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lodging forc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SLODGING FORCE OF MAGNETIC ATTACHMENT TO THE DENTURE RESIN BY MAGNETIC DESIGN AND FIXING MATERIALS

  • Lee, Jung-Hwa;Lee, Jong-Hyuk;Cho, In-H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61-268
    • /
    • 2008
  • STATEMENT OF PROBLEM: Detachment of the magnetic assembly from the denture base has been a problem in magnetic overdenture patients.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dislodging force by the fixing materials and the designs of the magnetic assembly, and to compare the effect between the fixing materials and the designs of the magnetic assembly. MATERIAL AND METHODS: Two fixing materials, Jet denture repair $acrylic^{(R)}$ and Super-$Bond^{(R)}$ C&$B^{(R)}$ and two types of magnetic assembly designed with or without wing were used. Each magnetic assembly was fixed in the chamber of the denture base resin block ($Lucitone^{(R)}$199) with each fixing material respectively. Thes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2,000 cycles in the water held at $4^{\circ}C$ and $60^{\circ}C$ with a dwell time of 1 min each time. Each specimen was seated in a testing jig and then a push-out test was perform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 head speed of 0.5 mm/min to measure the maximum dislodging forces. RESULTS: Comparing the fixing materials, Super-Bond C&$B^{(R)}$ showed superior dislodging force than Jet denture repair $acrylic^{(R)}$. Comparing the design of the magnetic assemblies, the wing design magnetic assembly showed better dislodging force. Combination of the Super-Bond C&$B^{(R)}$ as a fixing material and wing design magnetic assembly revealed a greatest dislodging force. The kind of fixing material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type of magnetic assembly. CONCLUSION: The dislodging force of Super-Bond C&$B^{(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Jet denture repair $acrylic^{(R)}$. And the dislodging force of magnetic assembly which have wing desig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gnetic assembly which have no wing design.

The influence of the number and the type of magnetic attachment on the retention of mandibular mini implant overdenture

  • Lee, Eunjee;Shin, Soo-Ye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1호
    • /
    • pp.14-21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tention of mini implant overdenture by the number, the type of magnetic attachment, and the directions of applied dislodging force.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signed by the number and type of magnetic attachment. Twenty samples were tested with Magden implants. Each attachment was composed of the magnet assembly in overdenture sample and the abutment keeper in a mandibular model. Dislodging forces were applied to the overdenture samples (50.0 mm/min) in 3 directions. The loading was repeated 10 times in each direction. The values of dislodging force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at 95% level of confidence. RESULTS. The retentive force of group 2 was greater than that of group 1 in both types of attachment in every direction (P < .05). Oblique retentive force of flat type magnetic attachment was higher than that of cushion type attachment in both groups (P < .05). In group 1, oblique retentive force showed the highest and anterior-posterior retentive force showed the lowest value in both attachment types (P < .05). In group 2, both types of attachment showed the lowest retentive force with anterior-posterior direction of dislodging force (P <.05). CONCLUSION. Proper retentive properties for implant overdenture were obtained, regardless of the number and type of magnetic attachment. In both types of magnetic attachment, the greater retentive force was attained with more implants. Oblique retentive force of flat type magnetic attach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cushion type. Among all subgroups, anterior-posterior retentive force was the lowest among three different directions of dislodging force.

편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의 의치상에 이탈력이 가해질 때 간접유지장치가 장착된 치아 주위조직에 발생하는 응력에 관한 광탄성 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LYSIS IN THE SURROUNDING TISSUES OF TEETH SEATED BY INDIRECT RETAINERS WHEN APPLIED DISLODGING FORCES ON UNILATERAL DISTRAL EXTENTION PARTIAL DENTURES)

