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osal area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6초

저궤도 위성의 폐기기동 계획 연구 (A Study of the Disposal Maneuver Planning for LEO Satellite)

  • 성재동;김해동;최하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2-3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위성의 한 예제로써 우주파편 완화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아리랑 2호 위성의 폐기기동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상용소프트웨어인 STK$^{(R)}$와 ESA의 우주파편 분석 툴 DRAMA를 사용하였으며, 가이드라인 규정 중 '25년 규정'을 만족하는 적정 폐기고도를 산출하였고, 아리랑 2호 위성의 비제어 재진입을 가정하여 내부부품의 생존률 및 지상피해면적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제어 재진입 시 내부부품의 생존을 가정했을 때 다양한 초기궤도 오차를 수렴할 수 있는 적정 재진입 초기궤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리랑 2호 위성은 '25년 규정' 만족을 위해 최소 43km에서 최대 105km의 고도하강이 필요하며, 비제어 재진입 시 질량이 큰 물체나 내열성이 강한 부품이 생존하여 $4.3141m^2$의 피해면적을 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진입 초기궤도의 승교점경도를 129도로 설정했을 때 일정수준의 오차를 포함하더라도 가이드라인 기준을 만족하는 인명 피해확률을 보여주었다.

구획정리사업 부지내의 제척지 주거환경 실태 - 대구시를 중심으로 - (The Living Environments of Leave-out lands i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 Focused on Daegu City -)

  • 김한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9-125
    • /
    • 2005
  •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guidelines for leave-out lands i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For this purpose, physical conditions which affect living conditions were surveyed. The findings are follows. First, the living conditions in the lands are low with shortage of parking space and green area, narrow and low-performance road conditions, disordered fence and roof. Furthermore, illegal waste disposal made the condition even worse. Second, it is desirable to make separated plan for the leave-out lands because they have quite different living conditions from those of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Third, it is suggested that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law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eave-out lands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planning obligations for the leave out land should be imposed on land developers.

농촌 중.소 하천 및 저수지 퇴적물의 오염현황 (A Study on the Degree of Pollution of Stream and Reservoir Sediments in Rural Area)

  • 장병욱;우철웅;김성필
    • 농촌계획
    • /
    • 제9권2호
    • /
    • pp.1-6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ollution of sediments of stream and reservoir in rural area. A series of field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for Kyongki-do area and chem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ediment samples. It was found that some samples were heavily polluted with phenol and TPH and gave off a malodor. Soil Pollution Scores(SPSs) was determined for sediment samples. Some samples were classified to Soil Pollution Class(SPC) 2 and 3. For recycling and disposal of dredged sediments from stream and reservoirs, these polluted sediment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perations of rural area, the degree of pollution of sediments of stream and reservoir are carefully investigated and suitable counterplan must be established.

대구경북 치과위생사들의 치과재료에 대한 유해정보 소통 실태 (Hazard Communication of Dental Materials for Dental Hygienists in Daegu or Gyeongsangbuk-do Province Area)

  • 김해경;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6-515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tus of hazard communication regarding dental materials among dental hygienists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North Gyeongsang-do Province area. Materials: A total of 310 dental hygienists were survey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hazard communication on dental materials and information needs. We collected instructions for use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s) for 67 dental materials frequently used at dental hospitals located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North Gyeongsang-do Province area. Results: The questionnaire surveys showed that only 11% of the 310 dental hygienists had knowledge of MSDS and 46.8% of respondents never read instructions for use before using materials. Just 7.4% of dental hygienists have undergone training on hazard information for dental materials. In particular,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had significantly lower response rates on knowledge of MSDS(p<0.001), reading of instructions for use(p=0.042) and training on the hazard information of dental materials(p=0.004) than those in dental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The essential information most desired by dental hygienists was hazard identification(82.3%) followed by first-aid measures(53.9%), handling and storage(51%), disposal considerations (49%) and toxicological information(47.1%). All dental materials were on foreign products which came from Japan(59.7%), the USA(26.9%) and Liechtenstein(13.7%). In terms of usage, 56.7% of dental materials were prosthetic, followed by conservation(31.3%), orthodontics(9%), and prevention(3%). We found that dental hygienists had accessed MSDSs for only five dental products among the 67 dental materials. The instructions for the use of the 67 dental materials provided hazard identification(64.2%), first-aid measures(83.6%), handling and storage(97%), disposal considerations(20.9%) and toxicological information(26.9%).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azard communication system for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should be improved.

