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harge Test

검색결과 1,592건 처리시간 0.033초

Anthracycline계 항암성 항생물질 DA-125의 Beagle dog에 대한 26주 반복정맥투여독성시험 (Toxicity Studies of DA-l25, an Anthracycline Antitumor Antibiotic : Intravenous Repeated Doses for 26 Weeks in Beagle Dogs)

  • 차신우;박종일;정태천;신호철;하창수;김형진;양중익;한상섭;노정구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4권2호
    • /
    • pp.127-137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DA-125 in beagle dogs, an anthracycline antitumor antibiotic. The dogs were administered DA-125 i.v. at 0.0023, 0.0375, 0.15 and 0.6 mg/kg/day, 6 days/week for 26 weeks. At 0.6 mg/kg, all male and female dogs were either sacrificed moribundly or dead during the 26-week treatment. The dogs revealed inactivity, salivation, dark bloody discharge, swelling of the subcutaneous injection site, abscess, and ulceration in the abdominal wall and legs. At 0.15 mg/kg, anorexia, salivation, and swelling of the injection site were observed. The food consumption was decreased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at 6 and 12 weeks treatment in males of 7.6 mg/kg. At 0.0375, 0.15 and 0.6 mg/kg, body weigh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a dose-related fashion after 17 weeks treatment. Total white blood cell counts for male dogs at 0.6 mg/kg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dogs after 13 weeks treatment, which appeared mainly due to decreased neutrophils. At 0.15 mg/kg, testicular atrophy was found in all males by gross pathology and the testicular w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males. Microscopically, the testis showed moderate atrophy of the seminiferous tubules and marked decrease in number of spermatozoa in the epididymal tubules. At 0.6 mg/kg, petechia or echymotic hemorrhage was observed in gastrointestinal tract, heart, lungs, and other organs at the necropsy, Marked atrophy of thymus were observed in both males and females. In addition, severe testicular atrophy was noted in all males. Microscopically, gastrointestinal tract showed hemorrhage, epithelial denudation, hypermucus secretion, and atrophy of intestinal villi. Seminiferous tubules of the atrophic testis were lined with Sertoli cells only and devoid of germ cells. Severe oligospermia or aspermia was present in the epididymal tubules. Bone marrow showed marked depletion of hemopoietic cells. In addition, marked atrophy was found in the lymphoid tissue of gastrointestinal tract, various Iymph nodes, and thymus. Injection sites showed marked inflammatory response with necrosis, necrotizing vasculitis, thrombus formation, and ulceration in the skin. According to the present results, no observed effect level appeared to be 0.0375 mg/kg. At 0.15 mg/kg, testis was a target organ, while at 0.6 mg/kg hemopoietic tissu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estis were considered to be target organs. At 0.6 mg/kg the test compound seems to inflict a damage on the blood vessels causing hemorrhage in the various organs and tissues.

  • PDF

암모니아수 처리에 따른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탄소펠트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rbon Felt Electrode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by Liquid Ammonia Treatment)

  • 김예솔;조세호;박세국;전재덕;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5권3호
    • /
    • pp.292-29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탄소펠트에 열산화 반응과 암모니아수 처리를 이용하여 질소가 도핑된 탄소펠트 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탄소펠트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평가를 위하여 CV 실험 및 충/방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모니아수 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펠트 표면의 질소 관능기가 증가함을 XPS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CV 측정 결과 암모니아수 처리된 탄소펠트는 열산화된 탄소펠트에 비하여 산화/환원의 반응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충/방전 실험결과 $300^{\circ}C$에서 암모니아수 처리한 탄소펠트 전극은 열산화된 탄소펠트 전극보다 에너지효율, 전압효율, 전류효율이 각각 약 6.93, 1.0, 4.5%씩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질소 관능기가 탄소펠트 전극과 전해질 사이의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마스크 팩 시트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ask Sheets)

