different from other vertebrate orthologs, and only chLECT2 and duLECT2 have an additional 157 and 161 amino acids on their carboxyl terminus,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is suggested that chLECT2 is evolved from a common ancestor along with the actinopterygii hence, more closely related than to the mammals. Our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chLECT2 was up-regulated significantly in DF-1 cells under the stimulation of poly (I:C) (p<0.05). However, in the presence of $NF{\kappa}B$ or AP-1 inhibitors, the expression of chLECT2 is suppressed suggesting that both $NF{\kappa}B$ and AP-1 transcription factors are required for the induction of chLECT2 expression.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chLECT2 gene might be a target gene of TLR3 signaling. For the future, the expression pattern or molecular mechanism of chLECT2 under stimulation of other innate immune receptors shall be studied. The protein function of chLECT2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if further investigation about the mechanism of LECT2 in TLR pathways is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