초등학교 과학실에서 발생하는 화학폐기물에 대한 실태 (A Status on the Chemical Wast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 김성규;허승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awareness of chemical waste produced in elementary school laboratory experimentation and how this awareness relates to collection and disposal of chemical waste. More specifically, the study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ndling of chemical waste and factors such as years of teachers’ educational career, class size and amount of waste produced. The target population were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nam area and 237 subjects were responded. Among the 237 responses, 37 cases that did not complete the questionnaire were eliminated. Therefore, 200 respons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questions. The categor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their skills of management and treatment of the chemical wast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10.0,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such as class size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also analyzed by $x^2-test.$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years of teaching and class sizes in the training experience of chemical waste disposa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ience laboratory size and class sizes in the laboratory actual condition. In addi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times of experimentation and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n terms of the discharge amount of chemical wast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ears of teaching and class sizes. Fourth, in the simple chemistry waste disposal process in the science laboratory, there also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inds of experimental equipments that used in the experimentation and the years of teaching. Based o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reat amount of the chemical wastes produced in the science laboratory dumped into the drain and the treatment process of chemical waste was also inattentive. Eve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the basic problems occurred in the science laboratory is disregarded. Therefore, not only students but teachers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disposal process of chemical waste in the laboratory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 pollution. Furthermore, the efforts of preventing environment pollution are needed such as opening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bout environment education, minimal use of chemicals, treatment of chemical waste, and so forth.

벤토나이트와 방사성 핵종의 열역학적 수착 모델 연구 (Review of Thermodynamic Sorption Model for Radionuclides on Bentonite Clay)

  • 황정환;김정우;한원식;윤원우;이지용;최승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5호
    • /
    • pp.515-532
    • /
    • 2023
  • 벤토나이트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심층처분 시스템에서 처분용기와 암반 사이를 메우는 완충재로 고려되는 팽창성 점토이다. 벤토나이트는 높은 양이온교환능과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분용기로부터 핵종이 누출될 경우, 수착하여 암반으로의 유출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8종류의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여 수행된 U, Am, Se, Eu 핵종의 수착실험 및 모델 자료를 취합하고, 각 연구에서 설정된 실험 조건들을 기반으로 열역학적 수착모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핵종과 벤토나이트 간의 수착 거동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열역학적 수착모델은 벤토나이트의 광물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핵종 농도, 용액의 이온강도, 주 양이온, 온도, 고액비, 용존 탄산 농도 등 세부적인 실험 조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실험 조건에서 수행된 수착실험 및 모델의 최적화로 제안되는 수착 반응식과 반응상수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적용하기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심층처분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열역학적 수착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장 조사 및 실험이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지표 조사를 이용한 KURT 주변 지역의 지질모델구축 (Construction of the Geological Model around KURT area based on the surface investigations)

  • 박경우;고용권;김경수;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91-205
    • /
    • 2009
  •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부지특성평가 기술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심부지질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1997년부터 지금까지 한국원자력 연구원 주변 지역을 고준위폐기물처분을 위한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지질 관련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2002년에는 고준위폐기물의 처분 대상 심도의 시추공 (지하 500 m)을 굴착하였으며, 2006년에는 지하처분연구시설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을 준공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심부지질환경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지하처분연구터널의 좌측 연구용 모듈 내에 500 m 길이의 장심도 시추공 및 지하처분연구시설에서 남쪽으로 약 200 m 이격된 위치에서 1,000 m의 장심도 시추공에서 다양한 부지특성평가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고준위폐기물의 심지층 처분을 위한 요소기술인 심부영역의 부지특성평가기술을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수리지질학적인 관점에서 부지특성평가의 기본 모델이 되는 3차원 지질모델을 구축한 내용이다. 연구지역에서 수행된 지표 지질 조사와 시추공 자료를 이용하여 종합 분석한 결과, 수리지질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풍화대, 상부 저경사단열대, 심부 영역에 존재하는 결정론적 단열대를 규명하여 3차원으로 모형화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지질요소의 수리지질특성을 평가하여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 분야에 중요한 기술인 심부 영역의 수리지질환경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 PDF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를 위한 유성지역 화강암내 심부 시추공 단열충전광물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Fracture-Filling Minerals from the Deep Borehole in the Yuseong Area for the Radioactive Waste Disposal Project)