  • 장혜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87-798
    • /
    • 2017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시트 타입 마스크 팩의 재질에 따른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정제수와 1.3-propanediol, 1.3-butylene glycol, Glycerine, Hyaruronic acid와 같은 수용성 성분과 Cyclomethicone, Dimethicone, Phytosqualane, Caprylic Capryl Triglyceride, Grape seed oil, Macadamia Nut oil 오일을 비롯한 다양한 오일의 흡유력을 살펴 본 결과 정제수를 제외한 모든 수용성 성분들은 점도가 커질수록 흡습능력이 커졌고 오일의 경우엔 모든 오일의 점도에 비례하여 흡유 능력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마스크 시트의 종류는 초산 발효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수용성 습윤제나 모든 오일에 있어서 500~1,000 배 이상의 함습, 함유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표면 구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5,000배 이상 확대한 사진에서 보이는 미세한 망상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망상 구조는 단면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함습, 함유 능력을 우수하게 하며 다량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오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배출 또한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또한 각 마스크 시트는 소재에 따라 그 특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피부에 좋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의 제조에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

미세입자(微細粒子)를 함유(含有)한 슬러지의 고효율(高效率) 탈수(脫水) 연구 (A study for High Efficiency Dewatering of Sludge Contained Fine Particles)

  • 이정언;이재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4호
    • /
    • pp.36-43
    • /
    • 2006
  • 입자의 크기가 $5{\mu}m$ 이하인 미세입자를 함유한 안료 슬러지를 탈수하여 케이크화될 때 기공의 크기가 매우 작아 물의 배출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기존의 외부가압력으로 탈수하는 기계식 탈수방법으로 탈수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케이크 층에 저온 열을 인가하여 케이크 충의 기공으로부터 물을 원활하게 배출하여 탈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이다. 케이크 층에 일정한 온도를 공급 할 수 있는 Piston형 열 탈수장치를 구축하여 미세 안료 입자 200g에 대하여 탈수 실험을 수행한 결과 여액량은 176.8g, 케이크 무게는 19.4g, 케이크 두께는 4.2mm로 측정되었으며, 함수율은 47wt%이며 면적당 건조 입자의 잔류량(여과 속도)은 $2.1DS\;m^{2}{\cdot}cycle$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기계식 탈수 방법에 의한 결과에 비하여 여액량은 증가하였으며, 케이크 무게와 두께는 감소하였고 탈수속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함수율은 약 30%감소하여, 전반적으로 탈수율이 매우 향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이유는 케이크 층에 열을 인가함으로서 케이크 기공에 작용하는 내부 증발압으로 인해 물이 케이크 충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 입자를 함유한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고효율 탈수 시스템 구축에 있어 매우 유용한 기술로 평가된다.

기공구조로 제조된 Li4Ti5O12 음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rous Li4Ti5O12 Anode Materials)

  • 서진성;나병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6호
    • /
    • pp.861-867
    • /
    • 2019
  •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 각광을 받고있는 $Li_4Ti_5O_{12}$는 높은 수명특성, 낮은 비가역용량 그리고 충방전시 부피팽창이 거의 없는 물질이다. 하지만 낮은 전기전도도로 인하여 높은 전류밀도에서는 용량특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123을 첨가한 졸-겔법으로 기공구조의 $Li_4Ti_5O_{12}$를 합성하였다. 제조된 샘플들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XRD, SEM, BET를 사용하였고, 전기화학적 특성은 사이클테스트, cyclic voltammetry (CV),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로 분석을 하였다. P123/Ti = 0.01mol의 비율로 만들어진 $Li_4Ti_5O_{12}$에서 가장 균일한 입자사이즈, 높은 비표면적,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기공의 분포를 보였다. EIS분석 결과 기공구조의 $Li_4Ti_5O_{12}$의 경우 저항을 나타내는 반원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전극 내 저항값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율속 테스트결과 0.2C에서 178 mAh/g, 0.5C에서 170 mAh/g, 5C에서 110 mAh/g 그리고 10C에서 90 mAh/g의 용량을 유지하였고 용량회복율 또한 99%로 매우 우수하였다.

