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infection

검색결과 957건 처리시간 0.028초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오존의 급성 독성 (Acute Toxicity of Ozone on Survival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흥윤;오명주;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41
    • /
    • 1999
  • 오존처리 해수중에 함유하는 잔류 옥시던트(TRO)가 양식 넙치의 생존, 혈액성상과 삼투질 농도, 산소소비 및 아가미 조직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조사하였다. TRO에 노출된 넙치의 48-hr 및 96-hr $LC_{50}$은 각각 26.4 와 22.3ppb이었고, 47ppb에서는 3시간 이내에 모두 치사하였으나 13ppb에서는 96시간 동안 폐사발생이 없었다. TRO 24~39ppb 농도범위에 노출된 넙치의 hematocrit, 헤모글로빈, 적혈구 수, 혈중 sodium과 chloride 이온 및 삼투압 농도는 TRO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아가미 조직은 아가미 상피층이 모세혈관으로부터 박리되고, 괴사와 상피새포의 증생이 관찰되었다. 산소소비율은 TRO 농도가 높고, 노출이 계속될수록 감소하였다. 13ppb에서는 아가미 조직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혈당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활성탄으로 TRO를 제거한 대조구에서는 오존의 독성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잔류오존에 노출된 넙치는 삼투질 농도의 생리적 불균형 및 아가미 손상과 상피세포의 증생에 의한 산소섭취 부족이 치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해산어 양식장에서 오존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존처리수중의 TRO는 제거하여야 하며, 비록 저농도라도 장기간 노출되면 양식어류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병원급식에 일반위생관리기준과 HACCP 제도 적용을 위한 시설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Hospital Foodservice Facility Plan and Model based on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and RACCP Guidelines)

  • 이정숙;곽동경;강영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7-492
    • /
    • 2003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stablish HACCP-based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conducting a plan review to build, or renovate, hospita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and ensure the safety of foodservice and reduce the risk of food borne illness.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d suggestion for the planning of hospital foodservice facilities: layout, design, equipment and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of a foodservice facility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literature reviews and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foodservice managers from 9 general hospitals. This was composed of operational policies in foodservices, layout characteristics, space allocation, selection, design, specification standards for equipment and the construction principles of foodservice facilities. 2) Two foodservice facility models were developed, one for general hospitals with 900 beds (2,000 patients and 2,500 employee meals per day) and the other for general hospitals with 300 beds (600 patients and 650 employees meals per day). 3) The suggested kitchen space requirements for the foodservice facility models were 341.2 ㎡ (W 17,100mm x L 23,700mm) and 998.8㎡ (W 35,600mm x L 32,800mm) for the 300 and 900 beds hospitals, respectively, with both designs being rectangular. The space requirements for the equipment, in relation to the total operational area, in terms of ratios were 1:3.5 and 1:3.8 for the 300 and 900 beds hospitals, respectively. The recommended space allowances per bed for the developed foodservice facility models were 1.15 ㎡ and 1.11 ㎡ for the 300 and 900 beds hospitals, respectively, which were increased by more than 30% compared to those suggested in the precedent study, and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ACCP system. 4) The hospital foodservice facilities plans and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guidelines and the HACCP system, and included foodservice facility layout, product flow, physical separation between contaminated and sanitary areas, foodservice facility specifications with a 1/300 scale for a 300 bed, and a 1/400 scale for a 900 beds blueprint. 5) The main features of the developed foodservice facility plans and models were; physical separation between contaminated and sanitary areas to prevent cross contamination, product flow in one direction from the arrival of the raw material to the finished product, and separation of different work areas and the process of receiving & preparation of products, refrigeration & storage, cooking, assembly, cleaning & disinfection, employee areas and janitorial facilities. The proposed models from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examples for those wanting to build, or renovate, their facility for the production of foods.

Escherichia coli Genotype을 이용한 생물학적 Critical Control Point의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Critical Control Points Using Escherichia coli Genotyping)

