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sponse

검색결과 1,078건 처리시간 0.035초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s)

  • 구지희;송주일;조정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40
    • /
    • 2022
  • COVID-19, 집중호우, 화재 등 다양한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재난관리 및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재난대응 활동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현장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되 사진 및 동영상 등 영상정보를 통해 현장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신속한 재난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재난유형별로 재난대응 단계별 필수적인 활동 업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각 재난 유형별 관련법, 일일상황보고 등의 각종 서식상의 수요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시 요구되는 필수정보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난발생시 재난현장의 상황파악 및 실시간 피해현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목록도 함께 도출하여 재난현장 정보 수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재난상황정보는 공간정보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상황인식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표출하였다. 우선적으로 수집해야할 재난상황관리 필수정보를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필요로 한 정보만을 전달받아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하므로 재난 상황관리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119구급대원의 다수사상자 발생 재난 현장의 대응 역량에 관한 연구 (Multiple casualty disaster scene response management: a survey of 119 paramedics)

  • 이효철;김지희;신요한;국종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85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rrently active Korean paramedics' disaster response abilities, including immediate response, severity classification, patient treatment, and patient transfer, in a disaster situation with multiple casualtie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25 questions was used, including 5 questions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20 questions on disaster-related emergency response abilities. Results: Among the disaster response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patient transport ability scores were high and the cooperative support ability scores were low.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it was high in the 40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competenc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educational system with components inside and outside fire departments related to multiple casualty disasters to improve overall abilities.

THE POTENTIAL USE OF A PUBLIC WEB SERVICE TO GUIDE CONVERGING CONSTRUCTION EQUIPMENT IN US&R

  • Albert Y. Chen;Feniosky Pena-Mor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582-585
    • /
    • 2011
  • During disaster response, prioritization of limited resourc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st challenging tasks. At the same time, it is imperative to timely provide the rescuers with the adequate equipment to facilitate lifesaving operations. However, supply of high demand equipment was insufficient during the initial phase of disaster response, challenging lifesaving operations in the case of the 9-11 terrorist attacks. In respond to the Haiti Earthquake, spatial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 area was not sufficient to support the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in the early phase of disaster response. However, with the help of civilians, information such as road names, infrastructure damage, and victim locations were updated into the spatial data repository. At the same time, resource outside of the disaster affected zone converges into the area to assist the response efforts, which is the effect of convergence that often made resource coordination challenging in large scale disasters. To efficiently collect information and utilize the converging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flexible data repository for information update for equipment utilization in large scale disaster response scenarios.

  • PDF

재난현장 대응체계 역량강화를 위한 소방공무원 의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ire-Fighting Officer for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 우재봉;신호준;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76-28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재난 발생 시 반복되는 재난현장 대응체계 현황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소방대공무원의 의식조사를 통하여 재난현장 대응체계의 현 실태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재난현장에서 재난안전대책본부와 긴급구조통제단의 유기적인 협조체계가 이루어져 명령에 대한 권한의 중복성이 없도록 행동의 범위 및 시점이 명확하게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재난현장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체계가 구축되어야 하고 그를 위한 인력 및 장비도 증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재난 발생 시 초동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술 개발 및 대응계획 수립 등 세부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풍수해 현장대응업무 분석을 통한 재난현장 일반직 공무원 대응편제 개발시 고려사항 연구 (Development Considerations of Natural Disaster Command System for Public Officers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at On-Scene)

  • 위금숙;정안영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7-53
    • /
    • 2013
  • 우리나라의 표준현장지휘체계는 긴급구조통제단 가동 시 소방기관이 지휘권자가 되는 긴급구조 활동에만 국한되어 있는 재난현장 대응편제체계이다. 그러나 풍수해, 산사태 등 재난 발생 시 많은 일반직 공무원들도 재난현장에서 대응활동과 수습활동을 수행하나 이들을 위한 재난현장 대응편제체계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난현장에서 일반직 공무원들과 유관기관들 간에 신속하고도 단절됨이 없이 협력적으로 대응과 수습활동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관 간 협력 필요업무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재난현장 대응편제체계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공간정보기반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lan of Volcanic Disaster Response 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김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57-7363
    • /
    • 2014
  • 우리나라는 화산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지대로 알려져 있으나, 과거 1,000년 전에 백두산에서 큰 분화를 한 사례가 있으며 최근 화산분화의 전조현상들이 자주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고를 하는 화산전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화산재해 발생시 공간정보 및 과학모델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세부적으로 언급하면 첫 번째로 사용자업무 및 관련시스템을 분석하여 화산재해 대응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두 번째로 이를 기반으로 화산재해대응시스템 설계 및 개발을 수행하며, 세 번째로 도출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활용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에 지역에 발생할 화산재해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항 지진과 일본 지진관리 업무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arthquake Management in Pohang and Japan)