도로공사 이수식 쉴드 TBM 굴착토 및 필터케이크 재활용방안 연구 (A study for recycling plan of excavated soil and filter cake of slurry shield TBM for road construction)

  • 남성민;박서영;안병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99-615
    • /
    • 2022
  • 한강과 같은 하저지반을 안전하게 굴착하기 위해서는 고수압 막장면에 대응할 수 있는 이수식 쉴드 TBM 공법을 적용한다. 이수식 쉴드 TBM 공법은 지하철 프로젝트에 널리 활용되어 왔는데 도심지 지하철 공사는 지하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굴착토를 대부분 전량 사토해왔으며 필터케이크(벤토나이트)도 폐기물처리를 했다. 이와 달리 도로공사는 절성토의 최적화를 위해 굴착되어 나온 토석을 외부로 반출하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 성토재로 활용하는 특징이 있어 굴착토의 활용방안이 프로젝트 성공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수식 쉴드 TBM 공법에서 굴착토는 이수재로 사용하는 벤토나이트와 굴착된 토사, 풍화암, 연경암 등이 섞여서 배니관을 통해 이수처리플랜트로 운송되면 이수처리플랜트에서 처리과정을 거쳐 크기별로 분리 배출된다. 이러한 굴착토 중 세립질의 토사는 필터케이크와 함께 폐기되어 왔으나 그 성분에 독성이 없고 조립토와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성토재의 품질기준을 만족할 수 있어 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수식 쉴드 TBM 공법의 굴착토의 활용에 있어 제도적·기술적 기준을 고찰하여 필터케이크와 골재를 도로공사의 성토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벤토나이트는 몬모릴로나이트로 구성된 점토이며 터널 원지반의 굴착토 또한 독성이 없는 상태로 이를 폐기물 처리하는 것은 사회적 비용이 낭비될 수 있기에 오히려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향후 이수식 쉴드 TBM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지하공간 개발사업에 도움이 되고자 기대한다.

TM01 모드 변환을 이용한 Ka 대역 고출력 고효율 공간 결합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Ka-band high-power, high-efficiency spatial combiner using TM01 mode Transducer)

  • 김효철;조흥래;이주흔;이덕재;안세환;이만희;주지한;김홍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5-3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구현이 쉽고, 최종 결합 포트의 전송 선로 길이를 짧게 구현할 수 있는 모드 변환기에 대해 제안하고, 8-way 공간 결합기에 적용하여 제작 및 시험을 하였다. 제안하는 모드 변환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있는 Doorknob 형태의 원형 디스크에서 변환된 신호를 원형 도파관 내에서 개방을 시켜 TM01 모드로 변환이 이루어진다. 8-way 도파관 공간 결합기는 H-평면에서 입력된 8개의 신호를 중심의 원형 도파관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최종 결합 모드는 TM01이 되도록 설계를 하였다. 시험 결과는 삽입손실 0.4dB 이하, 결합효율 95%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계 분석을 통해 새로운 모드 변환 구조의 절연 파괴 전압 및 방전 임계전력을 계산하여 고출력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향후 고출력 고효율 SSPA에 다방면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금강하굿둑과 각종 해안구조물 설치 전, 후의 금강하구역 해수유동 양상 비교 (Comparision of Tidal Current Patterns at Keum River Estuary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Keum River Bank and Coastal Structures)

  • 장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01-610
    • /
    • 2021
  • 해안구조물 설치 전, 후의 금강하구역 해수유동 양상을 CASE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수심적분된 그리고 조간대 처리기법이 적용된 해수유동 수치모형인 FLOW2DH를 사용하였다. 실험조건은 해안구조물 설치 전(CASE1), 해안구조물 설치 후(CASE2), 배수갑문운영 추가(CASE1Q, CASE2Q) 및 현재 상태(CASE3)로 구성된다. CASE1의 경우, 자연형 하구의 안정화된 해수유동 양상을 보여주고 있고, CASE2의 경우, 설치된 해안구조물들로 인하여 금강하구역의 유속 및 유향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특히, CASE2의 개야수로 구간(P5~P9)은 CASE1과 대비하여 유속이 10~30% 크게 계산되었다. 금강하굿둑과 가장 가까운 군산 내항(P4)의 경우는, CASE1Q와 CASE2Q의 낙조 시 2.7시간의 배수갑문의 방류로 인하여 낙조 유속이 다른 CASE들과 비교하여 약 250~300% 빨라졌다. 이는 퇴적물이동에 영향을 줄 것이고, 나아가 해저지형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상태인 CASE3의 경우, 금강하구와 주변 해안역의 유속과 유향을 검토한 결과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딥러닝 기반 LSTM 모형을 이용한 감조하천 수위 예측 (Prediction of water level in a tidal river using a deep-learning based LSTM model)

