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Worker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9초

장애인 취업자에게 제공된 직무 관련 배려경험이 장애수용과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related Accommodation Experience on Acceptance of Disability,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Rehabilita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 박지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77-184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 취업자에게 제공된 직무 관련 배려경험이 장애수용과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 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장애인 중 임금을 받고 근로 중인 취업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직장에서의 배려 경험과 장애수용과 직무만족, 삶의 만족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빈도분석으로 통해 현재 장애인이 경험하는 적절한 배려의 현황을 알아보고, 분산분석을 통해 배려 경험에 따른 장애수용과 직무만족, 삶의 만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여전히 직업 현장에서 장애인 취업자를 위한 적절한 배려나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직무조정 및 근무시간 조정 관련 배려경험이 장애수용과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통합된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근로자의 주관적 안녕감 예측 모형 (Predicting Subjective Well-being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Using Integrate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31-446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주관적 안념감을 예측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통합된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참여한 근로자 중에서 3년 동안 계속 근로중인 만 18세 이상의 성인 952명이다.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업 만족과 삶의 만족의 종단적인 관계에 대한 교차지연 패널 모형을 분석하고, 장애수용이 직업적 자기효능감, 직업 만족,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직업적 자기효능감을 거쳐서 직업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수용은 직업적 자기효능감과 직업 만족 및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직업 만족과 장애수용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장애수용과 직업 만족 간의 자기회기 효과와 교차지연 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수용과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지표로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 the career success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 이달엽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185-216
    • /
    • 2003
  • 본 연구에서 지체장애근로자들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직업성공과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여 가설적 이론모형을 검증하려는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지체장애를 가진 근로자 374명과 일반근로자 45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은 개인, 가정, 조직의 측면에서 나타났다. 개인적인 측면은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으로 구성되었고, 가족적인 측면은 다중역할스트레스와 자녀의 수로 구성되었다. 조직적인 측면은 자원활용능력, 네트워킹, 그리고 조언자로 구성되었다 이 밖에도 주관적인 직업성공과 객관적인 직업성공이라는 잠재변수에서 종 10개의 측정변수가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직종이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측변수에서는 두 집단에서 직업성공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서로 다르게 나왔다. 장애근로자집단은 이직을 했을 때 평균적으로 근속한 년수와 임금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집단은 조언자와 근속년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연령과 이직 경험이 이직 (이직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집단은 친구의 수, 일반집단은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망이 각각 이직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두 집단의 자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관측변수에서도 장애집단은 배우자의 직업과 근속년수, 일반집단은 다중역할 스트레스와 이직평균 근무년수에서 각기 다르게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적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 제 1모형은 어느 정도 타당하고 직업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2모형은 카이스퀘어와 자유도 ($x^2=64950$, df=61, P=0341), 기초부합치 (AGFI)는 .954, 비적합지수 (CFI)는 997, 그리고 원소간의 평균차이 (RMR)도 .038로써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모두 허용된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매우 적합한 모형으로 직업 성공을 보다 높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종이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성공을 예측하는데 주요한 변수로 나타나 장애근로자들의 학력을 높이고 계속해서 전문화 육에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임금정도와 같은 객관적인 직업성공 보다는 임금과 진급에서의 만족과 같은 주관적인 직업성공에 더욱 더 많은 고려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장애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 내에서 유용한 인적 자원과 네트웍의 수를 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장애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대인관계에 대해서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장애인을 위한 근무복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work uniform desig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pplying a universal design concept)

  • 김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3호
    • /
    • pp.344-3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orkwear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an engage in vocational activities. The aim was to identify needs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o design work clothes and develop products according to universal design guidelines. This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representative interviews from a company employing people with severe dis- abilities in Daegu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for workers-related work clothes, and then applied universal design guidelines to perform appropriate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hygiene and warmth of clothing are importan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the use of bright materials is required. Second, people with brain lesions often have low body temperature due to difficulties with blood circulation, for which warmth is a required factor. Third, peop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be differentiated in comparison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use nondiscriminatory designs. Accordingly, it was more efficient to modify and supplement clothing designed for non-disabled people with hidden functions to suit specif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o develop specialized clothing. These demands were found to conform to what is referred to as a universal design concept, through which three nondiscriminatory shirt designs and two easy-to-use pants were designed.

