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idend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1초

법인의 전기 유보금이 당기 투자 및 배당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업종별 더미변수를 통한 유의성 검증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evious Corporate Internal Reservation on the Current Investments and Dividends : The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through Dummy Variables under Industrial Classification)

  • 유준수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1호
    • /
    • pp.131-151
    • /
    • 2019
  • 본 논문은 과연 법인의 전기 유보금이 당기 투자 및 배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업종별 더미변수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양 년도에 걸쳐 물적 투자에서는 제조업, 기술서비스업, 도소매업, 정보서비스업, 건설업, 운수업종에서 전기 유보금이 당기 물적 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개발비 및 경상개발비에 대한 투자보다는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투자에서는 제조업, 기술서비스업, 정보서비스업, 운수업종에서 전기 유보금이 당기 인적 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급여에 대한 투자보다는 교육훈련비 및 복리후생비에 대한 투자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에서는 제조업, 도소매업, 정보서비스업, 운수업, 기타 업종에서 전기 유보금이 당기 배당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배당률에 대한 지출보다는 배당금에 대한 지출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공헌점은 전기 유보금이 당기 투자 및 배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업종별로 구분하여 그 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본 논문의 한계점으로는 정확한 세무자료의 수집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회귀분석 결과 나온 계량 적인 결과물들이 과연 정부의 정책 효과를 어느 정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 그 기준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국내외 경제 및 경영 환경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에 대해 정부가 어떤 정책을 추진해야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지 그 연구도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경영자 보유 스톡옵션 가치가 기업의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nagers' stock-option value on corporate payout polish)

  • 신성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217-239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상장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가 보유하고 있는 스톡옵션 가치에 따라 배당정책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경영자에게 지급된 스톡옵션 보상의 크기를 블랙-숄즈 모형을 통해 그 가치를 측정하고 이들이 기업의 배당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184개 상장기업 자료를 바탕으로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실증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 보유 스톡옵션 블랙-숄즈 가치와 자사주매입 비중 사이에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 보유 스톡옵션의 가치가 클수록 현금배당 보다는 자사주 매입 의사결정을 보다 선호한다는데 대한 실증적 증거라 할 수 있다. 둘째, 주식가격 1% 증감에 따른 경영자 스톡옵션 블랙-숄즈 가치 변화(델타)를 블랙-숄즈 모형을 주식가격으로 편미분 하여 측정하고, 그 크기가 기업의 배당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앞의 결과와 동일하게 자사주매입 비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경영자에게 부여된 스톡옵션 보상이 기업 전체의 대리 비용을 줄이고, 주주와 경영자 간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킬 수 있는 효율적 관리통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지만, 역으로 경영자가 스톡옵션 보상 크기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자신에게 유리한 배당정책을 추구할 수도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있다.

  • PDF

단위비율 결정 맥락 문제에서 피제수와 제수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Dividend and Divisor in Context of Determination of a Unit Rate Problem)

  • 김정훈;정상태;노은환;김선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3-217
    • /
    • 2019
  • 연구자는 단위비율 결정 맥락 문제에서 식을 세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한 학생을 발견하였다. 한 학생의 사례와 살펴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단위비율 결정 맥락 문제에서 학생들이 나눗셈식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사용하는 피제수와 제수 선택의 방법이 무엇인지, 그러한 방법은 어떻게 알게 된 것인지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검사 문항을 만들어 연구 대상자에게 투입하였다. 이후 응답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피제수와 제수 선택 방법과 그에 따른 인지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한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피제수와 제수 선택의 어려움이 다수의 문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면담 대상자 중 일부는 피제수와 제수를 선택하는 나름의 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선택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비율 결정 맥락 문제에서 피제수와 제수를 왜 그렇게 선택하는지, 표현된 식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강조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으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한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한국기업의 배당과 투자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 연구 (The Impact of Foreign Ownership on the Dividend and Investment Behaviors of Korean Firms)

  • 강신애;민상기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2호
    • /
    • pp.79-105
    • /
    • 2010
  • 본 논문은 외국인투자자가 국내 기업의 배당과 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2001년에서 2008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외국인투자자의 경우 배당성향을 증가시켰으나 이러한 경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되었다. 또한 투자목적을 구분한 경우 기업의 배당성향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이 증가할 경우 고정자산증가율과 유형자산증가율로 본 설비투자는 감소하였으며 5%이상 외국인 투자자와 경영참가목적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연구개발비율에서 유의한 양(+)의 계수값을 보였다. 또한 5%이상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은 경영참가목적 외국인 투자자에 의해 주도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과 기업의 배당 의사결정 간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HT-IV/GLS 방법을 선택한 결과와 회귀분석, 고정효과 모형 간에 계수 값의 크기와 유의성에 차이가 있어 내생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었다.

Pring Fixed-Strike Lookback Options

  • Lee, Hangsuc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1권2호
    • /
    • pp.213-225
    • /
    • 2004
  • A fixed-strike lookback option is an option whose payoff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or minimum) price of the underlying asset within the option's life. Under the Black-Scholes framework, the time-t price of an equity asset follows a geometric Brownian motion. Applying the method of Esscher transforms, this paper will derive explicit pricing formulas for fixed-strike lookback call and put op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paper will show a relationship (duality property) between the pricing formulas of the call and put options. Finally, this paper will derive explicit pricing formulas for the fixed-strike lookback options when their underlying asset pays dividends continuously at a rate proportional to its price.

