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sources

검색결과 887건 처리시간 0.024초

재난관리자원 지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signation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 김동명;정종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66-472
    • /
    • 2019
  • 이 연구는 재난 발생시 필요로 하는 재난관리자원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강구함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를 위해 재난관리자원에 대한 선행연구자료를 통한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재난관리자원의 분류 및 시스템 이용에 관한 규정", "재난관리자원의 공동활용 기준"에서 규정된 재난관리자원에 대해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문헌연구와 법 규정 분석을 통하여 재난관리자원에 대한 명확성을 확보하며, "비상대비자원관리법"에서 보유하고 지정되어 있는 인력 물적자원들을 각종 재난 발생시 활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여, 재난관리자원이 각종 재난사태에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효과적인 분산 방재자원 관리 방안 (Efficient Methods for the Distributed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 이창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94-304
    • /
    • 2011
  • 방재자원은 재난 발생시 투입하는 인력, 물자, 장비, 시설 자원을 의미한다. 물자, 장비 자원은 평상시 내부적으로 관리되는 자원으로 신속하고, 적합한 자원을 투입하여 재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 방재자원 관리는 시군구의 재난관리시스템과 중앙의 재난관리시스템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정보의 갱신이 실시간으로 되어있지 않아서 적시에 적합한 자원을 투입하기에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에 분산된 방재차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하여 가시성을 확보함으로써 적시에 적합한 자원을 투입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적합한 자원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방재자원을 분류하고, RFID 표준에 기반한 방재자원의 ID와 메타데이터 정보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방재 차원을 관리할 수 있는 모텔을 제시하였다.

방재자원 분류체계 현황 조사 (An Investigation of Classification System in Disaster Resources Management)

  • 김정수;노섭;김낙석;윤세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26-529
    • /
    • 2007
  • Storm and flood damage management systems i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NDMS) were organized into three operation systems. They are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systems. Disaster resources in each system must be promptly and exactly applied to minimize casualties and loss of properties. However, the disaster resources in current management system can not be immediately used in calamity situation due to the lack of efficiency in statistical data.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disaster resources in storm and flood damage systems was examined to develop the a standard technology in disaster resources management. Problems and reformation point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were also present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technique and to construct the data base.

  • PDF

방재 자원의 효과적 분류 및 식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Disaster Protection Resources)

  • 이창열;김태환;박길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65-77
    • /
    • 2013
  • 많은 기관에서 방재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하고 있으나 이들 자원에 대한 통일된 분류 및 식별 체계가 존재하지 않고 있어서 시스템 간의 호환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미국은 NIMS에서 방재자원에 대한 표준 체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표준 체계에 따라 IRIS, webEOC 등에서 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방재자원에 대한 분류와 식별은 궁극적으로 재난 발생 시 신속히 필요한 자원 리스트를 확인하고, 해당 자원을 정확히 찾을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 표준과 현장 요구사항을 반영한 방재자원에 대한 분류 및 식별 기준 체계를 제시하였다.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방재자원 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이창희;정우영;이창렬;강병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53-163
    • /
    • 2013
  • 최근 국내외적으로 자연 및 인적재난에 의한 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들 재난에 대한 피해는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으나 국가적으로 잘 준비된 예방 및 관리대책 수립에 의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방재자원은 재난 발생 시 투입되는 인력, 물자, 장비, 시설자원을 의미한다. 실제 재난발생 시 이들 자원의 신속하고 적절한 투입은 실제 그 재난을 최소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방재자원의 경우, 적절한 방재자원 동원을 위한 기준이나 분류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못한 상황으로 이로 인한 효과적인 자원관리 및 투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행 국내에서 불규칙적으로 적재, 활용되고 있은 방재자원의 효율적인 동원체계 구축을 위한 초기단계의 연구로서 보다 효율적인 방재자원의 관리 및 운영을 위한 방재자원의 기능별, 역할별 분류를 구축하고 이를 제시 보다 효과적인 방재자원 관리 및 동원시스템을 구축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응급복구장비의 분류와 운용방안 연구 (An Investigation of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Emergency Restoration Equipment)

  • 김정수;윤영노;김낙석;윤세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05-608
    • /
    • 2008
  • Storm and flood damage management systems i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NDMS) were organized into three operation systems. They are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systems. Disaster resources in each system must be promptly and exactly applied to minimize casualties and loss of properties. However, the disaster resources in current management system can not be immediately used in calamity situation due to the lack of efficiency in statistical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emergency restoration equip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mobilization of disaster resources in disaster situation. In this study, field survey was executed to appropriately classify the emergency restoration equipment. Problems and reformation points of the disaster resources system were also present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technique and to construct the data base.

  • PDF

국가 재난관리자원 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tegration of the Distributed Disaster Resources)

  •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04-311
    • /
    • 2014
  • 재난관리자원이란, 화재, 태풍, 홍수, 붕괴, 침수, 조난, 구호, 위생, 폭발 등의 재난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원이다. 이는 정부 기관,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 기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많은 재난관리자원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자원 관리 시스템이 각 기관사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기관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시스템 사이 자원 정보를 통합 또는 연계하기 위하여 용어, 분류, 교환 데이터 규격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는 표준 규격과 어떻게 시스템 사이 데이터를 연계하고 교환하는지 제시한다.

국가 방재 자원 통합 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el of the national disaster resources)

  • 이창열;김태환;박길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58-364
    • /
    • 2013
  • NDMS의 경우, 정보는 해당 지역 자원에 한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타 기관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여러 기관 사이에 분산된 필요한 자원을 찾기는 쉽지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원 관리 환경을 고려하여, 분산된 자원 관리시스템을 통합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것은 IDRM이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중앙 시스템을 중심으로 연계하는 새로 모델이다. 본 시스템은 한국도로공사, 전북도청, 그리고 대한건설기계협회의 테스트 사이트를 통하여 연계성이 검증될 것이다. 이러한 검증을 거쳐서, 본 시스템은 장래에 운영 가능한 실제 시스템으로 될 것으로 기대한다.

Mapping을 이용한 소방방재력 및 재해취약성의 연구 (Research on Disaster and Fire Response Capability and Hazard Analysis Using Basic Mapping Method)

  • 왕순주;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69-86
    • /
    • 2007
  • The fire department h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 as public resources of response to disasters in the aspect of supply and the adequate distribution of resources of response is essential, but the distribution of the response capability to disaster of fire department does not reflect the regional hazard vulnerability and hazard risks. Researchers performed database process with simple mapping based on the regional fir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and the regional hazard vulnerability and hazard risks. The cities and towns are divided to four types each, total eight types and relative threat ratios are extracted from every type. The fir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was extracted from number of firemen and fire vehicles in defined region. The distribution of the fir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was inadequate and not matching to relative threat especially in small cities and some types of towns. The regional relative threat and resources should be analyzed by more delicate mapping and software development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