  • 김건영;고용권;배대석;김천수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9-114
    • /
    • 2004
  •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연구와 관련하여 대전 유성지역 화강암내 심부시추공 시추코아의 단열 광물들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성지역의 심부시추공들에는 다수의 단열대가 발달해 있으며 국지적인 열수변질작용이 중첩되어 있다. YS-01 시추코아에 대한 전암분석결과 -90 m∼-130 m 구간과 -230 m ∼-250 m 구간에서 급격한 $SiO_2$ 함량 감소와 $_Al2$$O_3$, CaO, L.O.I 값의 증가가 관찰되며 이는 단열충전광물의 생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단열충전광물에 대한 XRD분석결과 불석광물(로몬타이트, 휼란다이트), 방해석, 일라이트($2M_1$$1M_{d}$ 다형), 녹니석, 녹염석, 카올리나이트 등이 확인되었으며, 산출되는 양은 방해석 불석광물 > 일라이트 > 녹염석 녹니석 > 카올리나이트의 순이다. SEM관찰 및 EPMA 분석결과, 단열충전광물들의 심도에 따른 조직 및 화학특성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연구지역은 화강암반내에 발달된 단열대가 지하수의 유동로로 작용하여 오랜 기간에 걸친 물-암석 반응이 진행되었고, 또한 저온의 열수변질작용이 중첩되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단열충전광물의 생성기원 연구가 필요하다.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소요기간의 영향요인 - 사업구역과 경제적 및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 Based on the Project Area, Economic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

  • 이재원;배상영;정보선;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61-68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시화율이 높아지고 도심 내 노후·불량 주거지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정비사업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가운데 장기간의 사업기간을 소요하는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전권역의 2005년 이후 사업구역으로 지정되어 관리처분계획인가까지 완료한 사업구역 중 데이터 구성이 가능한 75개 사업구역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구역지정부터 관리처분계획인가까지 소요된 기간을 종속변수로 하여, 재개발사업구역의 특성과 경제적 특성, 입지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헤도닉가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업구역 규모가 작을수록, 조합원 1인당 차지하는 구역면적이 클수록, 지가변동률이 클수록, KOSPI 지수가 작을수록 소요기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업구역의 규모를 고려한 특성 변수와 사업 진행 시기의 경제적 특성, 입지적 특성을 모형으로 하여 사업의 소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의 사업구역 설정 시 사업구역 면적과 조합원수, 경제적 상황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시행자와 시공자, 금융기관 등의 사업참여자와 이를 관리하는 지자체 관계자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입지선정에 있어서 ′도우넛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oughnut Effect′in Siting A Nuclear Waste Repository)

  • 김지용;최기련
    • 에너지공학
    • /
    • 제6권2호
    • /
    • pp.220-229
    • /
    • 1997
  • 본 연구이전에 다양한 몇몇 연구를 통하여 울진원전 인근주민들에게서 '도우넛효과'의 발생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판단을 기초로 본 연구이전에 수행된 몇몇 연구결과를 검토하여 울진원전 인근주민에게서 '도우넛효과'의 발생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해당지역에 대한 직접면접과 분석을 통하여 '울진원전 인근지역'에서 도우넛효과를 활용한 시설입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에 있어서 '도우넛효과'를 활용한 사전연구의 유용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