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harge curve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7초

일유량 분석을 이용한 대규모 저수지의 퇴사량 추정 (Sediment Estimation of Large Reservoir Using Daily Flowrate Analysis)

  • 정재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417-423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data for large reservoir sedimentation research In future and make suggestions to maintain and opera능 the reservoir more of efficiently. At first, previous studios about the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rate were reviewed in Korea. And the discharge rating curves of upstream stage gauging statio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dam Inflow and stage discharge were analyzed.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spec유c sediment rate of Soyanggang dam was estimated as 608 m3/km2/yr. It was similar to that of Soyanggang dam feasibility study and 1994's field surveys of the reservoir than that of 1983's field surveys. Because the sediment rating curves were derived under the low discharge conditions, It needs to be checked under the flood conditions. However, the suggested methods such as flowrate analysis and sediment estimation will be useful to the sediment studios In future. Key words . reservoir sediment, sediment yield rate, rating curve, flowrate analysis.

  • PDF

Some Problems of the Partial Discharge Burning Time

  • Kinsht Nikolay V.;Katz Marat A.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7권6호
    • /
    • pp.319-323
    • /
    • 2006
  • The problem of the partial discharge (PD) extinction is investigated. The transient process takes place in a small spherical inclusion which is located in the dielectric. Both the losses caused by polarization and ohmic losses as the dielectric parameters are taken into account. From the inclusion standpoint the dielectric is considered as an active two-pole element (equivalent generator) and inclusion represents by own current-voltage curve. PD extinction voltage was shown to depend on the polarization loss tangent.

농경유역 중소하천에서 유량과 총유사량의 관계식 유도방법 (Derivation Method of Rating Curve and Relationships for Flow Discharge-Total Sediment at Small-Midium Streams in Agrarian Basin)

  • 이종석;김치곤;유의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44-555
    • /
    • 2015
  • 본 연구는 농경유역 중소하천의 주요 지점에서 실측된 현장자료를 사용하여 유량과 총유사량 관계곡선과 이들 간의 관계식을 유도한다. 실측치 총유사량 자료는 수심평균농도와 하상에서 각각의 부유사와 소류사 채취기(DH-48, D-74 및 BLH-84, BL-84)에 의해 채집된 시료를 건조 또는 여과법, 체분석에 의한 입도분포곡선을 통해 얻은 부유사량에 소류사량을 합하여 얻었다. 이들 현장자료는 농경유역 논산수계 내 4개 대상하천의 국가-지방하천 수로구간 7개 측점에서 2012년 8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측정되었다. 그 결과, 유량과 총유사량에 대한 관계곡선과 관계식은 현장측정 자료군의 분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멱함수형으로 유도하였으며, 이들 관계식은 수공 유사공학의 이론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적 응용에 있어 세굴, 퇴적 및 이송을 해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엔트로피 개념에 의한 부정류 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ischarge in Unsteady Condition by Using the Entropy Concept)

  • 추태호;채수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59-6166
    • /
    • 2012
  • 수자원에서 특히 중요한 홍수기에 대한 유량 측정은 어려움이 있고 모든 하천에 대한 지속적인 유량측정은 현재 시스템상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유량의 생산을 위해서 그동안 수위유량 관계 곡선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수위-유량 관계 곡선은 그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사용하므로 정확성 면에서 항상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hiu의 엔트로피 개념의 2차원 유속공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평균유속공식을 유도하였다. 본 공식은 수심, 중력가속도, 동수경사, 에너지경사, 동점성 계수 등 하천의 수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최대유속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최대유속과 평균유속사이의 선형관계를 검증할 수 있었고 그 결과로써 하천단면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평형상태의 ${\phi}(M)$을 산정하였다. 평형상태의 ${\phi}(M)$을 사용하여 평균유속을 산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본 공식의 검증을 위해서 고리형 특성을 보이는 부정류 상황에서의 실험실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된 유량과 실측된 유량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실험실 데이터 및 하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가 지속되어 진다면 수자원 분야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Estimation of River discharge using Very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in Yangtze River

  • Zhang, Jiqun;Xu, Kaiqin;Watanabe, Masataka;Sun, Chunpe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728-733
    • /
    • 2002
  • The measurement of river discharge is among the most fundamental observations and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many water-related issues, such as flooding hazards, sediment transportation, and nutrient movement. Traditionally river discharge is estimated by measuring the water stage and converting the measurement to discharge using a stage-discharge rating curve. The possibility of monitoring river discharge from satellites has been largely ignor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measure water surface information from space with sufficient precision. In this paper, an efficient approach to discharge estimation using mainly satellite data is developed and described. The proposed method, which focuses on the measurement of water-surface width coupled with river width-stage and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is applied to the Yangtze River with good results.

