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sponse

검색결과 1,090건 처리시간 0.022초

재난대응계획 및 매뉴얼 등의 발전방안 (Improvement Suggestion for Emergency Response Plans and Manuals)

  • 이용재;위금숙;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29-34
    • /
    • 2013
  • 최근 자연적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재난의 규모와 복잡성이 점점 증가하는 양상이며, 이로 인해 단일 기관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다수 기관이 동일한 현장에서 재난대응을 할 경우 유기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서는 사전에 합동대응을 위한 대비가 필요하다. 재난대응계획은 재난발생 시 대응기관 간 역할과 책임을 규정한 것으로서, 특히 합동대응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기관 간에 수평적 수직적 상호협력체계가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립하고 있는 안전 관리계획, 위기대응매뉴얼 등 다양한 계획과 매뉴얼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외국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고, 수직적 수평적 협력이 가능한 재난대응계획의 구조와 내용 등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Experience of Disaster Response Team in Jecheon Sports Center Fire

  • Ha, Jeongmin;Kim, Hyun-Jung;Kim, Jin-Hwa;Park, Dahye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8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xperiences of the disaster response team 9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disaster after the fire incident occurred in Jecheon Sports Center and their meaning and essence. Methods : Nine disaster response teams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online between January 6 and April 30, 2021, from the software ZoomTM.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experiential research method, which has an advantage in revealing the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experience. Results : Three major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results: the stimulus through unfamiliar experiences, the grievances due to work environmen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ullness resulting from hiding and enduring. The following 17 sub-themes were identified: learning through unfamiliar experiences, frustration due to unexpected circumstances, shock from unfamiliar experiences, doing my best in the present, confidence due to increased experience, disunified system, intervention of various interests, the atmosphere that puts responsibility on others, inactive help, unforgettable regional characteristics, working without time to settle, tolerating it in my own way, memories left in the unconsciousness, sudden suffering from memories that come to mind, movement in anxiety and tension, dullness, work with colleagues in the same situation.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in preparing a long-term strategy for effective policy direction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based on the systematic mental health management of the disaster response team. Additionally,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future research among Disaster Response Team.

A Gaussian process-based response surface method for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 Su, Guoshao;Jiang, Jianqing;Yu, Bo;Xiao, Yilo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6권4호
    • /
    • pp.549-567
    • /
    • 2015
  • A first-order moment method (FORM) reliability analysis is commonly used for structural stability analysis. It requires the values and partial derivatives of the performance to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random variables for the design. These calculations can be cumbersome when the performance functions are implicit. A Gaussian process (GP)-based response surface is adopted in this study to approximate the limit state function. By using a trained GP model, a large number of values and partial derivatives of the performance functions can be obtained for conventional reliability analysis with a FORM,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stability analysis calculations. This dynamic renewed knowledge source can provide great assistance in improving the predictive capacity of GP during the iterative process, particularly from the view of machine learning. An iterative algorithm is therefore proposed to improve the precision of GP approximation around the design point by constantly adding new design points to the initial training set. Exampl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GP-based response surface for both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reliability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applicable to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es that involve implicit performance functions and structural response evaluations that entail time-consuming finite element analyses.

학습 성능 향상을 위한 차원 축소 기법 기반 재난 시뮬레이션 강화학습 환경 구성 및 활용 (The Design and Practice of Disaster Response RL Environment Using Dimension Reduction Method for Training Performance Enhancement)

  • 여상호;이승준;오상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7호
    • /
    • pp.263-270
    • /
    • 2021
  • 강화학습은 학습을 통해 최적의 행동정책을 탐색하는 기법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인명 구조 및 재난 대응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재난 대응을 위한 강화학습 기법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그리드, 그래프와 같은 환경 혹은 자체 개발한 강화학습 환경을 통해 평가를 수행함에 따라 그 실용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강화학습 기법을 실세계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존 개발된 재난 시뮬레이션 환경의 복잡한 프로퍼티를 활용하는 강화학습 환경 구성과 활용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제안 강화학습 환경의 구성을 위하여 재난 시뮬레이션과 강화학습 에이전트 간 강화학습 커뮤니케이션 채널 및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시뮬레이션 환경이 제공하는 고차원의 프로퍼티 정보의 활용을 위해 비-이미지 피쳐 벡터(non-image feature vector)에 이미지 변환방식을 적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제안 방식이 건물 화재 피해도를 기준으로 한 평가에서 기존 방식 대비 가장 낮은 건물 화재 피해를 기록한 것을 확인하였다.

해외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사례기반 산불재난대응 연구 (A Study on Wildfire Disaster Response based on Cases of Inter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 이지현;박민수;정대교;박승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345-352
    • /
    • 2020
  • 산불재난은 위험요소에 대한 경우의 수가 많고, 범위가 넓으며 파생되는 피해 다양성도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산불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및 시스템이 생겨나고 있다. 국외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은 빅데이터, GIS 기반 시스템, 의사결정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였다. 산불재난대응 체계 및 시스템에 대해,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국내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 대안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각 기관에서 파악한 정보 및 현장 정보를 통합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둘째, 재난대응 시스템에 빅데이터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기존에 GIS 기반 시스템에 의사결정 시스템을 적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의 대응방안으로 기존 재난 안전 관리체계에 제안했을 때,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가시화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시화 플랫폼으로 의사결정을 도와줄 수 있으며 최적의 결과로 최소한의 피해를 기대할 수 있다.

