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rimination of Worker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6초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인식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Identification of Latent Profiles in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among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37-243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국가인권위원회 2014년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9개의 지표로 구성된 직무환경 인식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업무시간 압박도와 업무책임감에서 낮은 인식을 보인 '낮은 업무부담 집단(24.5%)',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성차별과 학연/지연 차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차별 인식 집단(14.7%)', 업무자율성, 직장동료 지지도,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긍정적 인식 집단(26.8%)', 업무량, 업무시간 압박도, 업무책임감에서 높은 인식을 보인 '높은 업무부담 집단(8.5%)',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간 정도의 인식을 보인 '중간 집단(25.5%)'이 그것이다. 직무만족도의 경우 긍정적 인식 집단이 가장 높고, 중간 집단, 낮은 업무부담 집단과 높은 업무부담 집단, 차별 인식 집단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참여 -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 (Social Exclusion and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 Focused on the Legislation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

  • 유동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17-239
    • /
    • 2011
  • 본 연구는 당사자에 의한 집단적 사회행동 전략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임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적 배제와 차별의 개념적 관계를 고찰하였는데, 주류와 비주류집단의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 천착할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제된 비주류집단의 참여를 강조하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활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과정을 분석하였다. 법제정과정분석에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정책형성 분석틀을 활용하였는데, 분석 결과 문제 형성, 아젠다 형성, 대안 형성, 정책 결정 등 법제정의 전 과정에서 장추련이라는 장애인 정치행동 집단이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와 청와대, 국회와 재계 전반을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장애인에 의한 장애인의 법을 제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병원의 비정규직 고용정책과 경영전략 (Employment Policy & Strategy of Irregular Workers in Hospital)

  • 문영전;안인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9-145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spect how the law effected on hospital employment system and which policy and strategy are needed to cope with the present situation as the law regarding irregular workers law has enacted for a year. To grasp the changes of employment style in hospital, 56 hospitals among 311 general hospitals were questioned in this study. And employment policy and strategy were developed by referencing examples of developed nations and other industries. The survey showed that the wage and welfare level of irregular workers in hospitals was improved compared to that in the other industries. But there were still much discrimination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The policy direction of government is, first of all, to follow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to equal value of labour. The first feasible policy is to enforce social security. The second one is an employment promotion policy which reduces or exempts hospitals employing irregular workers from tax and insurance fee. The third one is to extend employment contract period to 3 years. and finally there are policies to permit more dispatched jobs and to expand the social insurance coverage. The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are as follows; 1) performance wage system, 2) guaranteeing employment by unlimited contract, 3) creating new category of workers, 4) the wage system of management by object, 5) the method of job classifica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was studied on hospital which is special industrial part and analyzed the changes after enacting irregular workers law and presented management strategy for countermeaure program. In this study,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cisions-making in hospital management, especially when using human resources.

  • PDF

대인서비스 종사자의 심리사회적 작업조건과 심리적 건강수준에 관한 성별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Interactive Service Workers)

  • 이복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2-14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gender among Korean interactive service workers.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extracted from the 2011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For the present analysis, 15,669 workers who interact with others at work were select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 set of variables was chosen from the KWC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using the WHO-5 well-being index. Results: The prevalence of poo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en (43.1%) than women (39.6%).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demands for hiding emotions, bullying, and discrimination, whereas men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psychological job demands, cognitive demands, demands for responsibility, role conflict and long working hours. Mos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oor well-being among women and men except demands for hiding emotions, skill discretion and development,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harassme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are offered to help interactive service workers adjust to their duties.

유해화학물질 취급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과정 (A Qualitative Study for Foreign Workers Exposed hazard Chemical Materials in Korean Industry)

  • 김현리;김정희;송연이;이꽃메;정혜선;현혜진;김희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4-103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foreign workers' experiences exposed hazard chemical materials in korean industry.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92 foreign workers worked in seoul, namyangju, ansan, suwon, pocheon, incheon, jincheon, and daejeon. It was that grounded theory method as qualitative approach was applied with in-depth interview, recording and dictation, and collected data was analysed line-by-line by research teams. The analysis process of in depth interview data was three phase. Results: The first phase was that find out meaningful data and confronted data for meaningful data was 53 meaningful items. The second phase was coding process of meaningful data, total coding items were 9, difficulty of new environment, existence of health hazard factors originated in work, performance of basic health management, management of hazard materials in work-site, self care of hazard materials in work-site, discrimination of disaster-compensation originated in work, perception of work stress, motivation of leaving position, satisfaction for present life. The third phase was 5 adaptation process, copying phase for new environment, management phase for health hazard factors, health change phase, life change phase, illegal stay phase. Conclusion: In summary, as a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foreign workers was experienced new environment and then has various problems in working site. But these evidences were not different from korean workers basically, undoubtedly reality of a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foreign workers with long time stay have had many health problems probably, but they have want to long stay and so reach an unexpected result, illegal long stay. Therefore, we should make efforts for adequate foreign workers' health management at work-site and overall life in governmental and industrial nursing level.

