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9초

재난 예방활동 강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 제안 (A Proposal of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 김상덕;김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02-513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에 대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절차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적용범위에 규정된 재난관리 단계별 각 활동을 포함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A'기관의 운용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요구사항에 맞는 업무연속계획 대상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재난관리 단계별 내용과 절차를 명확히 정의하고, 4단계별 활동에 대한 업무연속성계획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결론: 기업재난관리표준 요구사항에 대하여 재난관리활동 각 단계별 활동을 포함한 PDCA모델을 제시하였고, 재난의 예방 및 대비계획을 포함하는 광의의 재난관리 개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자연재해 평가를 위한 방재기상 DB 정보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

  • 박종길;정우식;최효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41-49
    • /
    • 2007
  • 자연재해로부터 야기되는 피해를 줄이고 자연재해저감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기상정보와 재해자료에 근거한 정확한 예보와 방재활동이 요구된다. 또한 사전방재활동을 위해서는 방재기상정보로의 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행정자치부에서 발행하는 통계연보와 재해연보, 중앙재해대책본부에서 발행한 최근 10년간 자연재해 피해 현황, 기상청에서 발행한 기상연보를 이용하였다. 이들 4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자연재해의 원인과 피해요소, 발생빈도, 취약지역 등을 분석하였는데, 이들 자료는 피해내역과 기상현상에 대한 분류 및 용어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재해의 종류와 피해액을 비교 분석한 결과, 기상재해 원인과 피해 요소, 피해액, 피해지역 등과 같은 재해 변수를 선정하고, 재해연보를 이용하여 database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database는 앞으로 자연재해 저감계획과 risk model을 개발하고 자연재해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한반도 피해 현황 분석 (The Meteorological Disaster Analysis for the Natural Disaster Mitig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종길;최효진;정우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19-322
    • /
    • 2007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 and states of natural disasters at the Korean Peninsula from 1985 to 2004. Using the data of Statistical yearbook of calamities issu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issu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 have analyzed the cause, elements, and vulnerable regions for natural disasters. Major causes of natural disaster at Korean Peninsula are four, such as a heavy rain, heavy rain typhoon, typhoon, storm snow, and storm.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 is the highest from June to September. The period from December to March also shows high frequency. The total amount of damage is high during the summer season(Jul.-Sept). The period from January to March shows relatively high amount of damage due to storm and storm snow The areas of Gangwon-do,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are classified the vulnerable region for the natural disasters. By establishing mitigation plans which fit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isaster for each region, damage from disaster can be reduced with efficient prevention activities.

  • PDF

자연재해 평가를 위한 방재기상 DB 정보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

  • 최효진;박종길;정우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15-318
    • /
    • 2007
  •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we needs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classified into the cause of disaster, damage elements etc. For this, we have analyzed four data, such as Statistical yearbook of calamities issu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issu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Recently 10 years for natural disaster damage and Statistics Yearbook from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uman affairs. Through the analysis of disaster data, we have selected input variables, such as causes and elements, occurrence frequencies, vulnerable areas of natural disaster, etc. In order to reduc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 the prevention activities and forecasting based on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damage datas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cess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Through these procedure, we have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database about natural disasters. This database will be used to assess the natural disasters and build risk model and natural disasters mitigation plan.

  • PDF

공공기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 지원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을 위한 필요기능 연구 (The study on the function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 Kim, Minji;Kim, Doyeon;Lee, Mise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2-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대상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ISO22301 등 업무연속성관리/기능연속성계획 표준문서와 해외 선진 사례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기능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을 제외하고, 영향분석 리스크 평가 경감활동 대응계획 교육 및 모의훈련 재난대응 문서관리가 도출되었다. 향후 업무연속성관리 및 기능연속성계획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공공기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방재 City 서비스 및 기술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u-disaster prevention City service and technology)

