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estic marine product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향토음식 메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oking Characteristics of Cheju′s Local Food)

  • 오혁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1-148
    • /
    • 1999
  • Cheju's local foods are various but Island being geographically surrounded by water, sea-foods play a greater part in the diet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ainland Most of dishes are prepared from local foods and the marine products. That traditional food that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lifestyle are now becoming the great interest to both foreign and domestic guests. In this research, we have concluded that developing a cheju's traditional food manu and local manu cooking method. 1. Improvement of cooking method. - development of cheju's traditional Food material and spice. 2. Use not raw fish - boiling, grilling, frying 3. Improvement of cheju's local Food's name. 4. Use the only Boneless fish. 5. taste reformation of Fermentation Food - Masking the TMA etc. 6. Use the many Spice in local food.

  • PDF

농수산물 및 식품의 지하 저장 (Underground Storage of Food)

  • 신희순;권광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4권2호
    • /
    • pp.192-200
    • /
    • 1994
  • Underground offers many advantages for stor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Since it is confined by thick walls of rock it is easy to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o achieve air and water tightness. Also, damages by rodents and insects could be avoided. Flexibility in choosing the location is another advantage that underground could offer. Consequently the goods could be stored near the big city to meet the demand change. Because of these advantages, many underground food storage facilities were built and operated successfully in U.S. and many Euroupean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underground food storage facilities in Korea despite the need is growing rapidly. This paper describes the case studies of foreigh food storage and technologies related to food storage were analyzed and evaluated. Also performed is analysis of domestic technologies for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underground food storage facilities to deduce the fields of studies that have to be conducted.

  • PDF

고감도 HPLC에 의한 시판 중인 패류 및 멍게의 마비성 패류독 모니터링 (Monitoring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by Highly Sensitive HPLC from Commercial Shellfishes and Sea Squirts)

  • 장준호;김병윤;이종백;윤소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15-923
    • /
    • 2005
  • 패류의 안전성 확보와 국가 독성 감시 페계 확립을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울산, 포항, 마산 ,통영, 거제, 사천 등 총 9개 도시에서 유통 중인 패류 및 그 가공품, 수입 패류와 그 가공품 등 총 36종 850점을 2004년 3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10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4월과5월은 2회),수입산과 가공품은 5월, 7월, 9월에 각 1회씩 수거하여 독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패류에는 조사를 시작한 3월부터 마비성 패류 독소가 검출되기 시작하였으며 ,독소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양식장에서 진주담치의 채취가 금지된 4월 셋째 주에는 $72.9\%$의 독 검출율을 나타내어(70개의 시료 중 51개의 패류에서 독소검출)가장 높았고, 이 후 급감하여 5월 셋째 주에는 $3.7\%$이 었으며 ,6월과 7월에는 산발적으로 독소가 검출되었고, 8월 이후는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독성은 모두 기준치 (4 MU/g) 이하로, 마우스 검사로 독성이 검출된 것은 4월 마산의 굴(1.9 MU/g)과 사천의 진주담치(1.8MU/g),그리고5월 첫째 주 사천의 개 조개(2.1 MU/g) 뿐이며 , 나머지 시료는 1 MU/g 이하로 모든 시료가 식위생상 안전하였다. 그러나 원산지가 확실하지 않은 수입산 가리비와 피조개의 일부에서는 5월, 9월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료가 있었으며, 국내산에서 검출되지 않는 7월, 9월에도 독성이 검출되고 있어 철저한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패류 가공품은 마른 진주 담치에서 흔적 정도(0.01 MU/g이하)만 검출되고 나머지는 모두 무독이었다.

중소형 레저선박용 운항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Realization of the Sailing System for Mille and Small Leisure Ships)

  • 오홍근;박정민;김철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11-418
    • /
    • 2017
  • 국내의 경우 IT 분야에 있어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는 있으나, 어선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국내 레저선박 시장에는 아직까지 그 기술력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국민소득이 이미 22,000 달러를 넘어선 시점에서는 중소형 레저 보트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고 부가가치 제품에 있어서는 대부분 미국과 유럽 등으로 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자동차의 경우 Car Navigation 보급을 시작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켜 주는 제품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으며, 이제는 자동차에 있어서 IT 기술은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사항이다. 이에 신뢰성 있는 임베디드 하드웨어 기술과 Mapping 기술을 활용하여 국내 중소형 레저선박을 대상으로 육상에 적용된 최신 ICT 기술을 접목시킨 Digital Ship Navigator를 개발하여 보급할 경우 그 동안 침체되어 있었던 중소형 선박 IT관련 산업을 성장 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 대한 수출까지 기대해 볼 수 있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의 상어류 등재가 한국 수산업에 끼칠 영향과 대응 전략 (Estimation of the Impact of the Inclusion of Sharks in the Appendices of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 on Korean Fisheries and Recommendations of the Domestic Measures on the Trade of the Listed Shark Species)