  • PDF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ing Life of Older Wage Earners: Focusing on the Elderly in Seoul)

  • 박지숭;윤민석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97-516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임금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이 갖는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Giorgi(2012)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349개의 의미단위, 35개의 중심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6개의 본질적 주제(구성요소)를 구성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괄시와 편견을 견디는 삶, 노년의 포도청(捕盜廳), 을 중의 을로서의 멍에, 뛰어 넘을 수 없는 벽, 일을 통해 청년의 시간 되살리기, 노동 자존감이었고, 이러한 6개의 본질적 주제는 '고단한 노년의 삶 속에서 간헐적으로 느끼는 작은 행복'으로 귀결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령 임금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불안정한 고용환경으로 인해 삶이 고단하지만, 노년에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안도감과 노동을 통한 자긍심을 통해 고단함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령임금근로자들에게 일은 경제적 고민을 덜어 줄 뿐만 아니라 노동을 통해 노년기 자존감을 높여주고 건강을 유지하게 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일하는 노년의 삶은 고단하다. 그러나 노동 자체가 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을 고단하게 만들기보다는,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겪는 부당한 처우와 사회적인 편견, 괄시가 일하는 삶의 무게를 가중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부당한 근로환경은 인권보호의 관점에서 사회적 논의와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고령자들의 경험을 활용해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고령 근로자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및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Spatial Segmentation of the Intra-Metropolitan Local Labor Markets : A Theroetical Review

  • Kim, Jae-Hong
    • 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37-57
    • /
    • 1996
  • Intra-metropolitan spatial segmentation of the labor marker requires barriers of mobility on both supply and demand side of the local labor marker. The phenomena of spatial segmentation of the labor market are particularly applied to the secondary workers rather than to the primary workers. Supply side barriers include the costs of obtaining job information regarding jobs outside of the immediate area, commuting costs, and barriers to residential mobility. Demand side barriers include site-specific technology and product demand, and discrimin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se barriers and examine their implications for differences in segmentation by demographic and skill groups at the intra-metropolitan scale. In particular, I apply a job search model to examine supply side barrier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ting costs, and an implicit contract model to explain demand side barriers such as dual/internal labor market and firms' (re) location strategies.

  • PDF

고령장애인의 노동시장 이중차별 실증적 분석 -임금노동자의 고용차별과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Empirical Study on Double Discrimination on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n Labor Market -Focusing on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Wage Discrimination of Wage Earners-)

  • 박재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79-102
    • /
    • 2013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연령과 장애로 인한 노동시장 이중차별을 검증하기 위해 고령장애인(50-64세) 임금노동자의 고용확률과 임금수준을 청장년장애인(15-49세)과 비교하여 연령차별을, 또 일반고령자(50-64세)와 비교하여 장애차별을 각각 Oaxaca(1973)의 분해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고령장애인의 연령에 따른 청장년장애인과의 실질적인 고용확률의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용직에서만 나타났고 차별(32.2%) 보다 특성(67.8%)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고령장애인과 청장년장애인의 실질적인 임금격차는 특성(7.95%) 보다 차별(92.05%)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고령일반인과의 실질적인 고용과 임금수준의 격차는 발생하지만 그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고령장애인은 노동시장에서 연령과 장애로 인한 이중차별은 없었지만 청장년장애인과는 구분된 고용정책이 필요하며, 일반고령자와는 통합적인 고용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구구조 변화(저출산·고령화)에서 외국인력 도입을 위한 이주노동자의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pproaches of Immigration Workers' Legal System to Introduce Foreign Workers according to change the Population Structure (Low Fertility and Aging))

  • 이척희;노재철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79-86
    • /
    • 2021
  • 인구구조의 변화로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생산가능 인구감소로 이어져 외국인력 도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구조 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생산가능 인구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외국인력의 도입이 가장 유효하다고 보며, 이를 위해 이주노동자 도입에 대한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주노동자 법제도의 통일과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출입국관리법」과 「노동법」이 협조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관리기관의 신설이나 일원화가 필요하다. 둘째, 「출입국관리법」을 개정하여 이주노동자들이 취업할 수 있는 길이 용이해져야 한다. 고용허가제와 국적취득에 대한 긍정적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이주노동자에 대한 형평성 및 차별이 없어야 한다. 상호호혜의 원칙하에서 사용자와 이주노동자가 평등하게 차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이주노동자의 법제도에서 사회보험제도를 추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4대 사회보험을 비롯한 각종 보험제도에서 이주노동자들이 차별 받지 않도록 법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인구구조의 변화로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우려할 만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 이주노동자의 취업 및 근무 환경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제도적 문제점은 상존해 있으며, 이주노동자에 대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코로나-19 지식수준과 감염관리 피로도 및 스트레스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ID-19 Knowledge Level and Infection Control Fatigue and Stress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 김다솜;배석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3호
    • /
    • pp.263-272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workers' knowledge of COVID-19, the infection-control-related fatigue and stress levels, and the factors that impacted their perform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37 hospital workers from four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S and C c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workers' knowledge of COVID-19 revealed a correct answer rate of 66%. An average of 3.00 points out of 4 fo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3.32 and 3.17 points out of 5 for infection-control-related fatigue and stress, respectively, were found. The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COVID-19 significantly differed by age and marriage (p<0.05), whil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significantly differed by age, marriage, an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experience (p<0.05). Infection-control-related fatigue and stress differed depending on the COVID-19 control education experience, economic and social prejudice, and fear of discrimina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infection-control-related fatigue and stress (p<0.001).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ed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workers' performance included knowledg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difficulties due to new role requirements," "presence or absence of infection education experience," "job type," and "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al and detaile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ystematically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ffective infection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