  • 김학재;한태욱;정지헌;박경진;홍종해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5-701
    • /
    • 2009
  • 본 연구는 축산물가공장 작업환경에 설정된 CCP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료도체에서부터 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에서 Escherichia coli를 검출하고 PFGE genotyping으로 genetic strain의 흐름을 분석하여 CCP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시료채취를 위한 작업장은 도축장에서 냉장차량으로 원료도체를 공급받는 독립형 소규모 HACCP 가공장(100두 처리/일)과 축산물종합처리장내 HACCP 가공장(500두 처리/일)을 각각 1곳씩 선정하였다. 시료는 원료도체, 시설 및 장비(발골기, 박피기, 작업대, 벨트, 칼, 면장갑), 환경(벽, 바닥)과 작업공정상의 발골육, 부분육, 최종육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였다. 작업공정에서 E. coli의 높은 분리율(59.6%)과 작업환경 전반에서의 고른 검출로 E. coli가 축산물가공장 위생지표균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된 E. coli의 genotype 분포는 작업장내 미생물 오염의 흐름을 보여주었다. 소규모가공장의 경우 오염된 원료육 반입이 작업공정을 오염시키고 공정중의 교차오염 발생으로 최종육에 영향을 주었고, 축산물종합처리장내 작업장은 원료육 오염보다는 작업환경에 상존하는 오염미생물의 교차오염이 최종육에 영향을 주는 양상이었다. 따라서 포장육가공장과 같이 작업공정에 멸균처리 과정이 없는 경우는 선행요건에 해당되는 원료반입과 작업환경의 세척 및 소독이 CCP로 관리되거나 이에 준하는 특별관리가 필요하였다. 결과적으로, 작업공정에서의 E. coli 검출과 genotyping은 작업공정상의 미생물 오염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은 HACCP 작업장의 미생물 오염원 분석과 설정된 생물학적 critical control point의 적합성 평가에 효과적이었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구제역 대응 소 발굽 온도 검출 알고리즘 개발 (FMD response cow hooves and temperature detection algorith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 유찬주;김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92-301
    • /
    • 2016
  • 구제역 발생에 따른 피해는 매우 크기 때문에 구제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구제역 진단 및 대응이 필수적이다. 주요 구제역 증상은 소의 체온 상승, 식욕 부진, 유량 감소, 입 발굽 유방에 물집 형성 등이며, 이중 확인하기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은 체온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제적 구제역 대응을 위해 소 발굽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 구현하고, 축사에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과 열화상 카메라, 온습도 모듈 설치하여 발굽 검색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과 시스템을 통해 구제역 의심 가축의 조기 상황 대처를 할 수 있으며, 가축의 최적 성정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휴대용이 아닌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한 구제역 대응 시스템은 축사에 고정으로 부착하여 별도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미지 알고리즘을 통하여 가축의 발굽 온도를 자동 측정하는 기능과 스마트 폰을 활용한 자동 경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실시간을 구제역 가능성 예측을 가능케 하며, 별도의 인력이 없이 가축 질병에 대한 초동 방역 대응을 할 수 있다.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아메바 효과 (Amoebicidal Effect of Nephrite-containing Contact Lens Storage Case)

  • 정재우;이종헌;박성희;유학선;김윤경;이지은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509-515
    • /
    • 2017
  • 목적: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아메바 효과를 일반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5% 연옥을 첨가하여 제작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일반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 증식 정도를 비교하였고, 각각의 보관용기에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다목적관리용액에 콘택트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측정하여 다목적관리용액 단독에 보관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일반용기에 비해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의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2), 1, 2 및 3세대 렌즈를 보관했을 경우에도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 수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각 p=0.001, p=0.001, 및 p<0.001).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다목적관리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다목적관리용액 단독에 비해 1세대 렌즈의 경우 부착된 가시아메바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각각 p=0.03 및 p=0.004), 2 및 3세대 렌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각각 p=0.59 및 p=3.612와 p=0.450 및 p=0.462). 결론: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연옥수는 향후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차세대 물질로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용 초음파 실습 시 장치의 세균오염도 측정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Bacterial Pollution in Medical Ultrasonic Practice)

  • 김동흔;박상희;박규태;정원희;김소연;홍희진;손나라;남설희;한만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75-80
    • /
    • 2019
  • 학교에서 의료용 초음파 실습 시 초음파 장치의 Freeze 및 Print Button, 프로브의 Lens, 손잡이, Line 부분 그리고 복부 Phantom에서 가장 접촉이 많은 부위를 임의로 선정하여 프로브에 상제하고 있는 세균을 검출하여 병원균의 수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는 실험 대상 위치에 균채집용 멸균된 면봉으로 검사 대상 부위를 20번 문지른 후 Lysogeny broth(LB) agar에 도말을 실시한 후 배양기에 넣어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colony forming unit (CFU) 수를 평가하여 프로브 손잡이, 복부 Phantom의 세균 분포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CFU 값은 Lens는 $3.0{\pm}0.87$, Print button는 $5.5{\pm}1.06$, Freeze button은 $8.0{\pm}4.95$, Phantom은 $20.0{\pm}2.78$, Line은 $23.5{\pm}2.50$, 그리고 Probe handle의 값은 $35.3{\pm}10.75$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초음파 실습 시 실습 시 장비의 감염관리에 대한 주의를 부각시키고, 나아가서 초음파 장치의 세균 감염률 감소에 확실하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비위험 기구의 감염 관리 실태 조사 (The survey on the infection control of noncritical instruments used in dental treatment)

