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ing Life of Older Wage Earners: Focusing on the Elderly in Seoul

  • 박지숭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
  • 윤민석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 Park, Jisung (Retirement Research Center at Samsung Life) ;
  • Yoon, Min-Suk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The Seoul Institute)
  • 투고 : 2017.02.28
  • 심사 : 2017.05.26
  • 발행 : 2017.05.30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임금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이 갖는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Giorgi(2012)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349개의 의미단위, 35개의 중심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6개의 본질적 주제(구성요소)를 구성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괄시와 편견을 견디는 삶, 노년의 포도청(捕盜廳), 을 중의 을로서의 멍에, 뛰어 넘을 수 없는 벽, 일을 통해 청년의 시간 되살리기, 노동 자존감이었고, 이러한 6개의 본질적 주제는 '고단한 노년의 삶 속에서 간헐적으로 느끼는 작은 행복'으로 귀결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령 임금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불안정한 고용환경으로 인해 삶이 고단하지만, 노년에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안도감과 노동을 통한 자긍심을 통해 고단함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령임금근로자들에게 일은 경제적 고민을 덜어 줄 뿐만 아니라 노동을 통해 노년기 자존감을 높여주고 건강을 유지하게 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일하는 노년의 삶은 고단하다. 그러나 노동 자체가 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을 고단하게 만들기보다는,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겪는 부당한 처우와 사회적인 편견, 괄시가 일하는 삶의 무게를 가중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부당한 근로환경은 인권보호의 관점에서 사회적 논의와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고령자들의 경험을 활용해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고령 근로자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및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and essential structure of the life of 12 older wage earners who are 65 years old or older residing in Seoul. For the in-depth analysi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s, Giorgi(2012)'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Results presented a total of 349 meaning units, 35 core meanings, 16 emerging themes, and 6 essential themes. These essential themes consisted of a life tolerating contempt and prejudice, the hungry belly in the later years, a yoke of the subordinate, an unclimbable vertical wall, reviving the hours of youth through working, and labor pride. These six essential themes led to the essential structure of'small happiness that is felt at times out of the weary working life in later years. The research participants felt worn out by the social discrimination and unfair working conditions against older wage earners, but they felt relieved that they were able to work in old age and had a sense of self-esteem through their work. Working was the important tools for older wage earners to experience happiness in later years because it not only relieved their financial burden but also brought a sense of self-esteem and labor prid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s following: 1) with respect to social discrimination and unfair working conditions against older workers, the whole society should discuss it as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take legal actions; 2) various service jobs need to be created so that older workers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by utilizing their experiences; and 3) educational programs of computer or internet use must be expanded through which older wage earners can improve their job skil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