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8초

ATSC 3.0 기반 재난약자 맞춤형 재난방송서비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ed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 for Vulnerable Populations based on ATSC 3.0 Standards)

  • 김나연;현은희;배병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928-938
    • /
    • 2019
  • 현재 우리나라는 북미의 차세대 방송 표준인 ATSC 3.0을 기반으로 국내 지상파 UHD 방송 표준을 제정하고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ATSC 3.0에 정의된 재난경보전달을 위한 AEA 시스템 재난방송기술을 이용해 2018년부터 지상파 UHDTV 방송망을 활용한 재난경보방송서비스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ATSC 3.0이 기존에 단순 푸쉬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 전송에 그치던 재난방송 서비스를 양방향성과 리치미디어의 전송 메카니즘을 도입함으로써 진보된 재난방송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표준을 마련하였지만 아직 재난 정보 전달은 여전히 일반 대중들을 중심으로 한 내용이 대부분으로, 구체적인 재난약자를 위한 재난 정보 전달 및 대응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방송서비스 수신 대상으로서의 재난약자를 정의하여 ATSC 3.0 기반 재난약자 맞춤형 재난방송서비스를 제시하고,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필요한 재난방송메시지 확장 엘리먼트를 정의한다. 제안하는 재난약자 맞춤형 서비스는 재난약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난 정보 전달 가능성을 높이고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는 보조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재난경보알림 및 재난대응 연구들과 연계를 통해 재난약자를 위한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응용서비스 개발의 기초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난 상황에서 지상파 방송의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sibility of Terrestrial Broadcasting in Natural Disaster)

  • 이상운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5-99
    • /
    • 2018
  • In this study, take a look at natural disaster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frequency, bandwidth, transmission power, and service coverage of mobile communication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are compared as a means to provide disaster warning service in case of natural disaster, which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the event of a disast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hat take high frequency bands, low power transmission and narrow coverage can be disabled, but terrestrial broadcasting, which uses VHF and UHF with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high transmission power and wide service coverage provides stable services. As result terrestrial broadcast is useful as emergency warning or information in case of disaster.

Expansion of ATSC 3.0-Based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 for the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 Song, Chong-Hy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3호
    • /
    • pp.227-232
    • /
    • 2022
  • Disasters are now becoming commonplace and especially the vulnerable group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and foreigners are in a state of overlapping disasters. In this situation, ATSC 3.0-based UHDTV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for the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has been develop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demand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impaired. The demand analysis data is very important to development process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how that it is essential to link the UHDTV disaster signals with home-network, IoT, wearable devices, and various assistive devices for the impaired (hearing aid, smart light bulbs, warning light, etc.). In outdoor space, UHDTV disaster information must be connected to public display media, digital signage, kiosk, screens in bus or taxi. If communication aids for the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are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isaster information, it will help to minimize disaster damage.

How to utilize various Bluetooth devices when receiving Korean Public Alert System

  • Choi, Seung-Hwan;Kim, kyung-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4호
    • /
    • pp.104-120
    • /
    • 2022
  • In severe disaster situations, Emergency alert provide information for people to survive. However, the only device that can receive the Cell Broadcasting Service (CBS) of the Korean Public Alert System (KPAS), the Public Warning System (PWS), is Smart Phone and Receiving the disaster information is very limit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olution to the problem. First, we discover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KPAS, and second, we propose Smart Watch and Navigation as devices to receive Emergency alert. The devices can receive disaster information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from Smart Phone and provide content such as disaster-related images and videos. Based on the proposed items,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and as a result of the test, Smart Phone provided more disaster information like images and videos than current emergency alert, and the method of notification of emergency alert was varied. And Smart Watch and Navigation received disaster information successfully through Smart Phone, which also provided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like images and videos. The developed application has expanded functionally than the existing emergency alert and can benefit many people in emergency situations.