  • 정성호;조효섭;김정엽;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2호
    • /
    • pp.1207-1216
    • /
    • 2018
  • 본 연구는 물리적 수리 수문모형의 적용이 제한적인 감조하천에서의 수위예측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한강 잠수교를 대상으로 딥러닝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인 TensorFlow를 활용하여 LSTM 모형을 구성하고 2011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분 단위의 잠수교 수위, 팔당댐 방류량과 한강하구 강화대교지점의 예측조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학습(2011~2016) 및 수위예측(2017)을 수행하였다. 모형 매개변수는 민감도 분석을 통해 은닉층의 개수는 6개, 학습속도는 0.01, 학습횟수는 3000번로 결정하였으며, 모형 학습 시 학습정보의 시간적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매개변수인 시퀀스길이는 1시간, 3시간, 6시간으로 변화시키며 모의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행시간에 따른 모의 예측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LSTM 모형의 예측 선행시간을 6개(1 ~ 24시간)로 구분하여 실측수위와 예측수위와의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LSTM 모형의 최적의 성능을 내는 결과는 시퀀스길이를 1시간으로 하였을 때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선행시간 1시간에 대한 예측정확도는 RMSE는 0.065 m, NSE는 0.99로 실측수위에 매우 근접한 예측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퀀스길이에 상관없이 선행시간이 길어질수록 모형의 예측 정확도는 2017년 전기간에 걸쳐 평균적으로 RMSE 0.08 m에서 0.28 m로 오차가 증가하였으며, NSE는 0.99에서 0.74로 감소하였다.

Assessment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Surveillance Results around Korean Nuclear Power Utilization Facilities in 2017

  • Kim, Cheol-Su;Lee, Sang-Kuk;Lee, Dong-Myung;Choi, Seok-Wo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118-126
    • /
    • 2019
  • Background: Government conducts environmental radioactivity surveillance for verification purpose around nuclear facilities based on the Nuclear Safety Law and issues a surveillance report every yea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hort and the long-term fluctuation of radionuclides detected above MDC and their origins using concentration ratios between these radionuclides. Materials and Methods: Sample media for verification surveillance are air, rainwater, groundwater, soil, and milk for terrestrial samples, and seawater, marine sediment, fish, and seaweed for marine samples. Gamma-emitting radionuclides including $^{137}Cs$, $^{90}Sr$, Pu, $^3H$, and $^{14}C$ are evaluated in these samples. Results and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nvironmental radioactivity verification surveillance in the vicinity of nuclear power facilities in 2017, the anthropogenic radionuclides were not detected in most of the environmental samples except for the detection of a trace level of $^{137}Cs$, $^{90}Sr$, Pu, and $^{131}I$ in some samples. Radioactivity concentration ratios between the anthropogenic radionuclides ($^{137}Cs/^{90}Sr$, $^{137}Cs/^{239+240}Pu$, $^{90}Sr/^{239+240}Pu$)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in the environmental samples, which were affected by the global fallout of the past nuclear weapon test, and Pu atomic ratios ($^{240}Pu/^{239}Pu$) in the terrestrial sample and marine samp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the different input pathway and the Pu source. Radioactive iodine ($^{131}I$) was detected at the range of < $5.6-190mBq{\cdot}kg-fresh^{-1}$ in the gulfweed and sea trumpet collected from the area of Kori and Wolsong intake and discharge. A high level of $^3H$ was observed in the air (Sangbong: $0.688{\pm}0.841Bq{\cdot}m^{-3}$) and the precipitation (Meteorology Post: $199{\pm}126Bq{\cdot}L^{-1}$) samples of the Wolsong nuclear power plant (NPP). $^3H$ concentration in the precipitation and pine needle samples showed typical variation pattern with the distance and the wind direction from the stack due to the gaseous release of $^3H$ in Wolsong NPP. Conclusion: Except for the detection of a trace level of $^{137}Cs$, $^{90}Sr$, Pu, and $^{131}I$ in some samples, anthropogenic radionuclides were below MDC in most of the environmental samples. Overall, no unusual radionuclides and abnormal concentration were detected in the 2017's surveillance result for verification. This research will be available in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 around nuclear facilities in the event of radioactive material rel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