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official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상황실의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COP기반 상황판 정보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풍수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Element of COP-Based Situation Panel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in the Situation Room)

  • 조정윤;송주일;장초록;장문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93-40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상황실 운영을 위한 새로운 인프라스트럭처 방안으로 공통작전상황도(Common Operating Picture, 이하 COP)의 개념을 활용하여 상황판에 공유되어야 하는 필수 정보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COP의 개념과 실제 해외사례를 확인하고, 재난상황 적용시 고려되어야 하는 COP 정보요소들을 재정립하였으며, 국내 발행된 재난대응 표준매뉴얼과 일일상황보고서 등을 분석하여 COP 재난대응 정보요소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정보요소는 재난유형 중 매년 피해를 야기하는 풍수해를 중심으로 총 4개의 단계(①신고접수 및 인지단계, ②상황전파 및 보고단계, ③비상기구 운영단계, ④수습·복구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재난대응 단계별로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사고규모, 기상 정보, 자원 현황, 구조 정보, 라이프 라인 시설 등으로 다시 구분하였으며, 해당 항목별 세부 정보요소들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필수적으로 상황판에 공유되어야 하는 정보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해낸 정보들은 COP 특성상 공간적·지리적 특징과 함께 공유되기 때문에 의사결정권자들과 담당자들에게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재난상황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재난대응 담당부처들이 해당 정보들을 공통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재난대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중.일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uei of the Jade Tablet, Hole of the Ivory Tablet, Ancient Korea and China, Japan)

  • 임명미
    • 복식
    • /
    • 제51권2호
    • /
    • pp.5-25
    • /
    • 2001
  • Jade, which is a kind of stone, with its transparent body, lustrous and bright character, But jade is not the only fair stone. There are three kinds of jade objects 1) tallies used in the court. 2) ceremonial jades. 3) ordinary jade for decoration, for inlaid work and for burial. Among the ceremonial jade, the most important were the "liu jui" and "liu ch′i." The former was supposed to be held by people in the court as symbols of their authority : 1) "then-kuei(鎭圭)" for the emperor. 2) "hang-kuei(恒圭)" for a duke, 3) "hsin-kuei(信圭)" a marquis. 4) "kung-kuei(躬圭)" for an earl, these "kuei" were alike in shape, but differed in size. 4) "ku-pi(穀璧)" for a viscount. 5) "p′u-pi(蒲璧)" for a baron, "pi(璧)" differed in decoration but were alike in shape. "Liu ch′i(六器)" were ceremonial objects used by the emperor in worshipping Heaven, Earth, and the Four Directions : "ts′ang-pi(倉璧)," greenish jade disk, used in worthipping Heaven "huang-tsung(黃琮)," yellow jade cylinder, used in worshipping Earth ; "cuing-kuei,(靑圭)" blue jade tablet. used in worshipping the East : "chih-chang(赤璋)," red jade tablet, used in worshipping the South : "hsuan-huang(玄璜)," black crescent, used in worshipping the North. Five kinds of tallies were "chen-kuei(鎭圭)," "yenkuei(琰圭)," "yuan-kuei(玩圭)," "ku-kuei(穀圭)." They were used to console people during disaster, to subjugate an official who had committed a crime, to reward a prize to an official for his merit or good conduct, to arbitrate disputes between high officials, to marry princess. and to dispatch troops. Since the west wei(西魏), Kuei and Hole were made of Ivory, wood and bamboo, who had ivory for fifth grade and wood and bamboo for under sixth grade. After Eastern Chou, all officials beginning to had kuei hole. symbol of Authority. and his wives. After Dang dynasty, Japan is the same. In korea. After king Bupheung in ancient and South(unification) Silla, North Kingdom Bohai, Koryo, and Chosen dynasty had ceremonial jade, Kuei and Hole.

