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urse analysis

검색결과 570건 처리시간 0.027초

Automatic Summarization of French Scientific Articles by a Discourse Annotation Method using the EXCOM System

  • Antoine, Blais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3권1호
    • /
    • pp.1-20
    • /
    • 2009
  • Summarization is a complex cognitive task and its simulation is very difficult for machines.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summarization strategy that is based on a discourse categorization of the textual information. This categorization is carried out by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of discourse markers in texts. We defend here the use of discourse methods in automatic summarization. Two evaluations of the summarization strategy are presented. The summaries produced by our strategy are evaluated with summaries produced by humans and other applications. These two evaluations display well the capacity of our application, based on EXCOM, to produce summaries comparable to the summaries of other applications.

  • PDF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의 의료담론 분석 - 농촌생산물의 소비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dical Discourse of Oriental Medicin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 Focusing on the Consumption Discourse Analysis of Homegrown Agricultural Products -)

  • 이성오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4호
    • /
    • pp.465-47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s consumers' medical discourse embedded in the consumption of oriental medicin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Despite the fact that both of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is legally accepted, people tend to recognize that accurate diagnosis is possible only in the latter. As the discourse that oriental medicine, compared with western medicine, has an auxiliary position is widely spreaded, the rivalry between herbal medicin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come to be formed. And it led to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e of herbal medicine consumption and the growth of health supplement market. Herbal medicine is compared to red ginseng, one of the representative health supplement. Negative notion such as using an Asian herb from China and side effect of hepatotoxicity influences herbal medicine consumption. This study argues two conclusion.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that of health functional foods results from the discourse of scientific reconstruction,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ll of which come from globalization discourse. Second, medical discourse embedded in these commodity, in the end, has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Discourse Markers in EFL Learners' Turn-Taking through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 Hahn, Hye-Ryeo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33-58
    • /
    • 2007
  • The present paper aims at comparing the two modes of CMC -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 in terms of discourse markers used in turn-initial positions. It further attempts to examine the viability and limitations of these two modes of CMC in fostering EFL learners' face-to-face conversation skills. For these purposes, the present study analyzed 33 Korean EFL learners' Web chat and E-mail exchange data. Discourse markers in the participants' Web chat transcripts and those in their E-mail transcripts were identified and then compared in terms of their frequency and func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show difference in their preference for discourse markers depending on the modes of CMC. Also, the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s used for Web chat showed were strikingly different from those for e-mail. Especially, e-mail discourse markers revealed greater discrepancy from the markers in face-to-face conversation. Th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attributable to the time factor involved with the turn-taking systems of the two modes of CMC, especially the degree of instantaneousness in their turn-taking. Findings suggest that the turn taking skills and discourse marker use in CMC is not applicable to face-to-face conversation context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공원 이슈에 대한 주요 언론의 담론변화분석 -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hanges in Discourse of Major Media on Park Issues -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1995 to 2019 -)

  • 고하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6-58
    • /
    • 2021
  • 국내에 근대식 공원이 도입된 이후, 공원은 우리에게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민선시기 이후, 공원조성 등 공원을 둘러싼 이슈가 생산되고 언론을 통해 확산되어 담론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에 본 연구는 민선시장 체제인 1995년 이후의 '공원' 관련 이슈를 다룬 국내 중앙지의 보도기사를 수집하여 토픽분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공원에 대한 시계열적 담론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LDA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5개의 토픽-도시공원확충(토픽1), 역사문화공원(토픽2), 이용프로그램(토픽3), 동물원 사건사고(토픽4), 공원조성과정갈등(토픽5)-으로 분류되었다. 언론에서 다룬 주요 공원담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의 양적 확장에 대한 조성과정과 갈등이 주요 담론으로 다뤄지고 있다. 둘째, 신규 공원 조성시마다 공원명이 신규 단어로 출현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언급되면서 담론형성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셋째, 민선시대 공원 관련 언론에서 '주민'은 주요 주체로 '도시', '환경'과 함께 언급되며, 공원의 공공성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원이 언론을 통해 어떻게 해석되는지 담론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추후 본 연구에서 다룬 중앙지 외에 지역지, 전문지 등 다른 매체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담론이 다뤄지길 기대한다.

일인가구를 둘러싼 신문기사분석 : 가족학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Critical analysis on discour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n newspapers: Implications to family studies)

  • 김영주;변유정;차승은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7-8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cent discourse on single-person households (SPH) that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Specifically, we analyzed articles in five major daily newspapers,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he media in Korean society, and examined the types of titles, subjects, and contents of articles in which SPH were mentioned. Method: For this purpose, 538 articles on SPH or "living alone" that appeared in the five major Korean newspapers during 2011-2017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s. Results: Our analysis revealed eight major topics(living arrangement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financial instruments; food, clothing, and housing culture; policy; welfare; relationships; safety; values and attitud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urge of articles portraying neutral images of SPH in Korean newspapers, thereby emphasizing the recent growth in the number of SPH and the information relating to this population group. Although negative images of SPH continue to exist in the discourse, in recent times we found these attitudes to have become less prevalent compared to neutral images or even positive discourse. We also found that the discourse on these topics and arguments can be divided into four themes-the diversity of SPHs, the solo economy for single households, safety issues, and social relationships. Conclusion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family studies relating to SPH are discussed.

