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ney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4초

스토리텔링 내부의 캐릭터 변용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Character Modification in Animation Storytelling : Comparative Analysis on )

  • 권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5호
    • /
    • pp.1-39
    • /
    • 2011
  • 새로우면서도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의 아이디어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작품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디즈니에 관한 연구가 끊임없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디즈니의 스토리텔링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 기반을 두고, 캐릭터라는 특정한 관점에서 원전에 해당되는 "목란시"와 <뮬란>을 비교함으로서 캐릭터가 변용을 확인해보았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면 "목란시"와는 달리 <뮬란>에서는 캐릭터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로 캐릭터의 창조적 추가와 삭제가 있었다. 삭제된 캐릭터는 적지만 창조된 캐릭터는 많은 숫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창조는 현실적 캐릭터의 창조, 비현실적 캐릭터의 창조, 그리고 현실적 존재지만 비현실적 성격의 캐릭터라는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캐릭터의 성격의 변형이다. "목란시"와 비교해볼 때 이런 특징을 보여주는 캐릭터는 뮬란에만 제한되고 있다. 뮬란은 목란과는 달리 남성적 적극성과 여성적 순응성이라 는 이중적 측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두 가지 특징을 통해 제시된 캐릭터는 서사 구조에서 필요에 따라 특정 부분에 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는 창조된 캐릭터와 변형된 성격의 캐릭터를 통해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주어진 역할에 따라 혈연적 성격의 1차적 집단에 속하는 캐릭터와 사회조직성격의 2차적 집단에 속하는 캐릭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 구조 내에서의 캐릭터의 변용은 디즈니가 스토리텔링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원전에 비해 좀 더 탄력적인 서사 운영을 위해 사용되었던 것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의 도출은 특정 작품 사례에 대한 집중분석을 통해서 스토리텔링 전략의 실질적 활용을 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지만, 디즈니의 다른 작품을 통해서 유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를 좀 더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스토리텔링에서의 조명과 배경음악의 역할 분석 -디즈니 단편 애니메이션 <페이퍼맨>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oles of Lighting and Background Musik for Storytelling - a Case Study of Disney's Short Animated Film )

  • 박은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988-995
    • /
    • 2015
  • In 2013, Academy Award for Best Animated Short Film was granted to Walt Disney's short animation, (2012). With various aspects of its excellence, I focus on the very effective use of digital lightings and underscores for storytelling as its success factors. In this respect,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roles of the visual factors, especially tone, contrast, etc. created by lightings, and audio factors, especially underscores, in the film's story development. I find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the well-built story structure with distinct three acts. The main stream of the story is expressed with the overall mood that is created by the fine adjustments of brightness of the main light, and contrast. And the direc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ing successfully describe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each scene. In addition, I find that properly chosen and positioned underscores make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more dynamic and more harmonized.

3D캐릭터 디자인의 시각적 재미 요소 분석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Interesting visual element analysis of 3D character design - Based on the animated Disney -)

  • 김휘;이종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4호
    • /
    • pp.163-181
    • /
    • 2016
  • 3D 애니메이션이 점점 추세가 되어가는 이 시대에 2016년 흥해한 작품 <주토피아>에 대한분석을 통해 이 작품에서 시도한 새로운 변화와 요소들이 그 작품의 흥행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였고 어떠한 표현들이 이 시대에 적합한 표현방식인가를 초점에 맞추어 작품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조형적 의미와 상징 그리고 캐릭터 동작과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한다면 그 재미도 배로 즐길 수가 있다.

영상 언어로써 이북(e-book)의 몽타주 패턴 (Analysis of Montage Pattern of e-book as a Film Language)

  • 신승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16-1224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montage pattern of e-book in a bid to include e-book in the film language system. To this end, this study targeted three pieces of e-books which reproduced the animation for theater use of Disney Company. This study did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montage in films, and kinds of film vectors, and defined it as 'Montage of Experience' according to media characteristics of e-book. This study deducted the montage pattern of 3 sorts of classification, and 10 sorts of detailed classification by doing research on the analysis objec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pioneers a new perspective in e-book research which has been biased towards a functional perspective. Analysis of the point of contact where the existing visual media, and new media meet with each other could be a driving force promoting the growth of the relevant industry, and this study thinks that the analysis of the point of contact is the research which is helpful to working out qualitative improvement of e-book contents.

Themes and Culture Concepts in Disney's "Mulan": The Evolution from Chinese "Imagery" to Postmodernism

  • Yang, Hua;Choi, Dong-Hyuk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57-1467
    • /
    • 2022
  •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culture is established through a shared focus on people's lives. Culture changes at different times, which makes a dynamic and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culture. Understanding this relationship helps to provide better support for current filmm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macro issue of film and cultur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theme and culture concept. To this end, we used a case study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mes and culture concepts in Disney's Mulan (1998, 2020) through literature and analyses of culture concepts (Chinese "imagery" and Postmodernism). The study concludes that, "Culture assemblage" and "Vision is king" have become cultural trends that influence the creation of film theme and style to a certain extent; how to bal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idea of film theme and the external forms is an important issue in current filmmaking. The article contributes to promote thinking about culture in film creation, and its research perspective on different cultures and histories is innov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