재난대응계획에서의 상호협력체계 연구 (A study on the Mutual Cooperation in Emergency Operation Plan)

  • 김종민;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27-34
    • /
    • 2012
  • 점차 산업이 고도화되고, 사회가 도시화, 세계화됨에 따라 재난 발생에 따른 피해 확산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가 크고 광범위해져 가고 있다. 이에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인 재난대응 체계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를 위한 한 방안으로 상호협력체계 구축과 관련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주로 중앙행정기관 차원에서의 상호협력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실질적 재난 현장인 시 군 구와 시 도에서의 상호협력체계 구축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지역 재난현장에서의 상호협력체계 구축 연구를 위해, 2012년부터 매달 시행하고 있는 인적재난 월별훈련에 참여하면서 시 군 구와 시 도에서의 상호협력체계 구축을 시도하고, 지역에서 상호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재난 훈련 시 필요한 훈련 시나리오를 설계하였고, 상호협력계획 수립을 위한 각종 서식 등을 개발하였다.

지역방재력 평가에 관한 연구(2): 강원도를 중심으로 (Research of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Evaluation(2): In the case of kangwon-do)

  • 김경남;권건주;백민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81-89
    • /
    • 2009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활동은 재난관리의 주체가 전적으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인 공공행정이 책임이라는 인식하에서 추진되었지만, 대형화되는 재난현장에서 공공분야만의 재난관리 역량으로는 실제 재난발생시 기대했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에 주민대표(이, 통장)를 대상으로 대비-대응-복구 단계별 "주민개인-주민공동-민관협동" 에 의한 재난관리 대비태세를 중심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자율방재단원들이 지역방재력량을 발휘하기 위한 요소를 "위험 인지능력, 피난유도능력, 자주피난 대비능력, 방재체제 정비정도, 감시경계능력, 정보전달능력" 등 6가지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해외사례를 통한 재난대응 거점기지 구축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Response Base Station through Overseas Case Review)

  • 옥영석;박미리;전재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8-675
    • /
    • 2017
  • 국내에서는 최근 지진과 홍수 등의 자연 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및 구호 등에서 효과적이며 신속한 대응 능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응하는 행정기관에서는 해당 담당자의 순환 보직 현실과 행정적 성격으로 인하여 민간협력과 재난대응 거점기지 등과 같은 기본적인 재해 대응을 위한 소프트적이고 물리적인 시스템이 아직은 유기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일본의 경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및 NGO간 상호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재난에 대응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공공부문에서 대부분을 광범위하게 재난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자연재해 뿐 만 아니라 복합성격의 연계성 재난이 발생됨에 따라 공공부문의 노력만으로는 재난관리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갖가지 위기에 대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예상 할 수없는 상황에 직면 해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과 미국사례를 통해 재난대응거점을 검토하였고, 이를 통한 시민부문과 기업부문에서의 협력네트워크 방향과 함께 재해 대응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재해 대응 거점 시스템의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Analyzing Disaster Response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강성경;유환;이영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41-155
    • /
    • 2016
  • 세월호 침몰사고, 판교 환풍구 붕괴사고 등 재난은 점차 복합적이고 대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기관들의 협업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다수기관 간 협업과정에서는 다양한 용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의사소통은 '용어'를 기반으로 하므로 '용어'에 대한 중요성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선정하여 텍스트 마이닝 및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해 어떤 용어가 대응과정에 있어 핵심적인 용어인지를 파악해보았다. 텍스트 마이닝의 TDM을 이용하여 역문헌 빈도수를 산출해 용어와 문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SNA를 통해 노드(용어)와 노드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용어분석의 결과 표현은 용어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는 마인드맵(Mind Map)을 이용하였다. 용어는 미국의 NIMS, EMR, 그리고 우리나라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토대로 온톨로지 개념에 따라 계층적(Class, Object, Instance)으로 분류하였으며. 신문기사와 사설, 정책보고서 등의 정부 간행물에서 선정하였다. 이러한 재난대응 핵심용어의 파악은 재난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 개념에 따라 용어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재난 대응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을 축적하고 검색하는데 용어의 분류체계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사고대응 시나리오 작성 시에도 핵심용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방계자원관리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속성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조직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Quality on Working Performance for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 Focusing o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

  • 민금영;정덕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5
    • /
    • 2008
  • The disaster damage can be reduced not only by quick response to its scene, but also by right resource allocation to the right places. The role of information quality on disaster resource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disaster managemen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quality and performance on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The information quality control for the disaster response operator is central to deliver right information to right people among different government levels such as local, state, and feder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