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ed Ledger System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강화 방안 (Security Enhancements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ystems Based on Open Source)

  • 박근덕;김대경;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919-943
    • /
    • 2019
  • 4차 산업 혁명 관련 신흥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분산원장기술은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또는 분산원장기술 플랫폼)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 개발 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보안 기능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 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국내 법규 및 보안 인증 기준(ISMS-P,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Privacy)을 분석하여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기능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그리고 국제 표준인 공통평가기준(CC, Common Criteria)의 보안기능 컴포넌트 분석을 통하여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에 필요한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서 보안을 강화하고자 한다.

분산 원장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에 대한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Countermeasures against Security Threats to Online Voting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박근덕;김창오;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201-1216
    • /
    • 2017
  • 최근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분산 원장 기술(예: 블록체인)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현재 널리 보급된 정보통신 인프라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대한 잠재적인 보안 위협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원장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 온라인 투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정보보호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서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troducing Contemporary Blockchain Platforms

  • Alrumaih, Malak Sulim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4호
    • /
    • pp.9-18
    • /
    • 2021
  • Blockchain and its infrastructure technology have expanded rapidly in the last decade and are in high demand, but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studies on those platforms. Blockchain is a new technology based on the distributed digital ledger system. Decentralized trust is one of the key factors behind the blockchain-based system. Transparency of such a system is better than a conventional centralized ledger system. By using a blockchain-based transaction system, any business organization can harness key benefits like data integrity, confidentiality, and anonymity without involving any third party in control of the transactions. Since the blockchain is used in numerous applications and the horizon is expanding at an unprecedented pace. So, there is a need for an introducing and reviewing of blockchain platforms. In this paper, we have reported a review on existing contemporary blockchain platforms. In particular, From the existing studies, we have identified eighty blockchain platforms and the majority of them have a lack of technical details. To provide the researchers a comprehensive introducing on blockchain platforms to perform a broad guideline for future research and investment in the blockchain domain.

건강정보에 대한 블록체인 기술 응용: 블록체인 기술은 글로벌 건강 정보 이슈에 대해 만병 통치약이 될 수 있는가? (Blockchain technology usage on health equity: Is Blockchain technology a panacea for global health equity issues?)

  • 자야 수흐바트;최재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7-201
    • /
    • 2018
  •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of Blockchain technology in enabling a panacea for health equity. Since Satoshi Nakamoto first described Blockchain technology in 2008 pseudonymous paper, that distributed ledger system is empowered and ranging from finance to law to another sector and beyond. Also impacting healthcare sector and life science. In other words, there are many usage cases being researched in healthcare and Blockchain has shown its considerable special side in recent years. But this paper aims to the distributed ledger that is the special side of Blockchain technology is potentially can panacea for some global health equity issues such as patient data, counterfeit drug and hospital payment management.

분산원장기술과 암호화폐시장 잠재력지수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nd Cryptocurrency Market Potential Index)

  • 케빈 응우옌;오정훈
    • 정보화정책
    • /
    • 제27권2호
    • /
    • pp.20-39
    • /
    • 2020
  • 본 논문은 분산원장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암호화폐시장 잠재력지수를 개발하였다. 이 지수의 최대장점은 암호화폐의 개발과 실행 그리고 확산에 이르기까지 암호화폐시장의 전반적인 잠재력을 측정,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암호화폐시장 잠재력지수의 개발과 측정을 위하여 요인분석기법을 이용한 213개 국가의 30개 변수를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암호화폐의 분권화에도 불구하고 그 잠재력은 유럽, 북미, 아시아에 속한 일부 선진국, 그리고 일부 중동국가와 구 소련의 독립국가연합에 집중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는 암호화폐시장의 발전을 위해서 암호화폐의 확산 이전에 개발과 실행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탈중앙화 MSR 환경에서의 웹 브라우저 기반 글로벌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검색 시스템 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Web-browser-based Global e-Navigation Service Discovery System for Decentralized Maritime Service Registries)