  • 손호선;안두해;김두남;이성일;박겸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278-1295
    • /
    • 2014
  • The Sixte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s of Parties of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 which was held in March 2013 in Bangkok, Thailand, listed five shark species and one genus, and uplisted one sawfish species. All new species listings will be come into force of the eighteen months delay, on the fourteenth of September, 2014. The purpose of the delay is to support the preparation of the domestic measures on shark trade by the parties, as there has been no previous experience in trading the commercially exploited aquatic species in the CITES. The CITES Secretary-General has visited several potential shark trade countries to encourage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CITES listings. The newly listed sharks have been caught as a target or non-target species by Korean distant water fisheries and introduced into Korea. So the establishment or change of the domestic laws, regulations, and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CITES species must be prepared before the effective entry date. This paper is prepar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trade of the CITES listed shark species, and to suggest effective government service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Korean distant water fisheri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s the general Management Authority of the CITES,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s in charge of the medical trade of CITES listed species in Korea. By law, all imported medicines and medical materials must be inspected by the MFDS during the customs examination; this kind of authority sharing is reasonable and effective way of providing government service. Similarly, the designation of new CITES Management Authority for the trade of commercially exploited aquatic CITES species is critical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which is now in charge of the trade of fisheries products, is the most appropriate governing body for this purpose in Korea.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Plan of Action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harks, initially submitted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of the United Nations in 2011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shark conservation in all Korean fisheries, could be a effective measure to achieve unification of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sustainable use of fisheries stocks. The proper CITES measures for the trade of listed spec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documenting system for Non-detriment Findings, domestic measures suitable for the "Introduction from the Sea" clause, species specific Harmonized System Codes for the customs service, and an effective shark catch data reporting system should be in place prior to the fourteenth of September 2014.

지리적 표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막걸리 산업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activation plan of Geographical Indication Regulation: Focus on Makgeolli Industry)

  • 신계하;이환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675-684
    • /
    • 2017
  • 유럽에서 지리적 표시제도는 약 100여 년 전부터 도입되었던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의 지리적 표시제도는 보편적이지 않은 개념이다. 최근 들어서야 지리적 표시제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 도입이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지리적 표시제도는 지역 활성화, 소비자보호, 경제효율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농수산물이 유럽에 비해 지리적표시를 통해 보호해야할만한 가치가 부족한 것도 아니다. 이에 지리적 표시제도 선진국들의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우리나라에도 지리적 표시제도를 정착시켜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표시제도의 현황과 해외의 전통술 보호를 위한 지리적 표시제도 활용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프랑스는 와인, 일본은 사케, 독일은 맥주와 같이 한 나라를 대표하는 술이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막걸리 또한 지리적 표시제도를 활용하여 막걸리산업의 성장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양성 발광박테리아를 이용한 해양환경 독성평가 시험법 개발: N-Tox test (Development of Marine Toxicity Standard Method for Marine Luminescent Bacteria: Introduction of N-Tox test)

  • 이규태;박경수;김평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2호
    • /
    • pp.156-163
    • /
    • 2008
  • 해양 기원의 발광박테리아 Vibrio fischeri를 이용한 발광박테리아 독성시험법은 1980년대 초반에 소개된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용되어오다 1998년 국제공인시험법으로 등재되어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시험법은 테스트하고자하는 화학물질이나 환경시료에 발광박테리아를 30분간 노출시킨 후 나타나는 발광량 감소의 정도로서 독성 유무나 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신속성, 정밀성, 민감성, 경제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시험생물의 유지/배양없이 상용화된 키트 제품을 이용하여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성 발광 박테리아 독성평가 키트로 판매되는 상용화제품(N-Tox)을 이용하여 수행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험법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시험항목으로는 시료 주입량, 발광량과 같은 기본 항목 테스트와 표준독성물질을 이용한 정도관리 테스트, 화학물질 및 현장시료에 대한 테스트가 포함되었다. 이 시험법은 자동화되어 누구나 쉽게 수행이 가능하면서도, 시험 결과 독성물질에 대한 용량-반응 관계가 확실하게 평가되고, 정밀도가 뛰어나며, 현장시료 독성평가에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민감성을 지닌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아직 생물검정이 보편화되지 않은 국내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표준독성시험방법의 하나로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사용자 욕구조사를 통한 해양레저용품(Bodyboard)디자인 컨셉개발 (Case Study on Bodyboard Design Development though User's needs)