  • 김재현;이진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1호
    • /
    • pp.27-36
    • /
    • 2019
  • 목적: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일부 비위험 기구들에 대한 치과의사의 감염 관리 인지도와 감염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및 전라북도 지역의 40개 치과 병, 의원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감염 관리에 대한 치과의사의 인지도와 실천정도에 관해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연구 대상인 치과의사가 치과 치료에 사용하는 인상용 건, 광중합기, 3-way syringe, 색조 견본, 치실통의 표면 오염도를 아데노신 3인산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감염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시행 빈도는 3-way syringe에서 가장 높았다. 모든 기구에서 소독액을 사용한 표면 소독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표면 오염도는 3-way syringe, 색조 견본이 인상용 건, 광중합기, 치실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론: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비위험 기구들 중에서 3-way syringe는 사용자의 감염 관리 인지도와 표면 오염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감염 관리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표면 오염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Safety evalu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s in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 Lee, Ji-Yoon;Park, Shin-Young;Kim, Kyoung-Hwa;Yoon, Sung-Young;Kim, Gon-Ho;Lee, Yong-Moo;Seol, Yang-J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3호
    • /
    • pp.213-223
    • /
    • 2021
  • Purpose: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 (APPJ) has been introduced as an effective disinfection method for titanium surfaces due to their massive radical generation at low temperatures. Helium (He) has been widely applied as a discharge gas in APPJ due to its bactericidal effects and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our previous stud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ects of He-APPJ application at both the cell and tissue levels. Methods: Cellular-level responses were examined using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osteoblasts (MC3T3-E1 cells). He-APPJ was administered to the ce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He-gas treatment. Immediate cell responses and recovery after He-APPJ treatment were examined in both cell groups. The effect of He-APPJ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via a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In vivo, He-APPJ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rat calvarial bone and the adjacent periosteum, and samples were harvest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Results: He-APPJ treatment for 5 minutes induced irreversible effects in both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osteoblasts in vitro. Immediate cell detachment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osteoblasts was shown regardless of treatment time. However, the detached areas in the groups treated for 1 or 3 minutes were completely repopulated within 7 day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not influenced by 1 or 3 minutes of plasma treatment, b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5 minute-treated group (P=0.002). In vivo, He-APPJ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rat calvaria and periosteum for 1 or 3 minutes. No pathogenic changes occurred at 7 days after He-APPJ treatment in the He-APPJ-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e gas only). Conclusions: Direct He-APPJ treatment for up to 3 minutes showed no harmful effects at either the cell or tissue level.

마을 내 잔존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실태진단 - 경주시 현곡면을 중심으로 - (Diagnosis of the growth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the remaining old trees in the village - Focused on Hyeongok-myeon in Gyeongju-si -)

  • 김영훈;덩베이지아;천겅;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9-12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countermeasures by diagnosing the growth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undesignated old trees distributed in Hyeongok-myeon, Gyeongju, Gyeongsangbuk-do. The number of old trees surveyed was 2 weeks in Gajeong-ri, 2 weeks in Haguri, 3 weeks in Nae-Tae-ri, 1 week in Nawon-ri, 6 weeks in Oryu-ri, 3 weeks in Sangguri, and 2 weeks in Sohyeon-ri, The trees species composition was 6 trees Celtis sinensis Pers., 1 Diospyros lotus L. trees, 4 trees Salix chaenomeloides Kimura trees, 2 Styphnolobium japonicum L. trees, and 7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trees. Growth status is 7.1~22.0m in height, 14.6~25.1m in long axis, 10.2~19.2m in short axis, root diameter is 76.0~236.4cm, diamter at breast height is 67.0~220.0cm, soil acidity is pH4.9~7.0, soil The hardness was measured to be 4.0-27.0mm. The result grade of the scoring data of health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monitoring generally, monitoring critically, and absolute monitor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out of the 20 trees population in Hyeongok-myeon, the general monitoring grade was 7 weeks, the major monitoring grade was 13 weeks, and there was no absolute monitoring grade. Accordingly, the number of old trees of the general surveillance level was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and ecological surgical operations were introduced for the major surveillance level, but the case of village forests should be different, and sequential treatments were the old tree urgently needed. The level and bark of the target tree, the state of the crown, the root exposure, the presence of pests and pests, the vitality and the ground condition, the degree of pollution are normal, poor, or very poor, operation and protection management, soil improvement, removal of cover, and disinfection were urgently needed for the old trees with the surveyed dat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matters,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measures for the old number should be sought.

김제 지역 한우 송아지의 크립토스포리듐, 지알디아 발생 현황 (Prevalence of cryptosporidiosis and giardiasis in Korean native calves in Gimje area)

  • 이한경;소경민;오상익;노재희;김미숙;강명금;정숙한;정영훈;조아라;이한규;류재규;허태영;최창용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5-91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cryptosporidiosis and giardiasis in diarrhea feces of Korean native calves raised in Gimje, Jeollabuk-do, with a rapid diagnostic kit. The prevalence of both dise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ge of calf, season of sampling period, and sampled farm where diarrheic calf is commonly observed. In diarrhea feces of 431 calves, cryptosporidiosis had a high incidence rate between 1 and 3 weeks of age, whereas giardiasis showed a high incidence between 4 and 6 weeks of age. It is thought that the incidence of protozoan diseases is markedly influenced by the calf's postnatal age. Regarding with the sampling season, the prevalence of cryptosporidiosis and giardiasis in calv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autumn and winter (P<0.05). Among the sampled farms where both diseases are commonly observed, cryptosporidiosis was more frequently detected than giardiasis in calves. Particularly, in farms where cryptosporidiosis is common, it tends to be a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eradicate as it occurs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Hygiene management such as regular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the livestock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from these protozoal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