  • 손지영;이청희;조광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5-430
    • /
    • 1996
  • 하악좌측 제1대구치와 하악 좌측 제2대구치, 하악우측 제2소구치를 주지대치로 사용하고 하악우측 제1대구치와 하악 우측 제2대구치가 상실된 Kennedy 분류 II급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 하악좌측 측절치에 incisal hook rest를 간접유지장치로 가지는 경운(Model I), 하악좌측 견치에 cingulum rest를 간접유지장치로 가지는 경우(Model II), 하악좌측 제1소구치에 근심교합면 레스트를 간접유지장치로 가지는 경우(Model III)의 모형에서, 상실된 하악우측제2대구치의 원심 변연융선에 해당하는 부위에 고리를 형성하여 교합평면에서 전상방 $45^{\circ}$ 각도로 860gm의 이탈력을 가하여 간접유지장치가 장착된 지대치와 양쪽 인접치 주위조직에 발생하는 응력을 비교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3가지 모형 모두에서 지대치의 치근단 부위보다는 치경부의 협측부위와 근원심 부위에 압축응력이 나타났다. 지대치의 설측 치경부에는 3가지 모형 모두에서 약한 인장응력이 나타났다. 협측부위의 압축응력의 크기는 Model I이 가장 컸고, Model II, Model III순으로 나타났다. Model I과 Model II에서 지대치의 근심과 원심 치경부에 압축응력이 나타났으며, 압축응력의 크기는 Model I이 Model II보다 더 컸다. Model III에서는 지대치의 근심치경부에서만 압축응력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압축응력의 크기는 Model I이 가장 컸고, Model II, Model III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편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 직접유지장치의 설계와 지대치 골흡수에 따른 간접유지장치 지대치 주위조직에 발생하는 응력분석 (ANALYSIS OF STRESS DEVELOPED WITHIN THE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TOOTH WITH INDIRECT RETAINER ACCORDING TO VARIOUS DESIGNS OF DIRECT RETAINER AND DECREE OF BONE RESORPTION)

  • 이석현;이청희;조광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0-165
    • /
    • 1998
  •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 of both direct retainer design and bony absorption degree around abutment of indirect retainer on the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of indirect retainer, dislodging force was transmitted to unilateral distal extension RPD bases. Analysis of stress distributed within the supporting tissue around abutment of indirect retainer was carried out. Using three-di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method and the conclusion is a follows. 1. According to the extent of force which the direct retainer of the most distal abutment tooth, the amount of force transmitted to the abutment tooth of indirect retainer was small. 2. Of all the cases, Mandibular first premolar which was used abutment tooth of indirect retainer, buccal, mesial and distal sides represented compression stress and lingual side represented tensile stress. 3. The more bone resorption of abutment tooth of indirect retainer, the more distortion of buccal and distal side of abutment tooth was existed and the extent of compression stress which was existed and distal side to abutment tooth was large. 4. When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abutment with indircet retainer is normal. The amount of force transmitted on abutment with indirect retainer was small in the order of Akers clasp, RPA clasp, RPI clasp. 5. When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abutment with indirect retainer has been absorbed 20% and 30%, the amount of force transmitted on abutment with indirect retainer was small in the order of RPA calsp, RPI clasp, Akers clasp. 6. When denture is displaced, shape of the direct retainer reciprocating abutment affect much the function of indirect retainer.

  • PDF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와 수에 따른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tention of Implant Overdentur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Number of Magnetic Attachment)