  • 강범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35-145
    • /
    • 2013
  • 인간의 특징을 설명하는 단어 중 하나가 "유희적 인간"이다. 또한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삶이 더욱 윤택해짐에 따라 놀이는 인간 삶의 중심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해양레저산업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해양용품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해양레저장비를 수입에 의존해 오던 국내 시장에서 국산 해양 레저 용품의 개발이 필요성을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바디보드(bodyboard)의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 제품분석 및 소비자 욕구 조사를 통한 국내 시장에 적합한 새로운 바디보드의 디자인 컨셉 제안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시장의 바디보드는 14세에서 29세 사이의 젊은 층을 위한 40,000원~100,000원 대의 가격 포지셔닝이 바람직하다. 둘째, 작은 파도 위주의 국내 해안환경에도 튜브형 바디보드가 적합하다. 튜브형 바디보드의 선호고객이 65%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새로운 가치 창출형 바디보드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CMFF(Color, Material, Form, Function)전략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소비자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바디보드개발의 연구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제품 디자인개발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해양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상품 디자인개발 사례 (Design Development for the Ocean & Leasure Industry)

  • 강범규;이보배;김성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16-127
    • /
    • 2012
  • 최근 국내 해양레저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해양 레저산업이 발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해양레저 용품 중 가장 범용성 있는 제품인 공기주입식 튜브데 대한 아이디어 상품개발은 국내 해양레저기업의 매출확대와 신시장 개척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크게 4단계로 나누어, 기초 선행연구조사(Investigation) - 조사결과의 분석과 종합 (Analysis & Synthesis) - 제품 디자인 개발(Development) - 제품 디자인개발안 평가(Evaluation)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주입식 튜브에 패브릭 커버를 씌워 쿠션 또는 아동용 놀이 가구로써 365일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놀이형 튜브쿠션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커버로는 촉감이 좋은 감성적 소재의 네오프렌(Neoprene)과 에어메시(Air-mesh) 패브릭을 사용하여 지퍼를 달아 씌우고 벗기기 쉽도록 하였다. 그리고 튜브끼리 끼워 조립하고, 스냅단추가 부착된 스트랩으로 연결하여 의자, 테이블, 터널, 기차 등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어 창의적인 놀이 활동이 가능도록 배려된 디자인이다. 본 연구는 해양레저 상품의 장기적 안목의 관점에서 차별화된 아이디어 상품으로 해양레저 용품 뿐 만 아니라 가정 및 어린이 놀이시설 등 크로스오버(Crossover)된 새로운 블루오션(Blue Ocean)시장을 창출 할 것으로 기대한다.

무기질 소재로서 갑오징어갑의 성분 특성 (P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uttle Bone as a Mineral Source)

  • 조문래;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8-482
    • /
    • 2001
  • 갑오징어 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을 식품 무기질 강화소재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갑오징어갑의 식품학적 성분 특성을 검토하였다. 갑오징어갑의 수율은 약 $7.5\%$이었고, 이들은 회분이 약 $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갑오징어갑은 중금속 분석 결과 무기질 추출소재로서 중금속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갑오징어갑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슘이 약 $22\%$ 정도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수율, 일반성분 중금속 및 무기질 함량에 있어 국내산 및 수입산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갑오징어라을 XRD 분석하여 본 결과 갑오징어갑은 탄산칼슘이 주성분이었고,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비정형의 결정을 이루고 있었다 갑오징어잠은 pH 7 부근에서 상당히 강한 완충특성을 나타내었고, 탁도는 아주 높았다. 또한 용해도는 탄산칼슘보다는 약간 우수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낮아 칼슘제로 사용에 있어 제한을 받으리라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갑오징어갑은 칼슘 추출소재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