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awareness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2초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자체 역량분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 유병태;오금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66-275
    • /
    • 2013
  • 최근 복합재난 환경 속에서 지역 방재력을 구축하기 위한 재난안전관리의 선진화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2012년 9월 구미 불산 유출사고를 겪으면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역량의 중요성 및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와 함께 안전 확보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증대는 지역 주민들의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권리를 가시화하였고 사회적 이슈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업무역량을 평가 분석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재난관리 역량강화 지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재난관리담당자 중심의 웹 기반 체계를 구축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재난안전관리 역량 수준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또한, 재난안전관리 정보를 지역주민들이 이해하기 용이하게 지표화하여 공개하도록 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취약성을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노력과 함께 이를 지역주민에게 공시함으로서 지역사회의 참여를 바탕으로 최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해안오염방제 자원봉사자에 대한 실용적인 교육제도 연구 (A Study on Practical Education System for Coastal Pollution Control Volunteers)

  • 장지웅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43-350
    • /
    • 2022
  • 연구목적: 2007년 발생한 태안 기름유출사고는 우리에게 커다란 교훈을 주었으며 사회적 재난의 대표적 사례이다. 자원봉사자의 눈부신 헌신과 봉사를 통해 극복했다. 그러나 자원봉사 이면에는 유출된 기름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두통 등 건강장해와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안전사고는 불안전한 행동에 기인하였고, 불안전한 행동은 안전의식의 결여 또는 무지에서 왔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산업안전보건법과 연계하여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산업안전보건법과 해안방제와 관련한 법률 그리고 과년도 산업재해통계의 불안전 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해안방제에 투입되는 자원봉사자에 대하여 실시하여야 할 교육내용과 교육 시간을 산업안전보건법의 근로자와 대비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 관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은 안전의식과 직결하고 불안전한 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

중요목조문화재 안전경비인력 의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Safety Security Manpower of Important Wooden Cultural Heritage)

  • 신호준;구원회;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37-1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중요목조문화재를 직접 관리하고 있는 안전경비인력에 대한 제도를 검토하였고 전국 158개 중요목조문화재에 배치되어 있는 안전경비인력의 배치인원, 연령, 업무, 교육 및 훈련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의식조사를 통해 안전경비인력의 배치인원, 연령, 교육 및 훈련 내용, 범위 등의 인프라에 대한 세부 기준이 없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목조문화재 방재대책 수립 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보일러실 화재.폭발사고 경감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tigation method of explosion and fire accidents in the Boiler room)

  • 손은수;백명기;송재수;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405-409
    • /
    • 2007
  • This paper focused on the way of prevention of disaster in the accident of explosion when the fire broke out in the boiler room where installed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and showed the effective ways for sustaining people and property safely in the view of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law and safety awareness of people.

  • PDF

Latent Profil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Fire Safety Awareness

  • Lee, Soon-Beom;Kim, Eun-Mi;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124-13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fire safety awarenes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May 25, 2021 for 1054 high school students (male; 569, female; 485) in 3 cities, in Jeollabuk-do. The latent profile was analyzed using a scale consisting of 4 sub-factors: 'fire prevention', 'fire preparedness', 'indirect fire response', and 'direct fire response'. It was check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ter-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latent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e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The three groups were named 'High Perception Type', 'Moderate Perception Type', and 'Low Perception Type' according to their types. In fire safety awarenes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latent profile.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latent profile of high school students' fire safety awareness, and it is also meaningful to provide a useful basis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ustomized fire safet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tendencies of spontaneous groups and their fire safety awareness.

안전문화 수준 척도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afety Culture Level Scale)

  • 정경옥;양계봉;김영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32
    • /
    • 2022
  •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Critical Disaster Punishment Act" in 2022,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organization is being established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afety culture is spreading. Measuring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an organization can grasp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members about safety. You can also identify the safety-related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prior studies on the safety culture level scale were considered, focusing on domestic literature studied from 2001 to 2021. Domestic literature was analyzed by research period, research field, author, core terms, and constituent factors of scale.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rend analysis results of the safety culture level scale were derived.