계측시스템 GPIB 인터페이스의 H/M 및 S/W개발 (H/W, S/W Developments of GPIB Interface for Measurement Systems)

  • 나승유;최완규;박민상;배희종;조강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144
    • /
    • 1999
  • GPIB-based measurement applications are common in every field of multi-instrument environment. Also personal computers and workstations play a key role in measurement ability to create cost-effective instrument control solutions. For simple data acquisition systems which are automated by GPIB interface, standard GPIB controllers add a little burden to the budget for DAQ. In this paper, we provide software and hardware construction methods for cost-effective custom-made GPIB controller boards both for controllers and instruments. This way of tailored configuration to suit a particular application of GPIB-based instrument control solution pays dividends in cost and flexibility for data processing management.

  • PDF

기업의 소유권구조가 배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Ownership Strucrure on Dividend)

  • 김형준;이재범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9권37호
    • /
    • pp.187-194
    • /
    • 1996
  • Firms pay cash dividends to reduce the agency costs, and then insider stock ownership affects the dicision of dividend payout ratio. In this study, it is tested that firm's insider stock ownership affects the decision of dividend payout ratio, but the relation between dividend payout ratio and insider stock ownership is nonmonostic. The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at low levels of insider stock ownership,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stock held by insiders decreases dividend payout ratio, but beyond the point of entrenchment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stock held by insiders increases dividend payout ratio. Thus, the dividend payout ratio and the percentage of stock held by insiders are in a parabolic relation. This implies that there may be a optimal insider stock ownership In lead to the minimun dividend payout ratio.

  • PDF

Issuance of Stock Dividends or Bonus Shares: A Case Study of Carlsberg Brewery Malaysia Berhad

  • BANERJEE, Arind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3호
    • /
    • pp.319-326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ecific and conclusive reasons why a company issues bonus shares, as well as the rationale and the best timing for bonus share issuance. The study examines Carlsberg's annual reports from 1988 to 2004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bonus share payments and timing. Examine supporting evidence from other businesses as well. An analysis of Carlsberg Brewery Malaysia Berhad's bonus shares granted from its inception to 2004 found that the announcement of bonus shares would increase the company's share price. As a result, the findings suggest that bonus shares are issued to correct market asymmetry. This research supports the idea that issuing bonus shares would increase the stock price, resulting in increased liquidity. Hence, companies issue bonus shares to boost their liquidity and to convey private positive information to their shareholders. This research adds to the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timing and key features of bonus share issuing. It implies that dividend policy should be customized to market imperfections. As a result, dividend policies would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organizations based on the weights each of the imperfections has on the firm and shareholders.

주식시장 상황별 외국인 투자 성향과 배당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ndency of Foreigners' Investment and Dividends in the cases of Hot and Cold Markets in Korea)

  • 김태근;김도관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71-181
    • /
    • 2013
  • 기업의 배당정책과 외국인 지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변수 간의 관계가 논의 되어왔다, 그러나 주식시장의 침체 및 상승에 따른 배당정책과 외국인 지분 간의 관계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주식시장의 침체와 상승에 따라 외국인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변수의 관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더불어 외국인투자와 배당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최근 주식시장의 침체와 상승기를 나타내는 2008년과 2010년을 기준으로 하여 배당을 실시하고 외국인 지분이 존재하는 12월 결산 상장된 318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상승시장과 침체시장에 따라 변수 간 관계의 차이가 나타나는 변수와 시장의 상황과 상관없이 일정한 관계를 보이는 변수들의 관계가 나타났다. 먼저 외국인 지분과 배당, 시장가치 및 부채와 외국인 지분과의 관계는 시장의 상승과 침체에 상관없이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인 변수 간의 관계로는 현금흐름과 외국인 지분의 관계가 주식시장의 상승기에만 유효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외국인 지분과 배당수익률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연구 모형의 변수 간의 관계가 상승시장에서 더 강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 PDF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배당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다양한 계량경제모형의 적용 (Foreign Stock Investment and Firms's Dividend Policy in Korea)

  • 김영환;정성창;전선애
    • 재무관리연구
    • /
    • 제26권1호
    • /
    • pp.1-29
    • /
    • 2009
  •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의 국내 상장기업에 대한 지분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외국자본은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과도한 배당을 요구하고 경영권을 위협함에 따라 기업들은 자사주 매입에 치중하여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는 부정적 시각의 주장이 사회적 논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주장의 사실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당수의 연구가 외국인 지분이 배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들 선행 연구가 기업의 고유효과를 통제하지 못하거나 변수들 간의 역인과 관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등 분석방법론적 측면에서 한계점을 갖으며, 배당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들도 각기 상이하여 분석 결과를 비교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당을 측정하는 변수로 배당성향(현금배당/당기순이익), 배당률(현금배당/총자산), 그리고 배당수익률(현금배당/시가총액) 등 세 가지 변수를 대상으로 정태적 동태적 패널모형, 패널 벡터자기회귀모형 등 다양한 패널자료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 지분이 배당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배당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지분의 증가가 총자산 대비 배당액을 증가시키나, 이는 기업이 창출한 수익에 대하여 배당을 증가시킨 것과는 무관한 것이다. 또한, 배당수익률은 시가기준으로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한 뒤 실질적으로 얻게 되는 배당수익률을 의미함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단기적 이익에 집착하여 고배당을 유도한다는 주장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지분이 배당수익률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야 하나, 분석 결과는 오히려 반대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지분의 증가가 고배당을 유도하였다는 주장을 지지하지 않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