  • 이범교;김현주;한진우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277-280
    • /
    • 2008
  • Starting from 2005, as the new city paradigm, the term 'u-City' was created in Korea. U-City service, as defined in "u-City law", is a service that connects and intermediates among government, traffic, welfare, environment, disaster mitigation, etc., and their data based on ubiquitous city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survey executed by local governments, the improvements in the standard of living of citizens have in turn increased the needs for anti-mitigation services. Such trend is bolstered with the recent disasters such as the conflagration of Korean Soong-rae Gate and the devastating earthquake of Sichuan province. This article describes a concept of the u-City disaster prevention service and looks into the activities and planning of u-City disaster prevention service of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also briefly looks into the law and policies to derive the needs of u-City disaster prevention service as well as the current technologies and u-City disaster prevention services of local governments. Ultimately, this paper offers the strategic direction of developing u-Disaster Prevention City.

  • PDF

세계적 재난 발생에 따른 국제방재전략 및 표준지원체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rategies and Standard Support System for Global Disaster Occurrence)

  • 박덕근;오정림;송영갑;이민석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5-30
    • /
    • 2009
  • 기후변화 동에 따른 세계 재해의 발생빈도 및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UN 등 국제사회에서는 피해지역에 대한 재해 복구 지원과 원조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저개발국가의 재해경감을 위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KOICA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체계적인 국제지원체계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적 재해에 대한 UN 국제기구, 선진국가의 체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재해경감 노력에 참여하고 국제 사회에서의 국가위상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 PDF

자연재해저감을 위한 한반도 피해 취약성 분석 : 공공시설피해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Damages Vulnerabilities for a Natural Disaster Mitigation : Focus on Public Facilities Damages)

  • 박종길;정우식;최효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3-422
    • /
    • 2008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 state of the damages and vulnerable areas from natural disasters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the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information made by Park(2007b).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amage elements and total property losses, we investigate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which hav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cause of disasters and want to propose th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in advance. As a result, because most of the total property losses is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we can reduce the damages of natural disasters if we can predict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or carry out the prevention activities in advance. The most vulnerable area for the natural disasters are Cangwon-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The vulnerable areas for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by typhoon are Daegu metropolitan city, Cangwon-do, and Gyeongsangbuk-do provinces. These vulnerable areas will take place more frequ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including Gyeongsangnam-do province so that we need to set up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natural disaster mitigation plan. Also, we think that it has effect on reducing the damages of natural disasters to predict the damage scale and strongly perform the prevention activities in advance according to typhoon track and intensity.

재해구호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ity of Volunteer Activities for Disaster Relief)

  • 권영섭;정순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75-7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재해구호 자원봉사자의 활동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재해구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2년 이후 최소 1회 이상 재해구호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만 20세 이상의 자원봉사자이다. 2008년 5월 7일부터 5월 27일까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자원봉사센터 등 총 4개의 기관에서 활동한 자원봉사자로부터 회수된 총 26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재해구호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은 연령이 많을수록, 직업이 있는 사람일수록, 참여적극성이 높을수록, 배치 및 업무부여가 잘 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에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재해현장의 특성 상 배치 및 업무부여가 매우 중요하므로 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활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고 봉사자들이 수행한 업무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자원봉사자 배치 시 연령, 직업과 같은 개인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하며, 봉사자들이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부여해 주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재해구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다양한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안전도 진단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Safely Index for Community Disaster)

  • 장대원;정상만;박무종;김형수;서병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19-12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재해 발생 위험과 피해규모를 재해연보상의 다양한 유형으로 재구성하고 시설물별 재해 저감능력 및 예방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는 기상학적, 수문학적 취약성과 재해 발생 확률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GIS 기반의 DB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시설물별 저감능력 대비 피해규모를 매칭하여 지역안전도를 진단하였다. 개발된 안전도 지표는 지역의 인명을 보호하고, 피해를 감소하며, 방재 시설물을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재해 유형별 피해유형분석을 GIS 기반의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