시간제 근무를 하는 정신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ssociated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n Part-time Work of the Mentally Disabled)

  • 전성숙;김미영;하수정;변은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1-22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part-time work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part-tim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in the city of B and 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 2012 to May 30, 2012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measurement scales of job satisfaction, family support, work volit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of score for job satisfaction was $61.8{\pm}13.84$. Job satisfaction was highly related to family support, work environment and work volition. The associated factor of the subjects job satisfaction were family support, work environment, work volition, and the period of employment. The combination of these four factors showed an explanation for job satisfaction at the rate of 80.2%.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at job satisfaction needs to be increased for the job continuity of employees with mental illness. In addition to this, work environment, work volition and family support should first be improved for the increase of job satisfaction.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참여 -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 (Social Exclusion and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 Focused on the Legislation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

  • 유동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17-239
    • /
    • 2011
  • 본 연구는 당사자에 의한 집단적 사회행동 전략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임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적 배제와 차별의 개념적 관계를 고찰하였는데, 주류와 비주류집단의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 천착할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제된 비주류집단의 참여를 강조하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활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과정을 분석하였다. 법제정과정분석에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정책형성 분석틀을 활용하였는데, 분석 결과 문제 형성, 아젠다 형성, 대안 형성, 정책 결정 등 법제정의 전 과정에서 장추련이라는 장애인 정치행동 집단이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와 청와대, 국회와 재계 전반을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장애인에 의한 장애인의 법을 제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장애인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Central Governmental Reorganization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선우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221-252
    • /
    • 2008
  • 장애인서비스 전달체계는 욕구평가체계의 결여, 사례관리체계의 미비, 전문인력의 부족 및 지방복지행정기관의 미비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장애인서비스 전달체계를 개편하기 위해 2007년부터 장애인복지인프라개선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개선방안에서는 장애판정체계의 개편과 장애서비스판정센터의 설립을 제안하고 있으며, 장애판정체계는 기존의 의학적 판정도구 외에 근로활동능력평가도구 및 복지욕구사정도구를 개발하여 장애인의 욕구평가체계를 도입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또한 장애서비스판정센터의 설립 모형으로 독립형, 지자체형, 공단형의 세 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2008년 하반기에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가 보건복지가족부가 통제할 수 있고, 욕구평가와 사례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갖춘 지방장애인복지행정기관을 120여개 설립하는 것이며, 현실적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을 정점으로 전국의 장애인복지관을 지방장애인복지행정기관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재난약자를 위한 정보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ing of Information Media for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 Focused on Foreigners Workers in South Korea)

  • 구효정;주성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5_2호
    • /
    • pp.83-92
    • /
    • 2018
  • 우리나라는 경제 사회적 구조 변화로 인해 재난에 취약한 계층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양극화, 국제화 추세가 심화됨에 따라 노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외국인, 다문화 가정 등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불리는 이들이 재난에도 취약한데 흔히, '재난약자'라고 불린다. 재난약자들은 재난 발생시에 일반인과 달리 재난정보 획득에 어려움을 겪는 등, 자력으로 신속한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과 관련된 정책이 필요하다. 물론, 최근에 재난약자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외국인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이는 그들에 대한 재난에 대한 이해나 대처방법에 대한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한국인의 시각과 관점에서 관련 정책을 마련하게 되고, 결국 국내 체류 외국인들은 관련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난정보에 대한 인식과 획득경로 등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들이 빈번하게 접하는 정보매체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 실질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PDF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적합, 직무만족, 직무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Paths of Job Engagement)

  • 이종정;정재엽;이달엽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41-68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직무적합, 직무만족, 직무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와의 인과적 관계에 대해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 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임금근로자 805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적합은 생활만족도에 있어 인간관계만족도와 물질환경만족도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이 인간관계만족도와 물질환경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무몰입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적합이 인간관계만족도와 물질환경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경로에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이 이중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직업재활상담의 방향성과 실천적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Selection by Employer and Disabilities in Occupational Accidents in Korea

  • Ahn, Joonho;Jang, Min;Yoo, Hyoungseob;Kim, Hyoung-Ryou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279-285
    • /
    • 2022
  • Background; In the event of an industrial accident, the appropriate choice of hospital is important for worker health and prognosi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choice of hospital by the employer in the case of industrial accidents affects the prognosis of injured employees. Methods; Data from the 2018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in Korea were used in an unmatched case-controlled study. The exposure variable is "hospital selection by an employer," and the outcome variable is 'worker's disability." Odds ratios (ORs) were estimated by modified Poisson regression and adjusted for age, gender, underlying disease, injury severity, and workplace size and stratified by industrial classification. The group at increased risk was analyzed and stratified by age, gender, and area. Resul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spital selection by the employe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disability (adjusted OR 1.26;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1.32) and severe disability (adjusted OR 1.38; 95% CI; 1.08-1.76) among the injured. Female and younger workers not living in the Seoul capital area were more at risk of disability and severe disability than those living in the Seoul capital area. Conclusions; Hospital selection by employers affects the prognosis of workers injured in an industrial accident. For protecting workers' health and safety, workplace emergency medical systems should be improved, and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hospitals to supply treatment should be reviewed.