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Data

검색결과 2,324건 처리시간 0.023초

업무 연속성 확보를 위한 재해복구센터의 최적 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distance between the data center and the disaster recovery center for the business continuity)

  • 서용원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7-60
    • /
    • 2003
  • As the business dependency to information systems and the frequency of the large scale disasters increase, implementing the disaster recovery center has been a common practice. However, since there has been little quantitative decision method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data center and the disaster recovery center, the distance decision has been commonly made by qualitative guidelines. In this research, the decision method for the optimal distance between the data center and the disaster recovery center is developed, using the cost analysis including the operation cost and the expected disaster cost. An illustrative numerical example is provided.

  • PDF

도서관 장서를 위한 재난대책 수립 (Developing the Disaster Plan for Materials in Library)

  • 방준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5-15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and all kinds of library in Korea to develop a disaster plan. The materials in the library are apt to get damaged at once by such disasters as fire or flood etc. It is fortunate that we Have not found any big disaster at libraries in Korean. considering many cases of big disaster which distroy materials at library in foreign countries. In spite of the posibility of disaster any time, that will make librry loss of function, there are no library that have a disaster plan in Korea. Disaster plan is a guidance by which materials are conserved at ordinary times, protected and recoverd in contingency. It consists by four elements: prevention, preparedness, reaction and recovery. As libraries function by biblogrophic data and user data in automation system, it is also recommended to prepare system protection in the disaster plan.

  • PDF

격자 기반 침수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기계학습 모델별 성능 비교 연구 - 2016 태풍 차바 사례를 중심으로 - (Performance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Models for Grid-Based Flood Risk Mapping - Focusing on the Case of Typhoon Chaba in 2016 -)

  • 한지혜;곽창재;김구윤;이미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2호
    • /
    • pp.771-783
    • /
    • 2023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each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paring a grid-based disaster risk map related to flooding in Jung-gu, Ulsan, for Typhoon Chaba which occurred in 2016. Dynamic data such as rainfall and river height, and static data such as building, population, and land cover data were used to conduct a risk analysis of flooding disasters. The data were constructed as 10 m-sized grid data based on the national point number, and a sample dataset was constructed using the risk value calculated for each gri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value of five influencing facto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total number of sample datasets is 15,910, and the training, verification, and test datasets are randomly extracted at a 6:2:2 ratio to build a machine-learning model. Machine learning used random forest (RF),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k-nearest neighbor (KNN) techniques, and prediction accuracy by the model was found to be excellent in the order of SVM (91.05%), RF (83.08%), and KNN (76.52%). As a result of deriving the priority of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he RF model, it was confirmed that rainfall and river water levels greatly influenced the risk.

재난현장조사 공간정보 웹 가시화를 위한 3차원 맵핑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3D Mapping System for Web Visualiz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Disaster Field Investigation)

  • 김성삼;노현주;신동윤;이준우;김현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4호
    • /
    • pp.1195-1207
    • /
    • 2020
  • GeoWeb 기술이 발전하면서 재난관리 분야에서도 웹을 통한 2D/3D 공간정보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재난사고 현장에서 수집된 다양한 공간정보를 웹 환경에서 시각화하기 위한 3D 공간정보 맵핑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웹 개발 표준기술인 HTML5/WebGL과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재난사고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된 2D/3D 공간 데이터와 대용량의 LiDAR 점군 데이터에 대한 웹기반의 공간정보 맵핑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오픈소스인 GeoServer의 WMS 서비스와 PostGIS를 이용하여 수집된 재난현장 조사 2D 데이터를 공간 DB로 구축한 후 웹 환경에서 렌더링하였다. 둘째, 웹 환경에서 대용량 3D 점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하여 다중 해상도의 옥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점군 데이터를 2D 타일로 단순화하는 Potre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OpenLayers3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를 제어 및 측정하기 위한 기본·응용 기능을 Graphic User Interface(GUI)로 구현하여 2D/3D 공간정보의 웹 시각화를 위한 3D 웹 맵핑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향후, 재난현장의 각종 2D 조사 데이터 및 다양한 공간영상정보를 구축된 웹기반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에 중첩·표출함으로써 재난사고 과학조사 및 분석 업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성영상-AI 기반 재난모니터링과 실현 가능한 준실시간 통합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Satellite Imagery and AI-based Disaster Monitoring and Establishing a Feasible Integrated Near Real-Time Disaster Monitoring System)