  • 김수란;김혜원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3-199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reate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an earthquake. Japan's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Basic Act, addresses all of the disaster phases of prevention, mitigation, preparedness and emergency response as well as recovery and reconstruction with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clearly defined. Korea's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re including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Basic, but when the 9.12 earthquake occurred,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early response, study on the earthquake lack were revealed.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survey and analyzed coping process after Po Hang earthquake. Therefore, this study have found that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are operated rapidly. They are coped with urgent safety inspection for damage facilities and soil liquefaction with advanced equipment. And The headquarters interviewed with victims. So they found out What the victims needed. However, when carrying out relief activities, Research of temporary housing and allocation of donations was not rapid. Further, this study have found that earthquake specialists were lack and disaster information transfer was not working.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in plann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an earthquake.

현실감 있는 재난재해 예방 교육을 위한 VR 기반 앱 개발 (The Development of VR based Application for Realistic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 김태훈;윤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87-293
    • /
    • 2018
  • 한반도는 화산 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백두산 및 일본 화산들을 포함한 극동아시아의 화산 관측동향 및 연구결과들은 더 이상 한반도가 화산 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이 아님을 나타내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2년부터 효율적인 화산재해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IT 기반의 화산재해대응시스템(VDRS: Volcanic Disaster Response System)구축기술을 개발해 왔다. VDRS의 주요 사용자는 대한민국 중앙 및 지방정부 공무원들이나 이들 대부분은 화산재해를 경험해 보지 못하였으며, 기본적 지식도 부족하다. 따라서 실제 재난 시, 효과적인 VDRS의 사용 및 재난대응을 위해서는 재해 대응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교육의 실시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실감 있는 화산재해 대응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반의 모바일 앱 개발을 다루고 있다. 교육의 목적은 화산재해 관련 지식의 전달과 체험이다. 첫째, 공간정보 기반의 VR 콘텐츠를 제작한다. VR 콘텐츠를 제작을 위해서는 수치표고모형 기반 3D 모델이 구축되고, 기상효과 및 다양한 화산재해 확산 가시화 모델이 개발된다. 둘째, 화산재해 대응을 위한 교육앱이 개발된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12단계의 화산재해 체험 스토리 보드를 제안한다. 앱은 스토리 보드를 기반으로 Unity3D 엔진을 이용하여 개발되며 다양한 화산재해(화산재, 화쇄류, 화산이류 등)를 체험하고 이들에 대한 지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화산재해 대응 및 예방을 위한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증강현실 기술과 연계한다면 보다 현실감 있는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나리오 기반 환자 분배 및 의료진 할당을 위한 재난 대응 최적화 모형 연구 (Scenario-Based Optimization of Patient Distribution and Medical Resource Allocation in Disaster Response)

  • 진석호;김장엽;김경섭;정석재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1-162
    • /
    • 2014
  • This study proposes an optimization model to plan the patient distribution and medical resource allocation considering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For reflecting the particularity of disaster response, we configured a few scenarios such as availability of emergency surgery of non-major medical staff and the change in number of patients estimated reflecting the uncertainty, urgency and convergence of disaster. And we finally tested the effects of the scenarios' combination on the objective function defined as maximum number of survival patients. Our experimental results are expected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proposed model as well as the applicability of scenarios under disaster response.

재해방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ural Disaster Response Policy in Korea)

  • 김재필;강순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9-97
    • /
    • 2001
  • Recently, natural disasters happened to the Korea frequently. Disaster in the present society has been changed and increased it impacts and extent of danger as the society develops. So, Korean people feel uneasy about the unpredictable disaster. Therefore the capability of administration system, and cooperation and support between related organization become more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better way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which can protect people's lives and fortune from all sort of national disasters. To research policy reform, it is necessary to analyze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national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so on),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law system etc. Especially, in this study, role appreciation of government was analyzed to get the rational policy reform measure. Suggestion : First, it is necessary Establishing a consolidated organization for disaster managing and united response organization is necessary such a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FEMA) which controls an over all aspects of disaster management.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grated Administrative Control System based on comprehensive plan. When the accidents happen, it needs to be many equipments and various specialized personnel. So, to manage a large scale of disaster, it is necessary to hav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system which many specialized organization including volunteer group are integrated. Also, as soon as the natural disaster happen, many professionals and volunteers are distributed to the spots of disaster in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Finally, All the citizens have to keep safety rules, and also to take a safe action in ordinary daily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