  • PDF

2007년 섬강 시험 유역의 운영 (Operation of Seo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in 2007)

  • 이민호;최흥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99-702
    • /
    • 2008
  • In this study, it has observed the precipitation and stage data at each point every ten minutes for gaining the sustainable, reliable and high-quality hydrological data through operating the experimental watershed in mountainous areas such as Gyecheon located in the upstream of Seom river that is the tributary of Nam-Han river. And it has regularly surveyed the runoff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of data using the uncertainty analysis at the gaging station. 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stage-discharge curve(rating curve) an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the circulation of water through surveying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level of groundwater in watershed.

  • PDF

어도의 적절한 이용을 위한 유지유량 평가 (Estimation of Maintenance Flow for Suitable Utilization of Fishway)

  • 김석규;김철;김성환;고광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81-287
    • /
    • 2009
  • Achieved monitoring regularly about fishway that is a intake dam belongings to Kyeongchon for 5 years. Result that achieve monitoring, discovered pressing issue of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discharge control part in fishway. In this research, analyze discharge relation with fishway and intake sluice and presented operation plan of opening and closing of discharge control part. Investigated necessity intake discharge and benefited area to analyze relation of discharge that is flowed in fishway and discharge escaping by intake sluice. When opened discharge control part step by step gradually, analyzed discharge. Compared with survey discharge making ration curve of fishway and intake sluice using orifice and submerged weir formula. Because operation of intake dam is necessary intake discharge and upriver inflow discharge by time, operation uses by survey discharge and calculated opening discharge of fishway by opening discharge of intake sluice via monthly inflow discharge. To sum up, calculated floodgate opening height of fishway by water level to present maintenance standard of intake dam.

조도계수와 유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청미천 유역의 홍수위 해석 (Flood stage analysi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roughness coefficients and discharge for Cheongmicheon watershed)

  • 신샛별;박지훈;송정헌;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0호
    • /
    • pp.661-67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조도계수와 유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부정류 흐름에서 홍수위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조도계수와 유량의 불확실성이 홍수위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강우사상의 크기와 불확실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도계수의 불확실성은 하천기본계획을 참고하여 0.025~0.040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유량의 불확실성은 수위 h일 때의 유량을 Q라고 할 때, $Q=A(h-B)^C$로 표현되는 수위-유량관계식의 회귀계수 A, B, C를 통해 분석하였다. 수위-유량관계식의 회귀계수를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으며, 회귀계수는 t 분포를 가정하여 95% 신뢰도로 상한과 하한의 범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회귀계수의 범위는 A는 5.138~18.442, B는 -0.524~0.104, C는 2.427~2.924로 산정되었다. 범위 내에서 10,000개의 매개변수 세트를 추출하여 HEC-RA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 River Analysis System)에 적용하여 Monte Carlo 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사상 1~3에서 모의된 홍수위의 95% 신뢰구간의 평균적인 범위는 각각 0.39 m, 0.83 m, 0.96 m이며, 첨두 홍수위가 발생했을 때의 범위는 각각 0.52 m, 1.36 m, 1.75 m로 산정되었다. 또한 이천관측소의 1986~2015년의 일 강우에 대한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수행 결과 GEV (Generalized Extreme Vlaue) 분포일 때 강우사상 1~3의 재현기간은 각각 1년, 10년, 25년 빈도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사상의 크기와 불확실성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강우사상에 적용하여 검증한다면 홍수위의 불확실성을 예측하여, 하천관리 등을 위한 구조물의 계획 및 설계 시 의사 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펄스전압에 의한 수증방전특성의 분석 (Analysis of Underwater Discharge Characteristics Caused by Impulse Voltages)

  • 최종혁;안상덕;이복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28-133
    • /
    • 2008
  • 이 논문은 반구형 수조에 설치되어 있는 침전극과 구형전극에 표준뇌임펄스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수중 방전현상과 절연파괴특성을 나타낸다. 이 논문의 목적은 뇌서지에 대한 과도접지임피던스와 관련된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인가전압의 극성과 물의 저항률에 따른 방전광을 촬영하였고 절연파괴전압의 의존성을 측정하였다. 침전극과 구형전극의 끝단에서 스트리머코로나가 발생하였고 접지된 수조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진전하였다. 저항률에 따른 절연파괴전압은 V자 형태를 나타내며, 구형전극의 절연파괴전압-시간곡선이침전극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동계측이 이루어지는 관개용수로에서의 수위-유량관계 분석 (Analysis of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in the Irrigation Canal with Auto-Measuring System)

  • 박창언;김진택;오승태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1호
    • /
    • pp.109-114
    • /
    • 2012
  • Stage-discharge relationship is applied to convert water level into discharge at the auto-measuring station in many irrigation canals. The stage-discharge curve is very important for reliable application for th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We made results of discharge measurement at 18 stations in the irrigation canal nearby the Idong reservoir from 2010 to 2011.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for each 18 stations were drawn considering of different hydraulic a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t each stations. R-squared over 0.91 at each stations show high reliability for application of these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