  • 정진기;안영중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01-508
    • /
    • 2022
  • 세계 디지털화의 흐름이 경제, 신원 인증, 물류 분야 등에서 블록체인 혹은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시스템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이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접근성에 있어서도 탈중앙화된 여러 해사 서비스 레지스트리(MSR)들로부터 공개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MSR 분산원장과 다수의 지역 MSR로 구성된 탈중앙화 MSR 환경을 기술하고, 이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 기반의 글로벌 이내비게이션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동적으로 서비스 속성, 지역 정보, 자유 텍스트 검색 질의를 생성하여 MSR 분산원장에 등록된 검색 결과를 통해 유관 MSR과 서비스 접속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연구에선 구축된 탈중앙화 MSR 환경과 그 환경 내에서 서비스 검색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실험하였고 이를 통해 가지는 장점 및 한계점에 대한 논의를 갖는다.

랜섬웨어 방지를 위한 블록체인 활용 모델에 대한 설계 (Design of Blockchain Model for Ransomware Prevention)

  • 안정현;김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4-316
    • /
    • 2017
  • 금전적 수확 등의 목적으로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컴퓨터 및 파일을 잠근 후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 랜섬웨어(Ransomware)의 진화가 계속될 전망으로, 메일 시스템에서 업무정보를 주고 받는 기업의 생존권에 있어 랜섬웨어는 위협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위협에 있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인 블록체인(Blockchain)을 활용하여 랜섬웨어 이상징후 데이터로써 자동 생성되는 블록을 기업 내 보안정책에 바로 연계되도록 하여 메일 시스템에서의 랜섬웨어를 사전방지하는 블록체인 모델을 설계한다.

  • PDF

A Study on the PSP-Platform for the Atomicity of Distributed Ledger

  • Lee, Eun-Hee;Yoon, Yong-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3-80
    • /
    • 2019
  • In Korea, a budget of tens of trillion won is put into the national R & D project every year. Thanks to these efforts, Korea's ICT industry is gaining global attention. However, there are still a lot of problems that are lacking in terms of the cycle of managing national ICT R&D projects. In particular, the issue of sharing is very insufficient throughout the cycle of the national ICT R&D.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platfom that can be shared throughout the cycle of managing blockchain-based national ICT R&D projects. This platform we call the Perfect Sharing Project Platform (PSPP). We describe that PSPP can achieve excellent research results through information sharing of project process[1-2]. To support the perfect sharing, this platform uses a new notion of consensus algorithm, called POA (Proof of Atomicity). This platform is suitable for sharing informa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참조모델 (A Reference Model for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 Using Block Chain)

  • 선종철;김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11호
    • /
    • pp.281-288
    • /
    • 2018
  •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곳에 보관하는 분산원장을 특징으로 갖는 블록체인은 보안성과 안정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술적 특징을 가지며, 이로 인해 블록체인의 활용처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적장부의 하나인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기 위해 고려할 사항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시스템 구성 방안과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참조 모델을 제시한다.

분산 원장 기반의 개인 주도적 건강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a Personal-Led Health Data Management Framework Based on Distributed Ledger)

  • 문준호;김동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3-86
    • /
    • 2019
  • 4차 산업 혁명이 시작되고 헬스케어 분야 역시 신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중 블록체인 기술은 의료 분야에서 큰 관심을 갖는 기술 중 하나이다.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하여 시장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 분야 역시 블록체인 기술의 접목을 통해 시스템의 발전과 시장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의 상위 개념인 분산 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 주체가 개인 건강 데이터에 대한 온전한 소유권을 확보할 수 있는 개인 주도적 건강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프레임워크의 설계를 위해 컨소시엄 블록체인 중 하나인 R3 Corda의 구조를 참고하였으며, 개인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에 노드를 운용할 수 있도록 기존 블록체인과 다른 네트워크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주체가 직접 자신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허가된 네트워크 구성원들에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의료 산업의 정보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 기술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