  • 서민지;이준석;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69-181
    • /
    • 2008
  • 치과용 자석의 개선으로 자성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사용이 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자성 어태치먼트가 개발되어 임상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시중에 판매되는 세 가지 형태의 임플란트용 자성 어태치먼트를 이용해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와 임플란트 수에 따른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립된 임플란트가 1개인 경우를 1군, 2개인 경우 2군, 4개인 경우를 3군으로 하였고,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따라 flat type, cushion type, dome type으로 세분하였다. Instron으로 수직방향, 사선방향, 전후방향의 인장력을 가하여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따른 유지력의 차이, 힘의 방향에 따른 유지력의 차이, 자성 어태치먼트의 수에 따른 유지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의 수와 상관없이 수직력은 flat type이 가장 컸으며, 측방력은 dome type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임플란트가 1개일 때 flat type의 수직력이 전후방회전력보다 크게 나타났고, 임플란트가 2개일 때는 dome type과 flat type이, 임플란트가 4개일 때는 cushion type과 flat type에서 수직력이 전후방회전력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임플란트 수에 따른 유지력 측정결과, 자석의 형태에 상관없이 임플란트 수가 많을수록 유지력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큰 유지력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flat type이, 유해한 수평력이 존재하는 환자에게는 dome type의 이용이 유리하고, 임플란트가 1개일 때 flat type, 2개일 때 dome type과 flat type, 임플란트가 4개일 때 cushion type과 flat type이 피개의치의 안정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상관없이 임플란트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 큰 유지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임플란트 피개의치 사용 시 적절한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 임플란트의 수와 자성 어태치먼트 형태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의치 접착제가 총의치의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enture adhesives on the retention of complete denture)

  • 윤유미;최유성;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3
    • /
    • 2010
  • 연구목적: 의치 접착제는 구강 내 의치 장착 시 유지에 도움을 주는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써 의치상과 점막 사이에 계면력을 증가시켜 유지를 향상시킨다. 이에 본 실험은 의치 접착제의 유지력을 생체 외 실험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으로 실리콘 무치악 모형과 레진 의치상 간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의치 접착제의 유지력을 비교, 평가하고 탈락력이 가해진 방향에 따른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두가지 의치 접착제로 POLIDENT$^{(R)}$와 COREGA$^{(R)}$를 사용하여 레진 의치상에 적용시키고, 실리콘 모형에 적합시킨 후 인스트론으로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인공타액으로 접착제의 농도를 점점 희석시켜 반복 측정하였고, 수직력, 측방력, 전후방력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1. 인공타액만을 사용한 대조군과 비교시 의치 접착제를 사용한 군에서 유의성 있는 유지력 증가를 보였다 (P<.05). 2. 희석횟수에 따른 비교 시 두 접착제 군에서 모두 1회 희석 시에는 희석시키지 않은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회, 3회, 4회 희석시킨 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3. 탈락 방향에 따른 비교 시 수직 방향의 탈락력이 가장 컸으며 전후방력, 측방력의 순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5). 4. 두 접착제 간의 접착력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접착제의 사용은 유지력 증가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직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저항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Hemi-Maxillectomy 부분무치악 환자의 Swing-Lock Attachment를 이용한 Obturator 수복 증례 (A case of Obturator using Swing-lock Attachment for Par tial Edentulous Patient with Hemi-Maxillectomy Patient)

  • 오병두;임종화;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2010
  • 상악의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로서 상악골 절제술이 시행되며 필연적으로 이것은 환자 구개부에 결손부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안모의 변형, 연하, 저작, 발음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악골 절제술 후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외과적 재건 또는 보철적 치료가 치료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상악골 절제술 환자에서 구강악안면 재건의 방법으로 구개폐쇄장치가 더 선호된다. 본 증례는 Aramany 분류 II급에 해당하는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구개폐쇄장치의 유지와 안정을 얻고 모든 기존의 금관수복물을 유지할 수 있는 swing-lock attachment를 사용하여 수복한 임상과정 및 결과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using suction mechanism: A case report)

  • 김현아;윤귀덕;조유진;양홍서;박상원;박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30-136
    • /
    • 2020
  •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제작은 연하나 저작 등의 운동 시 의치 내면의 음압이 형성되어 의치연 주변의 봉쇄를 이루어 유지와 안정을 향상시키고자 소개된 방식이다. 하악 흡착의치는 특히 변형되기 쉬운 후구치융기를 안정 상태에서 채득하여 개구 시 탈락력을 감소시킨다. 이 증례에서는 하악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통한 총의치 제작을 통해 의치의 향상된 유지력과 안정 및 환자의 만족도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