재난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saster Awareness on Government Trust)

  • 이영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7-63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재난에 대한 위험인식 수준이 정부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험 인식 수준 차이와 사회재난 위험인식 수준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위험성 정도가 높은 3개 사회재난 유형(조류독감, 미세먼지, 핵발전소)을 추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남녀 1,1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재난 인식 수준은 사회재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재난에 대한 자발성, 개인적 지식, 친숙도, 심각성, 두려움, 회복가능성 위험은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재난에 대한 지연성 위험 인식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재난에 대한 과학적 지식, 통제가능성, 치명성, 발현시기 위험 인식은 정부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서술하였다.

화학전공 특성화 고등학생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warenes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 in Chemistry Major)

  • 홍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17-625
    • /
    • 2020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화학 관련학과 재학생의 재난안전교육 및 안전교육에 관한 의식을 알아보고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 4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5점 척도로 3.44로 타인의 안전의식 2.85 보다 좋다고 생각하였으며, 안전규정을 지키는 것은 타인에 대한 배려라고 생각하고 있다.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전교육은 필요하지만,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흥미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화학전공학생들은 학교에서 진행되는 실습관련수업에서 안전에 관한 교육은 받고 있었으나, 실험시간에 보호설비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재난의식에 대해서는 정(+)의 상관성을 가지며, 안전의식과 소방안전 인식은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재난안전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이를 위해 안전에 대한 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매뉴얼의 개발을 제안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시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과 윤리 인식, 윤리적 의사결정 (Awareness about pandemic influenza, Ethical Awareness, and Ethical Decision-making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situation of COVID-19 pandemic.)

  • 박미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35-344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신종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과 윤리 인식, 윤리적 의사결정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H읍과 Y시의 간호대학생 3, 4학년 194명이며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이며 윤리 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은 높은 수준이었다. 본인이나 가족의 신종감염병 감염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윤리 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 수준이 더 높았다.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은 신종감염병 관련 윤리 인식(r=.291, p<.001), 윤리적 의사결정(r=.143, p=.046)과 양의 상관이 있고, 감염병 관련 윤리 인식은 윤리적 의사결정과 양의 상관(r=.274, p<.001)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병 대유행 시 간호대학생들의 올바른 윤리적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소방공무원 근무환경에 대한 안전보건 의식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nd Health Consciousness for the Working Environment of Fire Fighter)

  • 이종호;김요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7-143
    • /
    • 2015
  • Fire fighter are exposed to the situations which are hard to predict due to continuous and accidental changes which hinder their fire fighting activity. As these threats of safety accident act as fear factors, they are doing insecure fire fighting activities. Therefore, as unclear and abnormal risks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he riskiness of expansion of disaster, instability, obstacles of activities, abnormality, urgency, etc. increase, safety accidents are caused.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and health and awareness of fire fighter who are exposed safety accidents during their fire fighting activities and utilize such result as the basis data to secure safety of fire fighter, keep efficient safety control and prevent acciden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As rescue works among all fire-fighting works shows the highest emotional stabilization and the highes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shown in fire sergeant level positions, and fire fighters whose working period is 10-15 years, reinforcing safety training to long-term workers is necessary. As the result of survey regarding safety awareness, the highest awareness level was shown in fire sergeant level positions, and fire fighters whose working period is over 20 years, and when it comes to opera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s, fire-fighting workers and workers having 1-4 years of working period showed high safety awareness. The more serious injury in a fire fighter experienced as the first injury after working as a fire-fighter, the mor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personal physical condition and work, and it is shown as obstacles of fire fighting activities and affects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oreover, as after-work off duty activities also affect to official disaster, systematic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is required. Occupational medical work compatibility evalu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orks to secure fire-fighter' health care together with fire-fighting capability is shown to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