담화표지 '아', '어', '음'의 성별과 연령별 사용 양상 (The pattern of use by gender and age of the discourse markers 'a', 'eo', and 'eum')

  • 송영숙;심지수;오재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37-45
    • /
    • 2020
  • 이 연구는 담화 표지 '아, 어, 음'의 출현 빈도와 발화 시간, 발화 위치 등을 계량적으로 관찰하여 성별과 연령별 차이를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용량 음성 코퍼스인 서울코퍼스를 이용하였고, Praat(ver.6.1.31)으로 음길이와 실제 발화를 확인하고, Emeditor(ver.17.6.1)로 코퍼스를 분석하고, R(ver.3.4.4)로 통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보면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단독 발화에서 '음'이 고빈도로 사용되었고, 발화 종결 위치에서의 평균 음길이 또한 길었다. 연령에 따라 보면 발화 시작 위치에서 10대에서는 '아'가, 40대는 '어'가 고빈도로 출현하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블로그(Blog)에 나타난 도시공원 미시담론 - 서울숲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Micro Discourse about Urban Parks in Blogs - In the Case of the Seoul Forest -)

  • 이제이;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9-39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숲에 대한 일반인들의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인식 및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의 실질적인 의견을 파악할 수 있는 블로그(blog)를 통해 서울숲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일반인의 미시담론을 분석하였다. 블로그를 매개로 한 일반인의 미시담론 형성 배경과 요인 등을 해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법을 선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담론분석을 위주로 하여 블로그에 게시된 미시담론의 내용과 그 형성 배경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울숲에 대한 일반인의 구체적인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숲이 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초기에는 서울숲 조성과 관련된 주체나 결과물에 대한 평가를 하면서 설계가나 서울시 등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었다. 둘째, 형성기의 서울숲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서울숲을 비교적 관점에서 평가 및 서술하면서 긍정 및 부정적 장소감이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담론이 형성되었다. 셋째, 조성된 지 4~5년 후인 전개기에 게시된 블로그에서는 주로 공원의 시설 및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고 난 후의 이용적 담론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성숙기에 들어서는 이용자들이 그들만의 언어로 서울숲을 해석한 장소적 담론이 주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반인의 미시담론들을 통해 실제 이용 주체가 각 시기별로 서울숲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 그 담론적 구조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미시담론에는 공원을 이용하는 개별 주체들이 생산하는 상호작용, 경험, 이야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의 고찰을 통해 일반인 이용자가 장소를 어떻게 재현하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발견하였다.

정보통신기술과 주거에 대한 중요 담론 분석연구 (Discourse Analysis on ICT and Home - From Electronic Cottage to Sharable Home -)

  • 한수연;김미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15-121
    • /
    • 2014
  • This paper draws the home into the strea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development. Considering that homes and our home life are constantly affected by persistent change influenced by ICT, it is remarkable that ICT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as an object of research in the field of housing studie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conceptual movements in ICT/home relationships and their design and social impact throug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onceptual movements must be considered by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housing and built environment to stay attuned to changes in the 21st Century. Diverse debates took place in the discourse about ICT in relation to home. The stream of thought was started by futurists who saw the electronic cottage as a solution to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separation of work and home life in industrial cities. ICT has now entered a new phase, with WiFi P2P networks and location-based social media that encourage sharable hom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 on ICT and home, we drew from three issues related to the paradigm shifts in homes in the context of ICT development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housing studies: from space programming to time scheduling, from individual ownership to shared access, and from live+work dwelling to live+work+community.

과학관 수업 분석을 통해 알아본 예비 과학 교사의 비형식 교육에 대한 인식 (Discourse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in Science Museums and Its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 장현숙;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11-220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formal learning by adopting a discours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Mortimer and Scott(2003). Th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some general patterns of the discourse occurring in science museum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2) In what ways do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informal learning and teacher's role in informal settings? The 7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m shepherd an elementary student around the museum and implemented their own instruction using a pre-planed lesson plan. Results indicated that even though the teachers had learned som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teaming in their college courses, they tended to implement their traditional view of science teaming into the instruction and the view affected them to set up their teaching purposes and contents, and to select communicative approach, patterns of discourse and ways of intervention.

  • PDF

공유 문서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 담화의 특징 -인식 네트워크 분석(ENA)의 활용- (Exploring Collaborative Learning Dynamics in Science Classes Using Google Docs: An Epistemic Network Analysis of Student Discourse)

  • 신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7-86
    • /
    • 2024
  •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공유 문서의 활용이 학생의 담화 패턴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학생들의 담화를 인식 네트워크 분석(Epistemic Network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49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교사인 연구자 본인이 Google Docs를 기반으로 제작된 활동지를 활용한 공유 문서와 동일 내용의 종이 활동지를 활용한 일반 수업을 실시하고, 각 수업에서 수집된 담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는 일반 수업에 비해 과제 수행과 관련된 발언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사진 촬영과 업로드에 대한 담화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이러한 담화가 교사가 의도한 동료 학습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성취 수준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는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 하위 수준 학생의 발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상위 학생과 하위 학생 간의 발언 유형 및 연결 구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위 수준 학생이 의견과 설명 제시를 주도하면 하위 학생이 이를 받아 적는 역할 분담이 관찰되었으며,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 뚜렷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식 네트워크 분석으로 정전기의 원인에 대한 학생의 인식 변화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유 문서를 활용하여 협력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과 산출물의 공유가 가능한 개방적 문제를 포함하는 전략과 인식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개념 학습 효과 확인 가능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