라디오방송서비스 이용현황 비교와 이용 제고 방안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radio broadcasting service status to improve use)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99-206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국내 라디오 이용 현황을 영국, 미국 등 국외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영국, 미국의 라디오 이용률이 모두 90% 전후로 높게 나타났으나, 국내는 21.7%로 매우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영국, 미국은 라디오 방송이 재난 시 재난경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중요 매체로 인식되어 있으나, 국내는 재난상황에서 라디오 방송의 중요성이 0.7%로 평가되어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국내 라디오 방송 이용률을 올리기 위한 방안들로 '라디오 수신율 제고 등 서비스 품질 개선', '재난경보 매체로서의 라디오 방송의 중요성 인식 개선', '디지털 라디오 도입' 및 'FM 라디오 데이터 방송 도입' 등이 제시되었다.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활용한 재난정보 전달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application using Cell Broadcast Service)

  • 김명진;김경래;백승혁;오승희;정우석;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7-63
    • /
    • 2021
  •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휴대폰으로 전달하는 공익 서비스이다. 휴대폰 보급률이 높은 대한민국은 긴급재난문자를 통한 재난정보 전달이 다른 정보 전달 방법 보다 높은 선호도를 갖고 있다. 하지만 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어 정보 취약 계층에게는 일반인들에 비해 재난정보 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활용한 재난정보 전달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당 논문과 같은 연구가 계속되어 향후 긴급재난문자는 국내외의 정보취약계층을 고려한 다양한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가 된다면 이를 통해 국민이 재난에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를 통해 재난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터널링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푸쉬 서비스 (Internet Push Service Using Tunneling Technology)

  • 오종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30-135
    • /
    • 2008
  • 인터넷과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터널링 기반의 푸쉬 서비스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또한 기지국에서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적용 방안도 제안되었다. 지역정보 및 교통정보, 재난 방송 등의 특정 지역의 방송 수신 기술로 적합한 방법이다.

  • PDF

표준 재난경보 발령 시스템과 UHD 재난경보 데이터 서비스 실증 시험 (Operational Verification of Common Alert Protocol System and UHD Advanced Emergency Alert Table Service)

  • 곽천섭;서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96-301
    • /
    • 2021
  • 본 연구는 차세대 예경보 플랫폼과 지상파 UHD 방송의 재난경보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연동한 표준화된 멀티미디어 재난경보방송의 실증 시험을 다룬 연구이다. 실증 시험에 사용된 차세대 예경보 플랫폼은 CAP 기반의 TTA 표준화 규격을 준수하고, UHD 재난경보 부가데이터 서비스는 AEAT 규격을 준수하도록 구성하였다. 실증 시험은 2021년 3월 제주도에서 지상파 UHD 방송 송수신을 포함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표준화된 CAP 재난경보메시지가 발령되어 방송사에 전달되면 UHD 재난경보 부가데이터 메시지인 AEAT로 자동 변환되어 송출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수신부는 재난경보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셋탑과 TV를 HDMI 케이블로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재난이 발령되면 셋탑은 TV방송 화면위에 AEAT 메시지가 재난 우선순위와 발령 지역에 맞춤형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수신 메시지는 5개국어 중에서 사용자 설정에 맞는 언어로 표출되고. 이미지와 경보음과 같은 부가 멀티미디어 기능도 연계할 수 있었다. 특히 재난경보 발령 후 3초 이내에 수신기 메시지가 표출되어 신속한 재난경보 전달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현황 및 통합 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ntegration Methods of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 황우석;표경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80-90
    • /
    • 2022
  • 현재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별로 발령 방식에 차이가 있고 중앙에서 자자체까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문자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난경보서비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자동우량경보시설, 자동음성통보시설, 재해문자전광판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난 예경보 시스템이 간급한 재난경보 현장에서 각각의 매체별로 재난경보 발령 방식의 차이를 두고 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전달되는 내용 또한 통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보를 받는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매체별 경보의 내용이 상이하여 혼란을 받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통합된다면 음성·영상·데이터 등 재난정보의 공유와 통합관리를 통해 종합적으로 재난 상황의 판단 및 의사결정이 가능함으로써 상황 파악과 현장 대응에 소요되는 업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속한 정보전달과 정확한 상황 파악을 통해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기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재난 예경보 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A Study on Optimizing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 Gaeun Kim;Byungjo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4호
    • /
    • pp.35-43
    • /
    • 2023
  • This paper emphasizes that information received in disaster situations can lead to disparities i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otentially causing damage.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mong citizens. A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is designed to address the rapid dissemination of disaster and safety-related information, bridge information gaps, and alleviate anxiety. Through the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we can obtain clear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air quality, and guidelines for disaster-related actions. Using chatbots, we can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and support decision-making based on their queries and choices, utilizing cloud APIs, public data portal open APIs, and solution knowledge bases. Additionally, through Mashup techniques with the Google Maps API and Twitter API, we can extract variou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and location of disaster occurrences, update this information in the disaster database, and share it with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