  • PDF

공동주택 건축물 내 화재방호시스템이 피난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Analysis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ire Protection System on Evacuation Safety in Apartment Houses)

  • 김학경;최두찬;이두희;황현수;김희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8-50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방화관리자 및 건물 관계인이 피난안전성능 향상 계획 수립 시, 한정된 예산을 고려하여 피난안전성능 개선 항목 선정에 도움을 주는 수치해석 DB 구축 방향 수립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직통계단형 아파트 1개동과 복도형 1개동을 선정하여 정량적 평가기법인 CFD기반 피난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직통계단형 아파트는 방화구획 항목에서의 피난허용시간이 스프링클러설비 등 피난허용시간보다 약 130%이상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방화관리자 및 건축물 관계인은 적법하게 유지관리하고 직통계단형 공동주택에서는 "주거세대 별도 방화구획"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피난안전성이 가장 개선되고, 층간 방화구획과 스프링클러설비를 상시 유지보수 및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복도형 공동주택에서는 연기확산이 직통계단형 공동주택보다 제한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소화설비의 유지보수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난관리 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경기도 소방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ransfer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the Perceptions of Fire Officials -)

  • 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17-123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관리 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 제기 하에 교육훈련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기도 소방공무원들의 인식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외의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교육훈련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로 소방공무원들의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교육훈련 전이효과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유의미한 변수는 업무관련성, 학습문화, 동료지원, 자기 효능감, 학습동기, 학습능력, 교육방법 순으로 교육훈련 전이효과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 방재를 위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 장형순;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25-32
    • /
    • 2008
  •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cultural property is very important management and historical duties. The reason can't be measured values with monetary scale of our contemporary. Therefore, this paper was considered fire-safety as one of terrible threat-disasters about the wooden buildings. This research deal with 47 cases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 by whole investigation(field survey and interview) in Gangnung province. The most buildings have basic fire extinguisher; ABC powder. A few buildings are rarely install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s; outdoor fire hydrant, heat sensor, ground sprinkler, CO2-hose-reel. But these state is very insufficient for the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Specially as particular attention in province, forest fire of regional characteristic have close relation with cultural property fire. The majority of factor against forest and building fire is to provid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CCTV, Fence, Sensor, Alarm and paid guard man against incendiar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the organic cooperation such a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est Servic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gional citizen.

  • PDF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Non Face to Face Real 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1-103
    • /
    • 2022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후 교육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났고 소방학교 역시 대면교육을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 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생(소방공무원)의 교육효과는 떨어지고 만족도 역시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에 맞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등을 개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시스템 환경운영, 컴퓨터의 자기효능감, 콘텐츠(교육내용, 구조, 설계 등),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만족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사이에 조절변수로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추가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가 좋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적 일수록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학습만족도가 높아졌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이 높아지면 컴퓨터 자기효능감도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으로 인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육설계자 혹은 교수자는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비대면 교육콘텐츠를 제공해야하고 비대면 교육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고성산불로 인한 시설물피해특성 연구 (A Study on Facilities Damage Characteristics Caused by Forest Fire in Goseong-Gun)

  • 염찬호;이시영;박흥석;권춘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69-478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불에 의한 시설물피해 특성연구를 위하여 2018년 3월 28일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탑동리 산16(야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면적 40ha)을 대상으로 시설물피해 현황을 조사 하였다. 고성산불은 산림 및 농작물 피해는 물론이고,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 공공시설, 창고, 군사시설 등 17건의 시설물에 피해를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피해 시설물들의 세부적인 피해원인을 분석하여, 산림인접 시설물들에 대한 산불피해 방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고성산불발생시 기상을 분석하기 위해 산불발생과 진화완료시(2018.3.28 06:19 ~ 22:00)의 기상상황(기온, 풍속, 풍향, 습도)을 1분단위로 분석하였고, 시설물 피해 사례조사를 위해 고성산불로 인해 발생한 17건의 시설물 중 군사시설 등을 제외한 10건의 피해 시설물 주변의 경사도, 사면향, 지세특성, 산림과의 이격거리, 주요수종, 수관화발생 유무, 주택방위, 주택재질 등 9개 항목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산불피해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고성산불 발생과 진화완료시(2018.3.28 06:19 ~ 22:00)의 기상상황(간성 517AWS)은 기온 및 습도가 고온 건조한 상태였으며, 풍속은 평균 4.1m/s, 최대 11.6m/s의 강한 바람이 불었다. 주풍향은 W(225~315°)방향이었으며, 산불의 확산 방향과 일치하였다. 또한 산불피해 시설물들은 급경사지와 능선의 산정부에 위치하였고, 시설물주변 산림은 수관화 발생지역의 소나무 밀임분 지역이었다. 산림과 시설물과의 이격거리는 평균 13.5m이었으며, 시설물의 재질이 불에 강한 콘크리트였을 경우 경미한 피해를 입었지만, 샌드위치판넬 등 산불에 약한 재질은 모두 전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인 주택주변의 숲 가꾸기 실시와 이격거리 확보, 시설물들의 불연재 재질로의 개선 등을 통해 산림인접 시설물들에 대한 산불방지 대책수립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단위 표준강수증발산지수를 활용한 2014~2015년 북한의 극한 가뭄 평가 (Assessment of the Extreme 2014~2015 Drought Events in North Korea Using Weekly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 남원호;홍은미;최진용;김태곤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4호
    • /
    • pp.65-74
    • /
    • 2017
  • North Korea is one of the high vulnerable countries facing the threat of natural disaster and has experienced more frequent disasters in recent years. These disasters have significantly led to food shortages and large reductions in crop yields. In 2015, both North Korean officials and international agencies had identified the extreme drought event, the worst in one hundred years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an assessment of the extreme drought events in 2014~2015, and to apply climatic drought indices for drought monitoring in North Korea. Characteristics of the extreme drought in North Korea are examined by using the weekly-bas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The drought characteristics illustrated by the SPEI results are compared with a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results and drought impact information to understand how these indices can explain the drought conditions within the countr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PEI could be an effective tool to provide improved spatial and temporal drought conditions to inform management decisions for drought policy.