  • 김준우;김덕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6-251
    • /
    • 2020
  • 원격탐사 기술의 발전과 활용 가능한 위성의 증가로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에서 위성영상자료의 활용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위성영상은 센서의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재난의 모니터링을 위해 활용되고 있지만, 통합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기존 시스템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준실시간 통합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한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그 사례가 확인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를 통한 재난모니터링의 개념화를 통해 준실시간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장애요인들을 확인하고, 실제로 활용 가능한 영상자료와 실현 가능한 재난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원격탐사를 통한 준실시간 재난모니터링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통합시스템의 구축이 제한되며,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경제적 요인과 함께 위성영상 확보의 적시성을 가로막는 정책적 요인과 일관성 있는 정보생산을 위한 영상분석에 대한 제도적 요인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약들은 AWS(Amazon Web Services)와 같은 위성영상의 저장, 취득, 분석에 활용되는 컴퓨팅 플랫폼과 같은 통합서버의 확보와, 재난의 종류와 상황에 부합하는 활용 가능 위성의 궤도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분석도구의 개발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도적, 경제적, 기술적, 정책적 제약들을 극복할 수 있는 위성영상 기반 통합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으며, 재난의 종류와 단계에 따른 AI 기반 위성영상 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원격탐사와 재난관리 분야에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재난모니터링 분야에 실무적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정보와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on Disaster Safety Information based on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 정지나;정힘찬;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7-93
    • /
    • 2017
  •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재난정보와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검색하여 2008년부터 2017년 사이에 발간된 재난정보와 관련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 312건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논문들의 서지사항을 토대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구논문들의 논문명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빈도분석 및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재난분야에서 빅데이터와 관련한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재난정보 공유 및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재난대응을 위하여 공간정보, 실시간정보, 지리정보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정보가 활용되고 있었다.

해외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사례기반 산불재난대응 연구 (A Study on Wildfire Disaster Response based on Cases of Inter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 이지현;박민수;정대교;박승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345-352
    • /
    • 2020
  • 산불재난은 위험요소에 대한 경우의 수가 많고, 범위가 넓으며 파생되는 피해 다양성도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산불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및 시스템이 생겨나고 있다. 국외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은 빅데이터, GIS 기반 시스템, 의사결정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였다. 산불재난대응 체계 및 시스템에 대해,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국내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 대안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각 기관에서 파악한 정보 및 현장 정보를 통합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둘째, 재난대응 시스템에 빅데이터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기존에 GIS 기반 시스템에 의사결정 시스템을 적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의 대응방안으로 기존 재난 안전 관리체계에 제안했을 때,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가시화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시화 플랫폼으로 의사결정을 도와줄 수 있으며 최적의 결과로 최소한의 피해를 기대할 수 있다.

보건소 직원의 재난대비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in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 이영란;이명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6-10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s of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in public health workers and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81 public health workers in 2014 in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score was 2.77 and the mean disaster educational needs score was 4.01.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position, experience of disaster education in workplace, and experience of BLS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accounted for 11.6% of the variance by gender, experience of disaster education in workplace, and experience of BLS edu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gender, strengthening education of disasters in the workplace, and education of BL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integrated when developing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enhance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in public health workers.

동물 이상행동과 지진전조 가설검증 연구동향 및 한계점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 between Animals Unusual Behavior and Premonitory Symptoms of an Earthquake)

  • Lee, Sohee;Park, Youngj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89-95
    • /
    • 2017
  • 대형재해 발생 전 동물 이상행동 목격사례가 심심치 않게 보도되고 있다. 동물 이상행동이 대형재해 발생과 연관이 있을까, 그렇다면 재해발생을 예지할 수 있을까?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 이상행동과 지진전조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에 대한 해답을 탐구(探求)해 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방법론에 따라 사례조사, 실험분석, 관찰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연구와 그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는 결과적으로 '동물 이상행동을 전조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와 '보기 어렵다'로 이분되며, 양쪽 모두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관련연구에서는 데이터의 신뢰성 검증이 어렵고, 우연하게 계측된 데이터의 적은 샘플 수, 적합한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 등 공통된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지진예지에의 활용 가능성 검토단계에 이르기 위해서는 동물 이상행동과 지진발생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재난조사 특수차량과 드론의 다중센서 자료융합을 통한 재난 긴급 맵핑의 활용성 평가 (Applicability Assessment of Disaster Rapid Mapping: Focused on Fusion of Multi-sensing Data Derived from UAVs and Disaster Investigation Vehicle)

  • 김성삼;박제성;신동윤;유수홍;손홍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2호
    • /
    • pp.841-850
    • /
    • 2019
  • 본 논문은 상업용 소형 드론의 드론 맵핑 기하 정확도 평가와 지상 LiDAR와 드론 점군 자료의 융합을 통하여 재난 긴급 맵핑 적용성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드론 맵핑 절차와 카메라 검정과 광속조정법으로 카메라 모델을 최적화한 드론 맵핑 간의 위치 오차를 비교 분석한 결과, 평면 위치오차는 2~3 m에서 약 0.11~0.28 m 수준으로, 수직 위치오차는 2.85 m에서 0.45 m 수준으로 위치결정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아울러, 드론 맵핑과정에서 누락되기 쉬운 점군 자료의 측면정보를 지상 LiDAR 점군자료와 융합을 통해 보완할 수 있도록 두 점군 자료간 정합을 위한 개선된 좌표계 변환 모델을 제시하여 연구 대상지내 이종 점군 자료를 최대 오차 0.07 m 이내로 정합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재난현장에서의 드론 기반의 긴급 맵핑과 재난 현장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구축하기 위한 점군 자료융합에 관한 연구 성과는 향후 국가 재난안전 관리 현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