졸헌(拙軒) 조택승(曺澤承)(1841-1907) 초상화(肖像畵) 고찰(考察) (Consideration of Jolheon Jo Taek-seung(拙軒 曺澤承, 1841-1907)'s portrait)

  • 이은하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1-38
    • /
    • 2012
  • Jo Taek-seung(曺澤承, 1841-1907), who devoted himself to medical science mostly living in Haenam, and his son Jo Byeong-hu(曺秉侯, 1869-?) are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oriental medicine. The medical science of Jo Taek-seung appointed as Jusa(主事) of Hyeminwon(惠民院) in 1902 was handed down to his only son Jo Byeong-hu, who succeeded to his father's medicine and polished up the medicine, and recorded the results "Sanghangyeongheombangyochwal(傷寒經驗方要撮)" in 1933. Jo Taek-seung's portrait has been handed down to Jo Taek-seung's descendents' house in Munane-ri, Haeman. Not only does Jo Taek-seung's portraits well present the features of portrait mode of Joseon Dynasty period in the 19th century in their front view, exposure of two hands, expressive mode, background articles, etc, but also praises, poems, etc. giving information on manufacture intent, etc. to give prominence to the authors recorded by Jo Taek-seung, time of manufacture and position of medical official appears in one screen. In this paper, through disaster-removing poetic sentence showed in Jo Taek-seun'sg portraits, it was found that the author of the portrait is Choi Byeong-uk who worked mostly staying in Seoul and the present portrait was the one re-painted in 1907 by revising the portrait painted in 1894 when Jo Taek-seung was 54 years old, after Jo Taek-seung died. With regard to revised portion, presuming through records on the pictur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mode with portraits of doctors in the 20th century, it seems that the clothing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first version was revised into the clothing of medical officials showing the position of Jo Taek-seung who took office as Jusa of Hyeminwon at the time of re-painting the portrait. Jo Taek-seung's portrait not only becomes important materials in the oriental medicine and historical world in the aspect of manufacture process, mode, etc. of Korean portraits including an aspect of medical official's portraits, but has significant meaning from the aspect of fine art history or clothing history.

지역 단위 가뭄단계 판단규칙 개발에 관한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drought stages at the local level)

  • 이종소;전다은;윤현철;감종훈;이상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929-937
    • /
    • 2023
  • 본 연구는 2022-2023 광주・전남지역 가뭄 사례를 바탕으로 지역 단위에서 가뭄의 심각성을 토대로 가뭄단계를 판단하는 규칙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시・군 단위로 발표되는 8가지 가뭄지표 중에서 농업용수(논) 가뭄단계, 생・공용수 가뭄단계, SPI-12,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예년 대비 가정용수 사용량 변화율, 예년 대비 비가정용수 사용량 변화율 등의 6가지 지표는 담당자・전문가들의 인식과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가뭄지표를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뭄의 심각성을 판단하기 위한 규칙을 도출하였는데,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기존의 방법과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나, 광주・전남지역 가뭄에서 확인된 시・공간적인 패턴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비교우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